KR200203708Y1 - 현미 및 정미장치 - Google Patents

현미 및 정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08Y1
KR200203708Y1 KR2019970025604U KR19970025604U KR200203708Y1 KR 200203708 Y1 KR200203708 Y1 KR 200203708Y1 KR 2019970025604 U KR2019970025604 U KR 2019970025604U KR 19970025604 U KR19970025604 U KR 19970025604U KR 200203708 Y1 KR200203708 Y1 KR 200203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ling
casing
shaf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504U (ko
Inventor
최준홍
Original Assignee
최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홍 filed Critical 최준홍
Priority to KR2019970025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7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현미 및 정미가 회전축 주면과의 접촉으로서 이루어지게 하며 특히 현미 및 정미를 하나의 장치로서 가능하게 하고 그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한 현미 및 정미장치를 기술적 과제로 하여, 일측 연부에 출구를 형성하고, 내부에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외측 커버 부재가 대향 착설되는 원심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챔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두 매의 회전판과, 이 회전판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밴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 일측에 형성된 풀리에서 동력을 받아 상기 케이싱을 관통한 뒤 상기 송풍팬을 일체로 하면서 타측으로 돌설되는 6각면의 회전축;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 커버부재에 돌출된 상기 회전측의 타측단부를 도정축으로 하고 이 도정축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공급 벼를 상기 6각면에 의하여 도정 가능하게 하는 도정수단을 구비하여, 6각주면에 벼를 접촉시켜 도정이 이루어는 현미 및 정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미 및 정미장치
본 고안은 현미 및 정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벼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현미 및 정미를 공급되는 벼와 회전축 주면과의 접촉으로서 이루어지게 하며 특히 현미 및 정미를 하나의 장치로서 가능하게 하고 그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한 현미 및 정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많은 정미기 및 현미기가 알려져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나선을 형성한 나선축을 따라 벼를 연속 공급하면서 벼의 껍질을 벗기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와같은 나선축을 따라 벼를 연속 공급하면서 벼 껍데기를 벗기거나 현미를 다시 도정하는 종래의 소형 현미 및 정미장치에서는 벼의 깎임 및 도정정도의 조절이 복잡하고 제대로 깎이지 않아 반복 공급해야 하는 방식이 주로 채용되어 왔으며 반복적으로 현미상태에서 다시 쌀의 표피를 깎아줄 경우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불필요한 쌀가루의 발생이 많았다.
따라서 벼의 껍데기를 제거하는 현미과정에서나 이 현미를 도정하는 과정에 있어 쌀가루의 발생이 적으면서 현미 및 정미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현미를 정미하기 위한 도정정도의 조절이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현미 및 정미장치가 필요로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 현미를 도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 도정 정도에 맞게 조절구를 조절하는 수단에 새로운 6각단부의 도정축을 도입하여 종래 나선축으로 정미 가공이 이루어지던 방식에 비하여 현저한 도정효과를 얻는 정미 및 현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실시된 정미기의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도정수단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송풍팬
3 : 회전축 4 : 도정수단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측 연부에 출구를 형성하고, 내부에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외측 커버부재가 대향 착설되는 원심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챔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두매의 회전판과, 이 회전판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밴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 일측에 형성된 풀리에서 동력을 받아 상기 케이싱을 관통한 뒤 상기 송풍팬을 일체로 하면서 타측으로 돌설되는 6각면의 회전축;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 커버부재에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타측단부를 도정축으로 하고 이 도정축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공급벼를 상기 6각면에 의하여 도정 가능하게 하는 도정수단을 구비하여, 6각면에 벼를 접촉시켜 도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도정수단의 구조가 후레임; 이 후레임을 가로지른 회전축에 벼를 공급 하기 위한 입구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정된 쌀을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관; 이 가이드관으로 공급되는 2차적 입구부로 이루어지면서 나선을 형성하여 나선 이동 가능한 조절구와, 이 조절구의 축상에 탄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발력을 보유하면서 상기 조절구로서 승강이동되며 동시에 상기 입구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조절판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므로서 간단한 조절조작으로 벼의 깎임 정도가 간단히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제1도는 본 고안 현미 및 정미장치가 적용된 정미기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 도정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른 본 고안은 크게 케이싱(1)과, 송풍팬(2)과, 회전축(3)과, 도정 수단(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은 일측 연부에 출구(12)를 형성하고, 내외측 커버부재(14)(16)로 대향 착설되어 챔버(18)를 형성한다.
상기 송풍팬(2)은 상기 케이싱(1)의 챔버(18)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두매의 회전판(22)(24)과, 이 회전판(22)(24)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밴(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3)은 일측에 형성된 풀리에서 동력을 받아 상기 케이싱(1)을 관통한 뒤 상기 송풍팬(2)을 일체로 하면서 타측으로 돌설되는 6각주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정수단(4)은 상기 케이싱(1)의 외측 커버부재(12)에 돌출된 상기 회전축(3)의 타측단부를 도정축으로 하고 이 도정축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a)을 형성하여 공급 벼를 상기 6각주면에 의하여 도정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정수단(4)은, 후레임(41)과, 이 후레임(41)을 가로지른 회전축(3)에 벼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부(42)와, 입구부(42) 바닥을 이루면서 상기 회전축(3)과의 간격(a)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43)과, 상기 회전축(3)을 중심으로 도정된 쌀을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팬(2)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흡송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관(44)과, 이 가이드관(44)으로 공급되는 2차 입구부(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수단(43)은, 나선을 형성하여 나선 이동 가능한 조절구(43a)와, 이 조절구(43a)의 축상에 탄설되는 스프링(43b)과, 상기 스프링(43b)에 의하여 탄발력을 보유하면서 상기 조절구(43a)로서 승강이동 되며 동시에 상기 입구부(42)의 바닥을 형성하는 조절판(43c)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흡송호스이고, 6은 벼 공급호퍼이고, 7은 1차 가공된 쌀의 배출구이며, 8은 석발기이고, 13은 걸림턱이고, 15는 체결구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현미 및 정미장치는 첨부 도면 제1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미 및 정미장치 본체의 공급 호퍼(6)를 통하여 벼가 공급되면 조절 수단(4)을 통하여 벼의 껍데기를 벗기는 현미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이것은 첨부 도면 제3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풀리(도시생략)와 동축상의 회전축(3)이 회전하므로서 송풍팬(2)이 고속 회전하므로서 내외부 케이싱(14)(16)에 의하여 형성된 챔버(18)내부에는 출구(12)를 향하여 강한 흡송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팬(2)의 중심부와 연결된 도정수단(4)의 가이드관(44)으로 흡송된 도정후 쌀이나 현미가 안내됨과 동시에 송풍팬(2)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뚫린 개구부(28)로 분산 이동되면서 출구(12)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때 도정수단(4)의 입구부(42)로 공급된 벼는 간격(a)을 통하여 회전축(3)일측단부의 6각주면에서 강한 흡입력으로 접촉되면서 벼껍데기를 벗기거나 이미 벗겨진 쌀을 2차적으로 정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정미 및 현미 가공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정수단(4)의 조절구(43a)를 상승시켜 간격(a)을 벌려 넓혀주면 1차적으로 공급된 벼를 가공하여 현미상태로 처리하게 되고, 이 상태의 현미를 2차 가공으로 정미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2차 입구부(45)를 통하여 재공급되도록 하여 쌀의 표피를 깎아내므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정미작동 즉 도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쌀의 표면을 깎아내게 되는 것으로 이를 본 고안은 조절구(43a)의 하강 정도에 따라 간격(a)를 점차로 좁혀 주면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정미작동은 2차 입구부(45)를 통하여 1차 가공의 현미 혹은 2차 정미를 다시 반복적으로 재공급함에 따라 3차, 4차적인 도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송풍팬(2)의 중심부와 연결된 도정수단(4)의 가이드관(44)으로 흡송된 쌀이나 현미가 6각단부의 도정축을 통하여 도정수단(4)의 입구부(42)를 통과하도록 하여 벼의 도정 방식을 새롭게 하였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현미를 도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 도정 정도에 맞게 조절구를 조절하는 수단에 새로운 6각단부의 도정축을 도입하여 종래 나선축으로 정미 가공이 이루어지던 방식에 비하여 현저한 도정효과를 얻는 정미 및 현지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1)

  1. 원판형의 내외측 커버부재로 이루어져 대향 체결되고, 일측 연장부는 출구를 형성하는 원판형 케이싱내에 두매의 회전판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가이드밴으로 이루어진 송풍팬을 설치하여서 되는 정미 및 현미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의 일측에서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2)의 중심에서 고정하며, 타단부로 6각주면이 돌설되도록 연장된 회전축(3); 및 상기 회전축(3)의 돌출된 6각 단부를 도정축으로 하고, 이 도정축의 주위에 일정한 투입간격을 갖고 공급되는 입구부(42)와, 입구부(42) 바닥을 이루어면서 상기 회전축(3)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43c)과, 이 조절판(43c)의 타측을 지지하여 그 이동길이를 조절가능한 조절수단(43a)과, 상기 조절판(43c)와 상기 조절구(43a)하단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3b)으로 이루어진 도정수단을 구비하여, 6각주면의 도정축을 통하여 도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 및 현미장치.
KR2019970025604U 1997-09-09 1997-09-09 현미 및 정미장치 KR200203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604U KR200203708Y1 (ko) 1997-09-09 1997-09-09 현미 및 정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604U KR200203708Y1 (ko) 1997-09-09 1997-09-09 현미 및 정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504U KR19990012504U (ko) 1999-04-06
KR200203708Y1 true KR200203708Y1 (ko) 2000-12-01

Family

ID=1951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604U KR200203708Y1 (ko) 1997-09-09 1997-09-09 현미 및 정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7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504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4323A (en) Screen and rotor assembly for grain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s
KR101483762B1 (ko) 정미기
US3329350A (en) Pulverising apparatus
US4426921A (en) Apparatus for removal of bran from rice and like cereal grains
KR0161643B1 (ko) 연삭형 수직 정곡기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JP2680738B2 (ja) 回転ケージ内に分離手段を有する攪拌ミル
US3485280A (en) Combination of grinding and friction-type rice polishing machine
KR200203708Y1 (ko) 현미 및 정미장치
EP0165221B1 (en) Method of milling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522837A (en) Method of removing bran from cereal grains
KR101102507B1 (ko) 세라믹 정미기의 로터 연삭장치
JP2005144424A (ja) 精穀装置
CN112427087A (zh) 一种麻油生产用磨浆设备
JP3535641B2 (ja) 精穀ロール及び精穀機
US4749135A (en) Peanut grinding apparatus
KR100318053B1 (ko) 세라믹스 완패스 정미기
KR0139050Y1 (ko) 정미기의 도정장치
KR100211853B1 (ko) 연삭식 정미기의 정곡롤
US4313374A (en) Machine for hulling nuts
GB2113526A (en) Milled rice
JP2001062316A (ja) 一軸研削摩擦精穀装置
JP4439484B2 (ja) 研削精米機
KR20210054279A (ko) 도정 커터가 자동조절되는 도정장치
KR200303094Y1 (ko) 곡물용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