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510A -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510A
KR19980057510A KR1019960076800A KR19960076800A KR19980057510A KR 19980057510 A KR19980057510 A KR 19980057510A KR 1019960076800 A KR1019960076800 A KR 1019960076800A KR 19960076800 A KR19960076800 A KR 19960076800A KR 19980057510 A KR19980057510 A KR 1998005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registration
input
consonant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승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510A/ko
Publication of KR1998005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10A/ko

Links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에는 팩시밀리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문자 코드 사용서 또는 숫자키를 여러 번 눌러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그룹을 선택하는 첫 번째 숫자 키데이타와 상기 선택된 문자그룹 중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두 번째 숫자 키데이타를 입력받아 문자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팩시밀리.

Description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에서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팩시밀리장치에서는 문자 입력방법을 통해 영문 입력만이 가능하였다. 상기 영문을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문자 코드 안내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과, 숫자키를 반복 조작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다.
상기 첫 번째 방법은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응되는 코드를 문자 코드 안내서를 보고 찾아서 해당 코드를 숫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문자 A,B,C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A에 해당하는 코드인 12, B에 해당하는 코드인 13과, C에 해당하는 코드인 14를 문자 코드 안내서를 통해 찾아 숫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였다.
상기 두 번째 방법은 숫자키에 세 개 또는 네 개의 문자가 대응되어 숫자키의 입력 횟수에 따라 문자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가 표시되면 확인키를 눌러 선택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 K,B,S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J, K, L에 대응되는 숫자키인 5를 두 번, A, B, C에 대응되는 숫자키인 2를 두 번, 마지막으로 P, Q, R, S에 대응되는 숫자키인 7을 네 번 눌러 입력하였다. 대응되는 숫자키를 누르는 횟수는 하나의 숫자키에 세 개 또는 네 개의 문자가 대응되므로 대응되는 문자의 순번에 해당하는 만큼 누르는 횟수가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팩시밀리장치에서 자국명 또는 자국번호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는 영문만이 가능하여 영문을 숙지하고 있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팩시밀리장치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선택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등록모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자음등록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4는 도 2의 모음등록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글등록모드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롬(2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LIU(Line Interface Unit)(1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을 모뎀(14)으로 연결하며, 착신 링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모뎀(14)은 상기 LIU(12)를 통해 입력되는 변조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LIU(12)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할 신호를 변조한다. OPE(Operating Panel)(16)는 팩시밀리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설정하거나 명령하기 위한 다수의 키로 구성되며, 상기 키의 눌림에 의한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OPE(16)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다수의 숫자키와 등록키(*키)를 구비한다. 스케너(18)는 송신 또는 복사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공급되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프린터(20)는 수신되는 화상데이타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인쇄한다. 센서(22)는 팩시밀리의 각종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알린다. 롬(24)은 상기 제어부(10)가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 수행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26)은 팩시밀리의 특정 기능 수행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수신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거나, 팩시밀리에서 기능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과정을 도 2, 도 3,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글 등록모드가 설정된 후 자음 입력 요구가 있으면 방향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자음을 등록하는 자음 등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모음 입력 요구가 있으면 방향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모음을 등록하는 모음 등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글 등록모드가 설정되면 문자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문자코드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술한 팩시밀리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2, 도 3, 도 4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는 도 2의 210단계에서 한글을 등록하기 위한 한글 등록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OPE(16)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판단한다. 만약 OPE(16)로부터 영문 등록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키 데이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24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영문 등록모드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210단계에서 한글 등록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12단계로 진행되면 한글의 자음을 입력할 것인지 모음을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OPE(16)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214단계에서 자음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자음등록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216단계에서 모음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20단계로 진행하여 자음등록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수행되는 자음등록모드의 상세한 단계를 도 3에 도시된 자음등록모드 서브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어부(10)는 310단계에서 자음을 최초 자음인 ㄱ부터 입력되는 방향키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카운트 값 n을 1로 세팅한다. 상기 제어부(10)는 312단계에서는 n번째 자음을 OPE(16)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는 312단계에서 선택된 자음을 표시한 후 314단계 내지 316단계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감지한다. 상기 314단계에서 다음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업(up)키의 입력이 감지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n을 하나 증가시킨 후 3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322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n에 세팅된 값이 마지막 자음을 선택할 수 있는 값(자음의 총 개수인 19) 보다 큰 20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n이 20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310단계로 진행하여 최초 자음이 선택될 수 있도록 n을 1로 세팅하며, n이 20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312단계로 리턴하여 표시창에 n에 대응되는 자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316단계에서 이전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다운(down)키의 입력이 감지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0)는 324단계로 진행하여 n을 하나 감소시킨 후 3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326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n에 세팅된 값이 최초 자음을 선택할 수 있는 값인 1 보다 작은 0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326단계에서 n이 0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328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자음이 선택될 수 있도록 n을 19로 세팅한 후 상기 312단계로 리턴하며, n이 0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312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312단계로 리턴되면 OPE(16)에 구비된 표시창에 n에 대응되는 자음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업키, 다운키가 아닌 상기 312단계에서 표시창에 표시된 자음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의 입력이 318단계에서 감지되면 3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330단계로 진행되면 문자가 기록되는 램(26)의 특정 영역에 상기 표시된 자음을 저장한 후 도 2의 222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 220단계에서 수행되는 모음등록모드의 상세한 단계를 도 4에 도시된 모음등록모드 서브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어부(10)는 410단계에서 모음을 최초 모음인 ㅏ부터 입력되는 방향키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카운트 값 ℓ을 1로 세팅한다. 상기 제어부(10)는 412단계에서는 ℓ번째 모음을 OPE(16)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는 412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을 표시한 후 414단계 내지 416단계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감지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다음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업(up)키의 입력이 감지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ℓ을 하나 증가시킨 후 4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422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ℓ에 세팅된 값이 마지막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값(모음의 총 개수인 12) 보다 큰 13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422단계에서 ℓ이 13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410단계로 진행하여 최초 모음이 선택될 수 있도록 ℓ을 1로 세팅하며, ℓ이 13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412단계로 리턴하여 표시창에 ℓ에 대응되는 모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416단계에서 이전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다운(down)키의 입력이 감지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0)는 424단계로 진행하여 ℓ을 하나 감소시킨 후 4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426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ℓ에 세팅된 값이 최초 모음을 선택할 수 있는 값인 1 보다 작은 0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426단계에서 ℓ이 0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428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모음이 선택될 수 있도록 ℓ을 12로 세팅한 후 상기 412단계로 리턴하며, ℓ이 0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412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412단계로 리턴되면 OPE(16)에 구비된 표시창에 ℓ에 대응되는 모음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업키, 다운키가 아닌 상기 412단계에서 표시창에 표시된 모음의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키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의 입력이 418단계에서 감지되면 4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430단계로 진행되면 문자가 기록되는 램(26)의 특정 영역에 상기 표시된 모음을 저장한 후 도 2의 222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218단계와 220단계에 의해 한글 등록의 종료를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OPE(16)로부터 입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등록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에 따른 자음과 모음이 인덱스(카운트 값인 n과 ℓ)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테이블도는 아래 나타낸 표 1과 같다.
예를 보면, n7,ℓ1,n5,n7,ℓ3,n8,n9,ℓ3,n2,n9,ℓ1의 순으로 입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상술한 팩시밀리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5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는 도 5의 510단계에서 한글을 등록하기 위한 한글 등록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OPE(16)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판단한다. 만약 OPE(16)로부터 영문 등록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키 데이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영문 등록모드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510단계에서 한글 등록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5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512단계로 진행되면 등록할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OPE(16)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는 514단계에서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문자코드에 해당하는 숫자키 데이터가 OPE(16)로부터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5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516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514단계에서 입력된 문자코드를 램(26)의 특정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516단계에서 문자코드가 저장되거나 상기 512단계에서 문자코드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518단계로 진행하여 한글 등록 종료를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OPE(16)로부터 입력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518단계에서 등록 완료를 요구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512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문자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며, 상기 키 데이터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등록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에 따른 문자코드에 대응하여 자음과 모음이 지정되는 테이블도는 아래 나타낸 표 2와 같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삼성전자를 입력하는 경우 선택되는 문자코드를 보면, 17,30,15,17,32,18,19,32,12,19,30의 순으로 입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의 자국명 등을 한글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국내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4)

  1. 인덱스에 대응하여 문자코드가 저장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글등록모드가 설정될 시 자음 등록모드 또는 모음 등록모드의 선택을 요구하여 상기 요구에 응답한 자음 등록이 입력되면 자음 선택 문자코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요구에 응답한 모음 등록이 입력되면 모음 선택 문자코드를 입력받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2. 문자그룹이 대응되는 숫자키와 문자 코드에 대응되는 문자를 저장하는 램을 구비한 팩시밀리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 등록 요구가 있으면 특정 자음을 선택하는 숫자 키데이타를 입력받아 문자코드로 등록하는 자음등록과정과,
    한글 모음 등록 요구가 있으면 특정 모음을 선택하는 숫자 키데이타를 입력받아 문자코드로 등록하는 모음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문자 입력방법.
  3. 현재 표시된 문자의 다음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업키와 현재 표시된 문자의 앞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다운키와 선택된 문자의 등록을 위한 등록키와 등록 문자를 저장하는 램을 구비한 팩시밀리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 등록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업키 또는 다운키의 입력에 따라 한글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등록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자음을 상기 램에 등록하는 자음등록과정과,
    한글 모음 등록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업키 또는 다운키의 입력에 따라 한글 모음을 선택하고 상기 등록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모음을 상기 램에 등록하는 모음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문자 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 등록 요구가 있으면 한글의 최초 자음을 표시하며, 상기 한글 모음 등록 요구가 있으면 한글의 최초 모음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문자 입력방법.
KR1019960076800A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KR19980057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800A KR19980057510A (ko)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800A KR19980057510A (ko)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10A true KR19980057510A (ko) 1998-09-25

Family

ID=6639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800A KR19980057510A (ko) 1996-12-30 1996-12-30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51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455A (ko) * 1987-05-07 1988-12-23 다떼이시 요시오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900001223A (ko) * 1988-06-30 1990-01-31 최근선 카메라의 문자등록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960006547Y1 (ko) * 1993-05-25 1996-07-31 김수상 자동차 브레이크 드럼의 베어링 분리기
KR960039862A (ko) * 1995-04-24 1996-11-25 김광호 캠코더의 한글제목 표시 시스템
KR970019274A (ko) * 1995-09-28 1997-04-30 배순훈 정보통신기기 등을 위한 한글코드화 처리 방법
KR970072853A (ko) * 1996-04-24 1997-11-07 진성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455A (ko) * 1987-05-07 1988-12-23 다떼이시 요시오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900001223A (ko) * 1988-06-30 1990-01-31 최근선 카메라의 문자등록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960006547Y1 (ko) * 1993-05-25 1996-07-31 김수상 자동차 브레이크 드럼의 베어링 분리기
KR960039862A (ko) * 1995-04-24 1996-11-25 김광호 캠코더의 한글제목 표시 시스템
KR970019274A (ko) * 1995-09-28 1997-04-30 배순훈 정보통신기기 등을 위한 한글코드화 처리 방법
KR970072853A (ko) * 1996-04-24 1997-11-07 진성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1887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 electronic telephone book function
JP362836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13664A (ko) 문자인식에 의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팩시밀리장치 및 그 전화번호 등록방법
US5764737A (en) Facsimile having user interface with keys that enable undo, yes, no and report functions
JP4077959B2 (ja) 文字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6023716A (en) Partial-display printing, secure communication and multiple-copying functions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9980057510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한글 등록방법
US5917613A (en) Facsimile having a multi-path, context interpretive, user interface
JPH06150061A (ja) 文書認識装置
US4995738A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with automatic hyphenation during editing
KR100222684B1 (ko) 팩시밀리에서 문자 입력방법
JP2937298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S63219061A (ja) 文字処理装置
KR100233125B1 (ko) 팩시밀리에서 방향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JPS60129874A (ja) 日本語文字入力装置
JPH0594430A (ja) 文書処理装置
JP2594350B2 (ja) 画像通信装置
KR100238476B1 (ko) 팩시밀리에서 화질/해상도 설정방법
KR19990059673A (ko)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JPH0744299A (ja) 文字入力装置
KR100222689B1 (ko) 팩시밀리에서 언어선택에 의한 메시지 표시방법
JPH03149961A (ja) 画像処理装置
JPH0422653A (ja) 印字装置
KR19980036202A (ko) 팩시밀리에서 시외 지역번호 검색 및 자동다이얼링 방법
JPH10190908A (ja) 読取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