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293A - 자동차용 시트백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293A
KR19980057293A KR1019960076567A KR19960076567A KR19980057293A KR 19980057293 A KR19980057293 A KR 19980057293A KR 1019960076567 A KR1019960076567 A KR 1019960076567A KR 19960076567 A KR19960076567 A KR 19960076567A KR 19980057293 A KR19980057293 A KR 1998005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
spring
gas spring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941B1 (ko
Inventor
문명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941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941B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백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시트 쿠션(10)에 부착된 보강 플레이트(14)와, 볼트(16)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14)에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안내홈(28a)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28)과,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압축된 상태의 플런저(24)를 고정 브라켓(28)의 안내홈(28a)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노브(26)와, 관통공(42)을 통해 브라켓(28)과 연통되며, 상부에는 가스 파이프(32)에 의해 가스 스프링(34)과 연결되는 조절챔버(30)와,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조절챔버(30)의 관통공(42)을 개폐하여 가스 스프링(34)을 작동하는 조절밸브(38)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백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된다. 통상, 차량의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별개로 구성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좌, 우측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플로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수평 프레임(2)상에 고정된 시트 쿠션(3)과, 수평 프레임(2)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4)에 고정된 시트 백(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트 백(5)의 상부에는 후방 충돌사고 시에, 승객의 머리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7)가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레버(8)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의 측면부에는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5)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레버(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의 양 측면부에는 차량이 급선회하는 경우에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 원심력에 의해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허리 보호용의 사이드 가드(side guard)(6)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에서는 탑승자의 앉은키에 상관없이 시트 백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앉는 자세가 불편하여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백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 쿠션에 부착된 보강 플레이트와, 볼트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과, 리턴 스프링에 의해 압축된 상태의 플런저를 고정 브라켓의 안내홈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와, 관통공을 통해 브라켓과 연통되며, 상부에는 가스 파이프에 의해 가스 스프링과 연결되는 조절챔버와, 압축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조절챔버의 관통공을 개폐하여 가스 스프링을 작동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백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항상 편안한 자세로 운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백 높이 조절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쿠션12: 시트 백
14: 보강 플레이트16: 볼트
18:고정 프레임20: 스토퍼
22: 리턴 스프링24: 플런저
26: 조절노브28: 고정 브라켓
30: 조절챔버32: 가스 파이프
34: 가스 스프링38: 조절밸브
40: 압축 스프링42: 관통공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백 높이 조절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10)의 측면에는 보강 플레이트(14)를 부착하였으며, 이 보강 플레이트(14)에는 볼트(16)를 사용하여 고정 브라켓(28)을 고정한 다음, 조절노브(26)를 설치하였다. 또한, 시트 쿠션(10)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12)의 프레임(18)에는 용접에 의해 가스 스프링(34)을 부착하였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조절노브(26)의 장착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28)내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스토퍼(20)가 부착되어 있으며, 조절노브(26)는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스토퍼(2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28)에 형성된 안내홈(28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조절챔버(30)내의 조절밸브(38)를 가압하게 된다.
조절노브(26)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조절밸브(38)를 상승시키면, 가스 파이프(32)를 통해 가스 스프링(34)이 작동되어 시트 백(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다음의 도 4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볼트(16)와 너트(16')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14)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28)내에는 스토퍼(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토퍼(20)의 상부에는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플런저(24)가 장착되어 있다.
플런저(24)의 상부에는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조절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28)과 조절챔버(30)사이에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밸브(38)는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되어 관통공(42)을 항상 막고 있다. 여기에서, 압축 스프링(40)의 하단은 조절밸브(38)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단은 스프링 시트(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만일, 조절밸브(38)가 상승하면서 관통공(42)을 개방하게 되면, 가스 파이프(32)를 통해 가스 스프링(34)이 작용하면서 시트 백(12)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시트 백(12)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런저(24)의 일단에는 상술한 조절노브(26)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플런저(24)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조절노브(26)를 손으로 잡고 화살표(P)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시트 백(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 브라켓(28)에 형성된 안내홈(28a)을 따라 조절노브(26)를 들어올려 플런저(24)를 상승시킨 다음, 상부의 조절밸브(38)를 가압하면 된다.
플런저(24)에 의해 조절밸브(38)가 상승하면서, 관통공(42)을 개방함에 따라 조절챔버(30)내의 공기의 유동이 시작됨으로써, 가스 스프링(34)의 길이를 조절하여 시트 백(12)의 높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시트 백(12)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에, 조절노브(26)를 놓으면, 조절밸브(38)는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관통공(42)을 막아 시트 백(12)을 고정하게 되며, 플런저(24)는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스토퍼(20)쪽으로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백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항상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10)과, 상기 시트 쿠션(10)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12)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10)에 부착된 보강 플레이트(14)와, 볼트(16)에 의해 상기 보강 플레이트(14)에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안내홈(28a)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28)과,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압축된 상태의 플런저(24)를 상기 고정 브라켓(28)의 안내홈(28a)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노브(26)와, 관통공(42)을 통해 상기 브라켓(28)과 연통되며, 상부에는 가스 파이프(32)에 의해 가스 스프링(34)과 연결되는 조절챔버(30)와,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챔버(30)의 관통공(42)을 개폐하여 가스 스프링(34)을 작동하는 조절밸브(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34)은 용접에 의해 시트 백 프레임(18)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KR1019960076567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KR10024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67A KR100241941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67A KR100241941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93A true KR19980057293A (ko) 1998-09-25
KR100241941B1 KR100241941B1 (ko) 2000-03-02

Family

ID=6639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567A KR100241941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백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9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941B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535B1 (en)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7322652B1 (en) Vehicle seat with independent adjustable height bolster
EP1074427A2 (en) A vehicle seat for reversible occupant travel
CN108528293B (zh) 用于仰卧式机动车辆座椅总成的机构
JP2000517269A (ja) 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の座席
KR19980057293A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높이 조절장치
KR100208617B1 (ko) 자동차용 시트 이동장치
JPH0632165A (ja) 3人掛けの座席
JP2524255B2 (ja) エアバッグ装着座席のシ―トバック固定装置
KR10080271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에어 쿠션 장치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19980057339A (ko)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조절장치
KR100334288B1 (ko) 승합차용 시트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46731U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0138776Y1 (ko) 프론트시트의 시트쿠션 전후조절장치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199900418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KR20040043298A (ko) 자동차 시트의 요추 지지장치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80062267A (ko) 자동차용 의자의 헤드레스트구조
KR19980058915U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KR19980034344U (ko) 차량용 시이트
KR19990020235A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9980011321U (ko) 시트 평형유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