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862U -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862U
KR19980056862U KR2019970000934U KR19970000934U KR19980056862U KR 19980056862 U KR19980056862 U KR 19980056862U KR 2019970000934 U KR2019970000934 U KR 2019970000934U KR 19970000934 U KR19970000934 U KR 19970000934U KR 19980056862 U KR19980056862 U KR 199800568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ok
cutting
lead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2265Y1 (ko
Inventor
차봉열
Original Assignee
차봉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봉열 filed Critical 차봉열
Priority to KR2019970000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2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8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8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2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73Cutting and clinching the terminal ends of the leads after they are fitted on a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PCB 기판에 삽입하는 각종 전자부품의 리드를 자동절단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전자부품이 절단장치에 너무 높게 진입될 때 리드에 붙은 종이테이프 부분이 절단되는 수가 많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절단장치와 동시에 움직이는 후크(5)를 설치하여 절단작용 직전에 후크(5)가 종이테이프를 눌러 끌어내리도록 하였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항상 일정한 길이로 리드가 절단되므로 작업의 원활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됨.

Description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본 고안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등의 각종전자 부품을 PCB 기판에 삽입시키는 자동삽입에 있어서, 전자부품의 리드(LEAD WIRE)를 자동절단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절단 장치에 진입되는 전자부품의 진입높이가 적정위치보다 높아서 리드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종이테이프 부분이 절단됨으로 인한 절단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절단작용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후크를 작용시켜 전자부품의 종이테이프 상단을 눌러 줌으로써 절단에 필요한 적절한 위치로 끌어내리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리드절단장치는 전자부품의 리드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PCB 기판에 고정시킬 때 균일하고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인데, 부품이 체인 이송장치에 의해 절단장치로 진입될 때 부품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못하여 리드의 길이가 불균일하게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리드의 하단에는 부품을 연속자동으로 생산 및 이송하기 위해 종이테이프를 부착하고 있는데, 부품이 너무 높은 상태로 진입하면 종이테이프 부분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로인해 리드가 완전히 절단되지 못하거나 아래로 배출되어야 할 종이테이프 부분이 그대로 붙어있기 때문에 결국 부품자동 삽입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리드의 절단작용과 연동되도록 날이송대의 하단에 후크를 설치하여 절단작용 직전에 부품을 일정위치로 끌어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길이로 리드가 절단되도록 하고 종이테이프가 부착된 위치를 절단하는 일이 없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전단면도
제 3 도 (가)(나)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전단면도로서,
(가)도는 작용중의 상태
(나)도는 작용후의 상태
제 4 도는 본 고안의 날이송대와 후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절단장치로 절단하는 전자부품의 한가지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후크를 도시한 요부저면 사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후크 작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드절단장치(2) 에어실린더
(3) 절단날(4) 이송대
(5) 후크(5') 몸체
(6)(6') 날(8) 가이드경사면
(9) 지지부(10)(10') 슬라이드경사면
(11) 원형요부(12) 스프링
(13) 받침캡(14) 유동공간부
(15) 가이드장홈(16) 가이드핀
(17) 스프링(18) 커버
(19) 조절구(20) 받침면
(21) 고정구(22) 조절나사
(23) 고정나사(50) 전자부품
(51) 리드(52) 종이테이프
본 고안은 절단날(3)이 선단에 고정된 이송대(4)를 에어실린더(2)로 전진시켜 전자부품(50)의 리드(51)를 절단토록 된 리드절단장치(1)에 있어서, 이송대(4)의 앞쪽에 후크(5)를 유설시켜 이송대(4)가 전진할 때 후크(5)의 선단이 리드(51)의 종이테이프(52) 위까지 전진한 후 아래로 젖혀지게끔 구상하여 전자부품(50)을 아래로 끌어내리도록 한 것인데, 이하 그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후크(5)의 선단에는 절단날(3)보다 조금높은 위치에 좌우로 벌어진 2개의 날(6)(6')을 형성하여 각날(6)(6')의 중앙 공간부에 절단날(3)과 절단지지날(7)이 위치토록 하고, 각날(6)(6')의 내측 저면에는 가이드경사면(8)을 형성하였다.
후크(5)의 몸체(5')는 이송대(4)의 저면으로 통과하여 끝단에는 지지부(9)를 돌성하였는데, 몸체(5')의 앞쪽상부와 이송대(4)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드 경사면(10)(10')을 형성하여 맞닿게 구성하고, 몸체(5')의 저면의 리드절단장치(1) 본체(1')에는 원형요부(11)를 형성하여 여기에 스프링(12)으로 탄지되는 받침캡(13)을 삽설하여 후크(5) 전체를 스프링(12)이 받쳐주도록 하였다.
이송대(4)의 중앙부위에는 후크(5)의 지지부(9)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도록 유동공간부(14)를 형성하고 그 좌우측에 가이드장홈(15)을 형성하여 지지부(9)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핀(16)이 가이드장홈(15)에 삽입되게끔 하였으며, 지지부(9)의 후단에는 스프링(17)을 탄지시켰다.
지지부(9)의 상부끝단은 이송대(4)의 상부로 돌출되게끔한 후 이송대(4)의 상부에 있는 커버(18)에 조절구(19)를 설치하여 지지부(9)가 일정거리 전진하면 조절구(19)의 받침면(20)에 닿도록 하였고, 상기 조절구(19)는 고정구(21)에 의해 지지되면서 조절나사(22)와 고정나사(23)를 설치하여 조절나사(22)를 회전시키면 조절구(19)가 전후진하게끔 하고 조절후 고정나사(23)를 잠그면 조절나사(22)가 고정되게끔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는 보조날, 24는 절단요부, 25는 연결블럭, 26은 작동판, 27은 승강대, 28은 날장치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우선 전반적인 리드절단장치(1)의 작용을 우선 설명하면, 리드(51)의 하단에 종이테이프(52)가 부착된 전자부품(50)이 체인이송장치(미도시 됨)에 의해 리드절단장치(1) 선단에 있는 절단요부(24)에 진입되다가 중앙부에 정지하면 리드절단장치(1)가 작용을 시작하는데, 먼저 에어실린더(2)가 전진하여 이송대(4) 전체를 전진시킴에 따라 이송대(4) 선단에 결합된 절단날(3)이 리드(51)쪽으로 전진하고 이와동시에 이송대(4)와 연결블럭(25)으로 연결된 작동판(26)이 전진하여서 승강대(27)를 끌어내리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날장치대(28)에 고정된 보조날(3')이 절단날(3')과 반대방향으로 전진하여 리드(51)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과 동시에 본 고안의 작용도 이루어지는데, 후크(5)는 이송대(4)에 가이드핀(16)으로 결합된 상태이고 스프링(17)으로 받쳐져 있으면서 슬라이드경사면(10)(10')이 맞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이송대(4)가 전진하면 후크(5) 역시 동시에 전진하게 되고, 후크(5) 선단의 날(6)(6')이 전자부품(50)의 종이테이프(52)위에 도달하면 후크(5)는 전진이 중지되어 제 2 도(가)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어서 이송대(4)가 계속 전진하면 제 2 도(나)와 같은 상태로 후크(5)가 아래로 젖혀지는데, 이는 조절구(19)의 받침면(20)에 후크(5)의 지지부(9)가 걸리므로서 후크(5)의 전진이 중지되는 것이고 이어서 후크(5)의 전진이 중지된 상태에서 이송대(4)는 계속 전진하므로 이송대(4) 저면의 슬라이드 경사면(10')이 후크 상면의 슬라이드경사면(10)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후크(5)가 아래로 젖혀지는 것이다.
이때 후크(5) 아래의 받침캡(13)는 스프링(12)을 누르면서 원형요부(11) 내로 삽입되는 것이고, 가이드장홈(15)이 가이드핀(16)의 지지를 받으며 가이드장홈(15)의 길이만큼 이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의 조절구(19)를 이용하여 후크(5)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는데 조절나사(22)를 회전시켜 조절구(19)를 전후진시키면 후크(5)의 지지부(9)가 조절구(19)의 받침면(20)에 걸리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송대(4)가 전진을 완료하여 후크(5)가 전자부품(50)의 종이테이프(52) 상단을 눌러 아래로 끌어내리고 이어 절단날(3)과 보조날(3')이 전자부품(50)의 리드(51)에 도달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에어실린더(2)에 의해 원복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송대(4)가 후진하면 슬라이드 경사면(10)(10')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후크(5)가 다시 들어올려지고 처음의 위치까지 끌려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실린더(2)에 의해 이송대(4)가 전진하여 절단날(3)과 보조날(3')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후크(5)를 작용시킴으로써, 전자부품(50)의 진입시 높이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진입하더라도 후크가 이를 끌어내려주게 되므로 항상 일정한 리드(51) 길이가 될 수 있고 종이테이프(52) 부분이 절단되어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도 종이테이프(52)가 그대로 붙어있게 되는 등 전자부품 자동삽입시의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해결되어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되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자부품의 리드를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송대(4)에 후크(5)를 유설시켜 이송대(4)가 전진하여 절단작용시 동시에 후크(5)를 작용시키도록 하는데, 후크(5)의 선단에 절단날(3)보다 조금높은 위치가 되도록 좌우로 벌어진 2개의 날(6)(6')을 형성하여 각날(6)(6')의 중앙 공간부에 절단날(3)과 절단지지날(7)이 위치토록 하고 각날(6)(6')의 내측 저면에는 가이드경사면(8)을 형성하며, 후크(5)의 몸체(5')는 이송대(4)의 저면으로 통과시켜 끝단에 지지부(9)를 돌설하되 몸체(5')의 앞쪽상부와 이송대(4)의 저면으로 통과시켜 끝단에 지지부(9)를 돌설하되 몸체(5')의 앞쪽상부와 이송대(4)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드경사면(10)(10')을 형성하여 맞닿게 구성하고 몸체(5') 저면의 리드절단장치(1) 본체(1')에는 원형요부(11)를 형성하여 여기에 스프링(12)으로 탄지되는 받침캡(13)을 삽설하며, 이송대(4)의 중앙부위에는 후크(5)의 지지부(9)가 삽입되도록 유동공간부(14)를 형성하고 그 좌우측에 가이드장홈(15)을 형성하여 지지부(9)에 관통삽입되는 가이드핀(16)이 삽입되게끔 하고 지지부(9)의 후단에는 스프링(17)을 탄지시키며, 지지부(9)의 상부끝단은 이송대(4)의 상부로 돌출되게끔 한 후 이송대(4)의 상부에 있는 커버(18)에 조절구(19)를 설치하여 지지부(9)가 일정거리 전진하면 조절구(19)의 받침면(22)에 닿도록 구성하고 조절구(19)는 고정구(21)에 지지되면서 조절나사(22)와 고정나사(23)를 체결하여 조절구(19)를 전후진 및 고정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KR2019970000934U 1997-01-21 1997-01-21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KR200162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934U KR200162265Y1 (ko) 1997-01-21 1997-01-21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934U KR200162265Y1 (ko) 1997-01-21 1997-01-21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62U true KR19980056862U (ko) 1998-10-15
KR200162265Y1 KR200162265Y1 (ko) 1999-12-15

Family

ID=1949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934U KR200162265Y1 (ko) 1997-01-21 1997-01-21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2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92B1 (ko) * 2014-12-11 2022-04-27 (주)지에스티 전자부품용 핀 자동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2265Y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812A (en) Component supply apparatus
US4175654A (en) Vibratory feeder system and mechanism
US10667447B2 (en) Components feeder
JPS61168299A (ja) プリント基板搬送位置決め装置
US5295294A (en) Tray and electronic parts supplying apparatus
KR19980056862U (ko)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US20200187398A1 (en) Feeder
KR200192680Y1 (ko)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 리드절단장치
US11291148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2004228248A (ja) テープ式電子部品供給装置
JP2811925B2 (ja) 電子部品の打抜供給装置
JP2629277B2 (ja) 部品供給装置
KR0124593Y1 (ko) 전자부품이 실장된 레이디얼 테이프의 공급 및 그 절단장치
CN220614289U (zh) 自动裁板装置
CN219597941U (zh) 剪脚机构
CN113330828B (zh) 带式供料器
KR200272305Y1 (ko)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CN210064197U (zh) 一种输送带皮带宽度微调装置
CN110945979B (zh) 带式供料器
JPS5999790A (ja) 印刷配線板押え装置
JPS622694Y2 (ko)
JPH0146254B2 (ko)
JPH0118598B2 (ko)
KR0140040Y1 (ko)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JPH0238217A (ja) 半導体装置の分離切出位置決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