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05Y1 -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05Y1
KR200272305Y1 KR2020020002274U KR20020002274U KR200272305Y1 KR 200272305 Y1 KR200272305 Y1 KR 200272305Y1 KR 2020020002274 U KR2020020002274 U KR 2020020002274U KR 20020002274 U KR20020002274 U KR 20020002274U KR 200272305 Y1 KR200272305 Y1 KR 20027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guide rail
base plate
fixe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2020020002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05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복수의 회로기판 받침대를 가지는 경우,1차적으로 첫번째 회로기판 받침대를 지나 두번째 회로기판 받침대로 이송되고, 2차적으로 첫번째 회로기판 받침대로 회로기판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첫번째 회로기판 받침대와 두번째 회로기판 받침대의 사이에 보조이송수단을 마련하여 길이가 비교적 작은 회로기판도 이들 사이를 지나가는데 무리가 없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원판부재(111)와, 상기 회전원판부재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112a)를 가지는 베이스판재(112)와, 상기 베이스판재의 개구부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113a)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115)와 종동측 핀축셋트(116)를 축설하여 구동벨트(114)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115)를 구동모터(118)로써 구동시켜 구동벨트(11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113)와, 상기 베이스판재 (112)상에서 일측 가이드레일부재(113)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117)로써 고정한 축봉(117b)과, 상기 축봉(117b)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 (117d)와 위치고정핀(117e)을 가진 회동아암(117f)과, 상기 축봉(117b)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상, 하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117c)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117)을 포함하여 구성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원판부재(121)와, 상기 회전원판부재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123a)를 가지는 베이스판재(123)와, 상기 베이스판재의 개구부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123a)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125)와 종동측 핀축셋트(126)를 축설하여 구동벨트(124)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125)를 구동모터(128)로써 구동시켜 구동벨트(12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123)와, 상기 베이스판재(122)상에서 일측 가이드레일부재 (123)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127a)로써 고정한 축봉(127b)과, 상기 축봉(127b)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127d)와 위치고정핀(127e)을 가진 회동아암(127f)과, 상기 축봉(127b)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상, 하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127c)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127)을 포함하여 구성한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 상기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의 사이에서 상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와, 하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의 연장선상에 마련한 보조이송수단(130)으로 구성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PCB FEEDING APPARATUS OF PCB MANUFACTURING MACHINE}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회로기판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에 회로부품을 조립하는 회로부품 조립기구를 복수로 구비하였을 때, 회로기판 공급수단부로부터 복수의 회로기판 받침대와, 회로기판 배출수단부로 이어지는 이송라인을 개량하여 효과적으로 회로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 제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회로부품 조립장치(100)를 두고, 그 이전에는 회로기판 공급수단부(200)를, 그 이후에는 회로기판 배출수단부(300)를 배치하며, 상기한 회로부품 조립장치(100)는 생산성을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회로부품 조립기구(101)(102)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복수의 회로부품 조립기구(101)(102)들은 각각의 회로기판 받침대(110)(120) 즉,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를 가지는 바, 이들 회로기판 받침대(110)(120)위에 회로기판을 이송 공급하기 위한 몇가지의 이송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예컨데, 회로기판 공급수단부위에서부터 회로기판 받침대위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레일 위에 회로기판을 올려 놓은 후,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밀대가 회로기판을 이송시키되, 복수의 간격 유지수단을 보유하여 2장씩 이동시킬 수 있게 한것이 있다.
또 다른 한가지 예로 실용신안 공개 제92-22479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회로기판 공급수단부에서 나란하게 대기하는 2장의 회로기판을 집게가 집어 올릴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집게는 실린더에 의해 전, 후진 하는 이동편에 고정되어 있으며, 집게가 고정되어 있는 이동편을 실린더가 전진시켜 복수의 회로기판 받침대 위에 올려 놓고, 전진했던 이동편이 다시 본래의 위치로 후퇴하는 순환 과정을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즉, 전자의 경우, 이송속도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가이드레일의 폭과 이음매부분이 정교하게 조립되어 있지 못할 경우, 이음매 부분에서 회로기판의 모서리가 부딪히면 이송불량 현상이 발생하거나 회로기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집게가 회로기판을 집어 올린 후, 이송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매우 느릴 뿐만 아니라 이동편이 회로기판 받침대의 전방에서 왕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 받침대부분의 시야를 가리게 되고, 회로기판 받침대부분을 점검하거나 수리하고자 했을 때, 상기한 이송대가 오작동하게 되면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회로기판을 이송시키되, 가이드 레일이나 밀대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회로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는 벨트식 이송구조가 개발되었다.
즉, 폭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두고, 그 각각의 가이드레일 밑에 구동벨트를 설치하여 회로기판의 양측 끝단이 상기 구동벨트에 얹힌 채 구동벨트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벨트식 이송장치에서도 회로기판 받침대를 복수로 구성하였을 경우, 각각의 회로기판 받침대에 각각 하나씩의 회로기판을 공급하고 또 각각 하나씩 수거하도록 하는 이송수단을 필요로 한다.
특히,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는 수시로 회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이드레일은 그 원판의 크기 내에서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길이를 원판의 직경을 넘어서 까지 길게 할 수가 없다.
따라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의 가이드레일로부터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의 사이는 상당한 거리가 있고, 이 거리보다 작은 길이의 회로기판은 이송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복수의 회로기판 받침대를 가지는 경우,1차적으로 첫번째 회로기판 받침대를 지나 두번째 회로기판 받침대로 이송되고, 2차적으로 첫번째 회로기판 받침대로 회로기판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첫번째 회로기판 받침대와 두번째 회로기판 받침대의 사이에 보조이송수단을 마련하여 길이가 비교적 작은 회로기판도 이들 사이를 지나가는데 무리가 없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는 좌, 우로 배열된 채 각각의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좌측 회전원판부재 및 우측 회전원판부재; 상기한 각각의 좌, 우 회전원판부재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를 가지는 각각의 베이스판재; 상기한 베이스판재의 개구부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와 종동측 핀축셋트를 축설하여 구동벨트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를 구동모터로써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 상기한 베이스판재 상에서 일측 가이드레일부재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로써 고정한 축봉과, 상기 축봉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와 위치고정핀을 가진 회동아암과, 상기축봉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좌, 우 한 쌍의 1,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 상기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의 사이에서 상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와, 하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의 연장선상에 마련한 보조이송수단으로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전자부품조립시스템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상 정면도
도 5는 보조이송수단의 또 다른 설치상태도
도 6은 보조이송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2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보조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9는 보조이송수단의 간격조절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작동상태도로서 배출가이드레일이 하강한 상태
도 12는 도 10의 작동상태도로서 배출가이드레일이 상승하기 직전상태
도 13은 스톱퍼 및 위치고정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스톱퍼 및 위치고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회로부품 조립장치 200 : 공급수단부
300 : 배출수단부 110 :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
120 :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 111,121 : 회전원판부재
112,122 : 베이스부재 113,123 : 가이드레일부재
114,124 : 구동벨트 115,125 : 구동측 핀축셋트
116,126 : 종동측 핀축셋트 117,127 : 회로기판 정지수단
118,128 : 구동모터 131,132 : 상,하측보조이송기구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좌, 우 양측의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와, 그 중간의 보조이송수단(130)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도면상 우측의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는 구동수단(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 전, 후 습동, 좌, 우 습동이 가능한 회전원판부재(111)와, 상기 회전원판부재(111)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112a)를 가지는 베이스판재(112)와, 상기 베이스판재(112)의 개구부(112a)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113a)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113a)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115)와 종동측 핀축셋트(116)를 축설하여 구동벨트(114)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115)를 구동모터(118)로써 구동시켜 구동벨트(11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113)와, 상기 베이스판재(112)상에서 일측가이드레일부재(113)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117a)로써 고정한 축봉(117b)과, 상기 축봉(117b)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117d)와 위치고정핀(117e)을 가진 회동아암(117f)과, 상기 축봉(117b)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상, 하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117c)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117)을 포함한다.
또한, 좌측의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는 역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거의 대칭의 형태로 유사하다.
즉, 구동수단(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 전, 후 습동, 좌, 우 습동이 가능한 회전원판부재(121)와, 상기 회전원판부재(121)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122a)를 가지는 베이스판재(122)와, 상기 베이스판재(122)의 개구부(122a)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123a)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123a)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125)와 종동측 핀축셋트(126)를 축설하여 구동벨트(124)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125)를 구동모터(128)로써 구동시켜 구동벨트(12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123)와, 상기 베이스판재(122)상에서 일측 가이드레일부재(123)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117a)로써 고정한 축봉(127b)과, 상기 축봉(127b)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127d)와 위치고정핀(127e)을 가진 회동아암(127f)과, 상기 축봉(127b)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상, 하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127c)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127)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이송수단(130)은 상기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의 사이에서 상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와, 하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의 연장선상에 마련한다.
이때의 보조이송수단(130)은 상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 사이에 마련한 상측보조이송기구(132)와, 하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 사이에 마련한 하측보조이송기구(13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측보조이송기구(132)는 수직편(132a)을 가지며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32b)와, 상기 고정부재의 수직편(132a)에서 수평방향으로 축착된 복수의 아이들롤러(132c)와, 상기 아이들롤러(132c)와 근접된 위치에 축착된 구동롤러(132d)로 구성하고, 하측보조이송기구(131)는 상측보조이송기구(132)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대칭형으로 형성하되, 수직편(131a)을 가지며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31b)와, 상기 수직편(131a)에서 수평방향으로 축착된 복수의 아이들롤러(131c)와, 상기 아이들롤러(131c)와 근접된 위치에 축착된 구동롤러(131d)로 구성되며, 상기한 각각의 구동롤러(131d)(132d)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구동모터(131e)(132e)를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어느 한 쪽의 구동모터만 설치할 수도 있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모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상측보조이송기구(132)와 하측보조이송기구(131)는 회로기판의 폭에 맞게 서로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어느 한 쪽의 보조이송기구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한다.
예컨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보조이송기구(131)를 보울트(132e)로써 체결하되, 장공(132f)을 통해 체결하고, 상기 장공의 범위 내에서 상측보조이송기구(132)를 옮겨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이송수단(130)은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서 보듯이 회로부품 조립기구(101)(102)를 이용하여 그 저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로부품 조립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즉, 회로기판이 이송되는 순간에는 밑으로 하강하여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의 사이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고, 회로기판의 이송이 끝나면 즉시 상승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공급수단부(200)의 공급가이드레일(201)을 따라 회로기판(P)이 이송되어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에 보내지게 되는데, 이때 공급수단부(200)의 공급가이드레일(201)은 그 외측 하단에 마련된 승강기구(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하강하여 그 끝단에서 하향돌출시킨 돌출부(202)가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에있는 정지수단(117)의 압압편(117c)을 누르고 있게 된다.
축봉(117b)에 축착되어 있는 압압편(117c)이 눌리면 반대쪽의 회동아암(117f)이 들어 올려지고, 따라서 회동아암(117f)의 끝단에 돌출되어 있던 스톱퍼(117d)와 위치고정핀(117e)은 가이드레일부재(113)를 따라 이송되는 회로기판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
또 공급수단부(200)의 공급가이드레일(201)이 하강하는 것과 때를 같이 하여 배출수단부(300)의 배출가이드레일(301)도 그 외측 하단에 마련된 승강기구(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하강하여 그 끝단에서 하향돌출된 돌출부(302)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에있는 정지수단(127)의 압압편(127c)을 누르고 있게 된다.
이때도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축봉(127b)에 축착되어 있는 압압편(127c)이 눌리면 반대쪽의 회동아암(127f)이 들어 올려지고, 따라서 회동아암(127f)의 끝단에 돌출되어 있던 스톱퍼(127d)와 위치고정핀(127e)은 가이드레일부재(123)를 따라 이송되는 회로기판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로기판(P)이 공급가이드레일(201)을 타고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에 도입되면 그 회로기판(P)의 선단부 양측 끝단이 도 2에서 보듯이 상측(도면상의 방향임-이하 같음)의 가이드레일부재(113)와 하측의 가이드레일부재(113)의 내단턱부(113a)에서 구동벨트(114)위에 얹힌 채 이송된다.
이와 같은 이송이 계속되면 회로기판(P)의 중단부가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의 구동벨트(114)를 벗어날 즈음에는 회로기판(P)의 선단부는 이미 보조이송수단(130)의 아이들롤러(131c)(132c)와 구동롤러(131d)(132d)의 사이에 안내되고, 회로기판(P)의 후단부가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의 구동벨트(114)를 벗어날 즈음에는 회로기판(P)의 중단부는 보조이송수단(130)의 아이들롤러(131c)(132c)와 구동롤러(131d)(132d)의 사이를 지나게 되며, 이때 회로기판(P)의 선단부는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의 가이드레일부재(123)의 구동벨트(124) 속으로 도입되고 있게 된다.
그리고 회로기판(P)의 후단부가 보조이송수단(130)을 통과할 즈음에는 배출수단부(300)의 배출가이드레일(301)이 승강기구에 의해 상승을 하게 되며, 배출가이드레일(301)이 상승하면 배출가이드레일(301) 끝단의 돌출부(302)가 압압편(127c)을 누르고 있다가 상승하므로 회동아암(127f)의 끝단이 반쯤 내려지게 되고, 따라서 회동아암의 끝단에서 아래로 돌출된 스톱퍼(127d)에 회로기판이 닿으면 이동이 완료되며, 그 상태에서 회동아암(127f)이 더 내려지면 양측 회동아암(127f)의 끝단에 돌출되어 있던 위치고정핀(127e)이 회로기판(P)의 네 귀에 형성된 구멍에 기워져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회로기판(P)이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를 지나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 위에 올려져 정위치를 잡고 나면 그 다음 또 다른 회로기판(P)이 다시 공급가이드레일(201)로부터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에 보내지며, 그 회로기판(P)의 선단부 양측 끝단이 도 2에서 보듯이 상측(도면상의 방향임-이하 같음)의 가이드레일부재(113)와 하측의 가이드레일부재(113)의 내단턱부(113a)에서 구동벨트(114)위에 얹힌 채 들어가기 시작하면 공급수단부(200)의 공급가이드레일(201)이 승강기구에 의해 상승을 하게 되며, 공급가이드레일(201)이 상승하면 공급가이드레일(201) 끝단의 돌출부(202)가 압압편(117c)을 누르고 있다가 상승하므로 회동아암(117f)의 끝단이 반쯤 내려질 때 그 아래의 스톱퍼(117d)에 회로기판이 닿아 이동이 완료되며, 그 상태에서 회동아암(117f)이 더 내려가 양측 회동아암(117f)의 끝단에 돌출되어 있던 위치고정핀(117e)이 회로기판(P)의 네 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에 각각 하나씩의 회로기판(P)이 이송 공급되면, 양쪽의 회로부품 조립기구(101)(102)가 각각의 회로기판에 회로부품을 자동으로 조립하게 된다.
회로부품을 모두 조립하고 나면 이번에도 공급가이드레일(201)과 배출가이드레일(301)이 승강기구에 의해 하강하여 각각의 끝단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02)(302)가 회로기판 정지수단(117)(127)의 압압편(117c)(127c)들을 눌러 회동아암(117f)(127f)들이 상승하게 하고, 회동아암(117f)(127f)들이 상승하므로 해서 스톱퍼(117d)(127d) 및 위치고정핀(117e)(127e)들이 상승하여 회로기판이 이송하기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급가이드레일(201)과 배출가이드레일(301)이 하강하므로 인해 스위치들이 ON되면 각각의 구동모터(118)(128)들이 작동하여 좌, 우측 가이드레일부재(113)(123)의 구동측 핀축셋트(115)(125)를 구동시키고, 이들은 구동벨트 (114)(124)를 작동시키므로 다시 회로기판들을 배출가이드레일(301)로 이송시킨다.
즉,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에 있던 회로기판은 상, 하측 가이드레일부재(123)의 구동벨트(124)에 의해 우선적으로 즉시 좌측으로 배출되어 배출가이드레일(301)에 얹혀 배출된다.
또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에 있던 회로기판은 상, 하측 가이드레일부재 (113)의 구동벨트에 의해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로 우선 보내어 지며, 이때 그 선단이 보조이송수단(130)의 아이들롤러(131c)(132c)와, 구동롤러(131d)(132d)의 사이에 물려 진행되므로 길이가 짧은 회로기판도 무리없이 이송되는 것이고,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에서 배출가이드레일(301)로 이송되는 것은 앞서와 동일하며, 이 상태에 이어서 다시 새로운 회로기판들이 처음과 마찬가지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에 이송 공급되면 다시 회로부품을 자동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참고로 회로기판 정지수단(117)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톱퍼(127d)도 하나의 회동아암(117f)에 고정하고, 위치고정핀(117e)도 또 다른 하나의 회동아암(117g)에 고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복수의 회로부품 삽입기구를 갖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에 있어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를 구비하고, 그 각각의 회로기판 받침대상에 베이스판재를 이용하여 한 쌍씩의 가이드레일부재를 설치하되, 이들 가이드레일부재는 구동벨트로써 회로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회로기판이 공급수단부의 공급가이드레일로부터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로부터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로,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로부터 배출수단부의 배출가이드레일로 이송되어 종래와 같은 회로기판용 밀대나 이송대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의 사이에 별도의 보조이송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회로기판의 길이가 짧더라도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로부터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로 이송되는 순간 이탈되거나 걸리는 일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며, 안전성 및 호환성이 큰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회로기판 공급수단부(200)로부터 회로기판을 공급받아 회로부품 조립장치(100)에서 회로부품을 조립한 후, 배출수단부(300)로 배출하는 것에 있어서,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원판부재(111)와, 상기 회전원판부재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112a)를 가지는 베이스판재(112)와, 상기 베이스판재의 개구부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113a)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115)와 종동측 핀축셋트(116)를 축설하여 구동벨트(114)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115)를 구동모터(118)로써 구동시켜 구동벨트(11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113)와, 상기 베이스판재(112)상에서 일측 가이드레일부재(113)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117)로써 고정한 축봉(117b)과, 상기 축봉(117b)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117d)와 위치고정핀(117e)을 가진 회동아암(117f)과, 상기 축봉(117b)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상, 하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117c)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117)을 포함하여 구성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원판부재(121)와, 상기 회전원판부재 위에 고정된 채 중앙에 사각의 개구부(123a)를 가지는 베이스판재(123)와, 상기 베이스판재의 개구부에서 상측 내변과 하측 내변에 평행하게 고정하되,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단턱부(123a)를 형성하고, 그 내단턱부에서 양측 끝단에 구동측 핀축셋트(125)와 종동측 핀축셋트(126)를 축설하여 구동벨트(124)를 걸고, 상기 구동측 핀축셋트(125)를 구동모터(128)로써 구동시켜 구동벨트(12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이드레일부재(123)와, 상기 베이스판재(122)상에서 일측 가이드레일부재(123)의 외측편에서 한 쌍의 축받침부재(127a)로써 고정한 축봉(127b)과, 상기 축봉(127b)의 일측 양단에 축착하되 외단에 스톱퍼(127d)와 위치고정핀(127e)을 가진 회동아암(127f)과, 상기 축봉(127b)의 양단에 축착하되 축봉을 상, 하 회동시킬 수 있는 압압편(127c)으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정지수단(127)을 포함하여 구성한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
    상기한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10)와,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120)의 사이에서 상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113)(123)와, 하측의 좌, 우 가이드 레일부재(113)(123)의 연장선상에 마련한 보조이송수단(130);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이송수단(130)는 상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 사이에 마련한 상측보조이송기구(132)와, 하측의 좌, 우 가이드레일부재 사이에 마련한 하측보조이송기구(131)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측보조이송기구(132)와, 하측보조이송기구(131)는 수직편(131a) (132a)을 가지며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31a)(132a)와, 상기 수직편에서 수평방향으로 축착된 복수의 아이들롤러(131c)(132c)와, 상기 아이들롤러와 근접된 위치에 축착된 구동롤러(131d)(132d)를 가지며,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1e)(132e)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측보조이송기구(132)와, 하측보조이송기구(131) 중에서 적어도 어는 하나는 서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바닥판에 장공(132f)을 형성한 후, 보울트로 체결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이송수단(130)은 상, 하 승강하는 상기 회로부품 조립장치(100)의 회로부품 조립기구(101)(102)에 저면에 설치하여, 상기 회로부품 조립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1차측 회로기판 받침대 및 2차측 회로기판 받침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KR2020020002274U 2002-01-24 2002-01-24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KR20027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74U KR200272305Y1 (ko) 2002-01-24 2002-01-24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74U KR200272305Y1 (ko) 2002-01-24 2002-01-24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851A Division KR100373230B1 (ko) 2000-11-27 2000-11-27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305Y1 true KR200272305Y1 (ko) 2002-04-17

Family

ID=7307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74U KR200272305Y1 (ko) 2002-01-24 2002-01-24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253A (zh) * 2017-09-20 2018-01-26 广东金弘达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抗测试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253A (zh) * 2017-09-20 2018-01-26 广东金弘达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抗测试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1128B1 (en) Modular mechanical fixturing and automated handling of printed circuit assemblies on automated test equipment
CA1238010A (en) Automatic board handling mechanism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US6272743B1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4565443A (en) Printing apparatus
CN115867018A (zh) 一种电子元器件的连接组合装置
KR100373230B1 (ko)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KR200272305Y1 (ko)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회로기판 이송장치
EP12286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precise position during processing
JPH0377679B2 (ko)
JP2009135215A (ja) 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US5490317A (en) Tapered alignment guide arrangement for self aligning part excision die members in tape automated bonding apparatus
JPS61142039A (ja) 基板位置決め装置
JPH03213223A (ja) 工作物支持装置
JP2000158242A (ja) 部品供給圧入装置
JPH04346299A (ja) 基板位置決め装置
JP3758932B2 (ja) マウンタの基板セット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切替え方法
JPH0985695A (ja) 部品供給装置
JP7133041B2 (ja) 搬送装置
JPH09237995A (ja)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の分離及び回収装置
JPH10119241A (ja) 回路基板の位置決め装置
US20040172812A1 (en) Device for displac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003226424A (ja) 予備位置決め機構およびその方法
JPH03555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