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066A - 가변저항기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저항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066A
KR19980056066A KR1019960075329A KR19960075329A KR19980056066A KR 19980056066 A KR19980056066 A KR 19980056066A KR 1019960075329 A KR1019960075329 A KR 1019960075329A KR 19960075329 A KR19960075329 A KR 19960075329A KR 19980056066 A KR19980056066 A KR 1998005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or
knob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1973B1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9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6Adjustable resistors including plural resis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스터 게이지 및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저항기 구조(Rheostat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크기를 컴팩트(Compact)하게 되도록 복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면서 노브가 다이얼 타입으로 작동되는등 구조가 간단한 가변저항기를 성형시키므로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에 회로적으로 연결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킴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저항기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스터 게이지 및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저항기 구조(Rheostat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저항기(100)는 3개의 단자와 좌우회전방식의 노브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3개의 단자는 차량의 크래쉬패드 내부에 위치하면서 차량의 크래쉬패드상에 설치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를 조절시킬수 있도록 크래쉬패드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노브를 좌우회전시켜 가변저항기의 저항값을 가변시키면, 상기 가변되는 저항값에 따라 차량의 크래쉬패드상에 설치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이 가변되므로서, 상기 가변되는 전류량에 따라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는 운전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가변저항기(100)는 3개의 단자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좌우회전방식으로 회전하는 노브를 채택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에 회로적으로 연결시 제조공정 및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를 조절시키도록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노브는 좌우회전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상기 노브가 부드럽게 회전되지 않으므로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기를 컴팩트(Compact)하게 되도록 복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면서 노브가 다이얼 타입으로 작동되는등 구조가 간단한 가변저항기를 성형시키므로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에 회로적으로 연결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변저항기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가변저항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 3의 A-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가변저항기 구조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항케이스, 10a: 컨넥터부, 20: 노브, 30: 인쇄회로기판, 30a: 와이어링, 40: 와이어플레이트, 40a: 접점부, 50: 힌지축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가변저항기 구조는,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도록 하부면에 컨넥터부가 일체화되면서 컴팩트화된 저항케이스와, 상기 저항케이스의 상단부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와, 상기 저항케이스의 내부 양측면에 장착되면서 평면상에 일정간격으로 굴곡되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된 와이어링이 프린팅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프린팅된 와이어링과 접점을 이루면서 저항값을 가변시킬수 있도록 노브의 회전동작과 동시에 연동하는 와이어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 가변저항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가변저항기 구조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기 구조는 저항케이스(10), 노브(20), 인쇄회로기판(30) 및 와이어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케이스(10)는 컴팩화되도록 성형되면서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됨과 동시에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에 회로적으로 연결될수 있도록 하부면에 컨넥터부(10a)를 설치한다.
상기 노브(20)는 반원형상의 다이얼타입으로 성형된 것으로 상기 저항케이스(10)의 상단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 및 와이어플레이트를 접점시켜 가변저항기의 저항값을 가변시키도록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저항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평면상에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0)와 접점을 이루기 위한 와이어링(30a)을 일정간격으로 굴곡시키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되도록 프린팅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0)는 가변저항기의 저항값이 가변될수 있도록 상기 노브(20)의 회전동작과 동시에 연동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상에 프린팅된 와이어링(30a)사이를 유동하며,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0)의 양끝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굴곡되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된 상기 와이어링(30a)과의 접점을 이룰수 있도록 굴곡되면서 중간부분이 갈라진 갈고리형상의 접점부(40a)를 일체로 성형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차량을 주행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를 조절시키고자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면서 하부면의 컨넥터부(10a)가 상기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에 연결된 저항케이스(10)에 있어, 상기 저항케이스(1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반원형상의 다이얼타입으로 성형된 노브(20)를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저항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노브(20)와 동시에 연동하는 와이어플레이트(40)가 회전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동작하는 와이어플레이트(40)는 상기 저항케이스(10)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30)의 평면상에 일정간격으로 굴곡되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되도록 프린팅된 와이어링(30a)과 유동하면서 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0)의 양끝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굴곡되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된 상기 와이어링(30a)과 접점을 이룰수 있도록 중간부분이 갈라진 갈고리형상의 접점부(40a)가 성형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접점부(40a)가 와이어플레이트(40)의 유동과 동시에 회동하면서 인쇄회로기판(30)의 와이어링(30a)과 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접점부(40a) 및 와이어링(30a)의 접점동작에 따라 가변저항기의 저항값이 가변됨과 동시에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전류량이 조절되므로서, 상기 전류량의 조절에 따라 차량의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는 운전자가 원하는 밝기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크기를 컴팩트하게 되도록 복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면서 노브가 다이얼 타입으로 작동되는등 구조가 간단한 가변저항기를 성형시키므로서,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 램프의 밝기조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클러스터 게이지 또는 인디케이터에 회로적으로 연결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도록 하부면에 컨넥터부가 일체화되면서 컴팩트화된 저항케이스와, 상기 저항케이스의 상단부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와, 상기 저항케이스의 내부 양측면에 장착되면서 평면상에 일정간격으로 굴곡되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된 와이어링이 프린팅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프린팅된 와이어링과 접점을 이루면서 저항값을 가변시킬수 있도록 노브의 회전동작과 동시에 연동하는 와이어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반원형상의 다이얼타입으로 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플레이트에는 갈고리형상의 접점부가 양끝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기 구조.
KR1019960075329A 1996-12-28 1996-12-28 가변저항기 구조 KR10022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29A KR100221973B1 (ko) 1996-12-28 1996-12-28 가변저항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29A KR100221973B1 (ko) 1996-12-28 1996-12-28 가변저항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66A true KR19980056066A (ko) 1998-09-25
KR100221973B1 KR100221973B1 (ko) 1999-09-15

Family

ID=194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329A KR100221973B1 (ko) 1996-12-28 1996-12-28 가변저항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973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858B2 (en) Damper and an assembly therewith
US5372087A (en) Analog indicator with self-luminescent pointer
JP3547425B2 (ja) 自転車用電気コード接続構造
US4875860A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for steering wheel and steering column
US5623854A (en) Retention and detent spring for control knob
US5883348A (en) Switch mounting structure
KR100640230B1 (ko) 세탁기 및 건조기의 백스플래쉬 장착구조
KR100221973B1 (ko) 가변저항기 구조
EP0861753B1 (en) Combination switch
US4358751A (en) Automatically cancelling turn signal apparatus
JP3649637B2 (ja) 電子機器の照光構造
US5630373A (en) Analog indicator with self-luminescent pointer
KR100718571B1 (ko) 자동차의 와이퍼 스위치
KR0183120B1 (ko) 차량용 레지스터
JP2875300B2 (ja) ランプ装置
JP2566907Y2 (ja) レバー装置
CN211693485U (zh) 一种怀挡式换挡器
KR20040107249A (ko) 자동차의 와이퍼 스위치
KR200389703Y1 (ko) 공조패널의 로터리 스위치구조
JPS5819670Y2 (ja) ミシンの選択模様表示装置用の点滅用配線板
JPH1139999A (ja) ロータリ式ボリュームスイッチ
KR0171325B1 (ko) 컨넥터가 구비된 몰딩 어셈블리 스위치
JPS5833682Y2 (ja) 自動車用ワイパ操作レバ−のノブに収容した可変抵抗器の節度機構
JPH0230803Y2 (ko)
KR200155062Y1 (ko)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