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062Y1 -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 Google Patents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062Y1
KR200155062Y1 KR2019960049724U KR19960049724U KR200155062Y1 KR 200155062 Y1 KR200155062 Y1 KR 200155062Y1 KR 2019960049724 U KR2019960049724 U KR 2019960049724U KR 19960049724 U KR19960049724 U KR 19960049724U KR 200155062 Y1 KR200155062 Y1 KR 200155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ensor
potentiometer
type steering
contac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713U (ko
Inventor
정연구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49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0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7/31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wheel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60Unique sensor ident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습동자의 접촉성을 향상시켜 탄성력 소실 또는 진동으로 인한 접촉소실을 줄인 포텐셔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전도성을 지닌 본체(200)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가이드홀(52)에 삽입되도록 본체(200)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00)와, 본체(200) 하부에 다수개의 미세한 두께의 스틸와이어로 상기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저항체(11)와 도체(13)에 탄성력을 갖으며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촉부(300)로 이루어져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저항체(11)와 도체(13)상을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시키는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

Description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본 고안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동자의 접촉부를 탄성력을 갖는 멀티와이어로 하여 접촉될 수 있도록 한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으로서, 특히 4륜 조향 시스템은 후륜을 차량의 전륜각과 차속에 따라 후륜 조향각도를 조절함으로서 저속에서 차량의 조종성과 고속에서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추구하는 고기술 시스템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4륜 조향 시스템에서는 전륜각을 측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센서와,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센서와, 조향각을 측정하는 후륜 조향각 센서가 사용되어 차량의 전륜각 및 차속에 따라 저속에서는 전륜각과 반대방향으로 조향되고 고속에서는 전륜각과 동일방향으로 조향되도록 조향된다.
따라서, 4륜 조향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전륜각을 측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전륜각을 측정하는 스티어링센서로서는 ABS용 스티어링 센서가 존재하고는 있으나 차량의 전륜을 ±35°조타하는데 스티어링 사프프는 약 ±540°의 변환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1080°가 변환된다.
상기의 1080°는 3회전에 해당하는 값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한 정확한 값을 알기 위해서 3회전하는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센서를 사용한다.
도1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위에 원반 중심방향으로 나선형으로 3회전 되도록 저항체(11)와 도체(13)가 코팅된 본체(10)에 가이드플랫(30)이 놓이고 커버(50)로 씌우도록 되어있다. 가이드플랫(30)에는 가이드슬롯(33)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슬롯(33)을 따라 저항체(11)와 도체(13)를 서로 접촉시키는 습동자(35)가 놓인다. 그리고 가이드플랫(30)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홈(31)에 스티어링샤프트(20)에 형성된 돌기(22)가 합치되어 스티어링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플랫(30)이 회전하고 가이드홈에 끼워진 습동자(35)가 저항체(11)와 도체(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미끄러져 이동한다. 이 때 저항체(11)와 도체(13)를 본체(10)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자(40)와 각각 연결하여 각각의 단자(40)에서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저항값의 변화로 조향각을 측정할 수 있다.
도2에 도1도시한 스티어링센서의 조립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코팅형성된 도체(13)와 저항체(11) 위를 습동자(35)에 의해 접촉되면서 미끄러져 이동한다. 습동자(35)는 커버(50)에 형성된 가이드홀(52)을 따라 회전하고 가이드플랫(30)에 형성된 사이드슬롯에 의해 회전된다. 가이드플랫(30)은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홈(31)과 스티어링샤프트(20)에 형성된 돌기(22)와 합치되어 스티어링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플랫(3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저항체(11)와 도체(13)의 접촉점이 습동자(35)가 스티어링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변화되는 저항값을 측정하여 스티어링샤프트(20)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습동자(35)는 저항체(11)와 도체(13)위를 미그러져 이동하면서 저항체(11)와 도체(13)를 서로 접촉시켜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역활을 한다. 그런데 상기 습동자(35)가 저항체(11)와 도체(13)상을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서로 접촉시키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습동자(35)가 저항체(11)와 도체(13)에 접촉되는 습동부분의 탄성력이 소실되어 진동등에 의해 접촉불량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습동자의 접촉성을 향상시켜 탄성력 소실 또는 진동으로 인한 접촉소실을 줄인 포텐셔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 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 센서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멀티와이어에 의한 접촉부를 갖는 습동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습동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저항체 13 : 도체
35 : 습동자 33 : 가이드슬롯
52 : 가이드홈 100 : 돌출부
200 : 본체 300 : 접촉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전도성을 지닌 본체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본체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본체 하부에 다수개의 미세한 두께의 스틸와이어로 상기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저항체와 도체에 탄성력을 갖으며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습동자는 접촉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스틸와이어에 의해 저항체와 도체를 서로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에서 사용된 도면의 명칭 및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3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을 지닌 습동자(35) 본체(200)의 상부에 돌출부(100)가 형성되고 본체(200) 하부에는 다수개의 미세한 두께를 지닌 스틸와이어의 두 묶음으로 이루어진 접촉부(300)로 이루어진다. 접촉부(300)의 스틸와이어 두 묶음 중 한 묶음은 저항체(11)와 접촉되며 다른 한 묶음은 도체(13)와 접촉된다.
그리고 도4는 접촉부(300)의 스틸와이어를 좀더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습동자(35)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4를 보면 첩촉부의 저항체(11)와 접촉되는 스틸와이어 한 묶음과 도체(13)와 접촉되는 스틸와이어 한 묶음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습동자(35)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스틸와이어로 이루어진 접촉부(300)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저항체(11)와 도체(13)에 접촉되면서 저항체(11)와 도체(13)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습동자의 접촉부를 다수개의 미세한 스틸와이어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소실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다수개의 일부만이 소실됨으로써 탄성력의 소실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동으로 인한 접촉소실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다른 효과를 든다면 탄성력의 향상으로 습동자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기전도성을 지닌 본체(200)와,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가이드홀(52)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200)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00)와,
    상기 본체(200) 하부에 다수개의 미세한 두께의 스틸와이어로 상기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저항체(11)와 도체(13)에 탄성력을 갖으며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촉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텐샤메타형 스티어링센서의 습동자.
KR2019960049724U 1996-12-16 1996-12-16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KR200155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724U KR200155062Y1 (ko) 1996-12-16 1996-12-16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724U KR200155062Y1 (ko) 1996-12-16 1996-12-16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713U KR19980036713U (ko) 1998-09-15
KR200155062Y1 true KR200155062Y1 (ko) 1999-08-16

Family

ID=1947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724U KR200155062Y1 (ko) 1996-12-16 1996-12-16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0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71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319A (en) Steering angle sensor
EP0981039A1 (en) Position sensor
EP0302670A2 (en) Potentiometer
KR200155062Y1 (ko) 포텐사메타형 스티어링 센서의 습동자
TW200612451A (en) Rotary electric parts
US4958138A (en) Resistive position indicator
US20030211765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current between two terminals
KR910007592Y1 (ko) 스티어링 토크 검출기
JPH0236085Y2 (ko)
US4196410A (en) Variable resistor
US4728921A (en) Position indicator for an actuating drive
US4281229A (en) Buzzer switch
JPH054248Y2 (ko)
KR980005075A (ko) 고압용 가변 저항기
JP3705517B2 (ja) ポテンショメータ
CN219576144U (zh) 一种双头转动数据线
CN218501242U (zh) 摇杆传感器以及操作手柄
MY123826A (en) Variable resistor.
JP3592951B2 (ja) 回転型センサ
JPH0348710Y2 (ko)
SU834783A1 (ru) Переменный резистор
JPS5818247Y2 (ja) スイッチ付可変抵抗器
JPS63127502A (ja) ポテンシヨメ−タ用抵抗体
JPS59210614A (ja) 可変抵抗器
JPS5834731Y2 (ja) 可変抵抗器用抵抗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