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595A -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 Google Patents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595A
KR19980055595A KR1019960074828A KR19960074828A KR19980055595A KR 19980055595 A KR19980055595 A KR 19980055595A KR 1019960074828 A KR1019960074828 A KR 1019960074828A KR 19960074828 A KR19960074828 A KR 19960074828A KR 19980055595 A KR19980055595 A KR 19980055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s
buffer stopper
buff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940B1 (ko
Inventor
박승영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9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940B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는 도어 중앙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는 바, 도어가 닫혔을때 서로 마주보며 닿게 되는 완충 역할과 도어가 열렸을때는 차체 패널에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 고무의 개별적인 역할에 따른 비용 증가와 공수 증가의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버스용 접이식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완충 고무와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는 완충 스토퍼의 역할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는 완충 스토퍼를 수직 연장시킨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본 발명은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오픈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버스용 접이식 도어의 접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형성되는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버스에는 중앙부가 접히면서 개폐되는 접이식 도어가 설치된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버스용 접이식 도어의 외측 중앙에 도어 오픈시 접힐 수 있도록 도어 힌지(26)가 부착되어 있고, 도어가 접히면서 닫힐때 완충 역할을 하는 도어 스토퍼(12b)가 상기 도어(10)의 내부 중앙면에 마주보며 장착되는 브라켓(14)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닫혔을때 중앙의 마주보는 면에는 도어의 내외부 기밀을 위하여 웨더 스트립(18)이 마주보며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10)가 열렸을때 차체 패널과 닿는 부분에 대한 완충을 위하여 완충 고무(16)가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장착된 브라켓(14)의 바로 옆에 돌출되어 부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열렸을때 상기 도어(10)의 브라켓(14)이 차체 패널과 닿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닿는 부위의 차체 패널면에는 함몰된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열렸을때 도어(10)에 부착된 완충 고무(16)가 완충을 위하여 차체 패널면과 닿는면에는 평행으로 닿아 완충되도록 접촉단(24)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는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는 바, 도어가 닫혔을때 서로 마주보며 닿게 되는 완충 역할과 도어가 열렸을때는 차체 패널에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 고무의 개별적인 역할에 따른 비용 증가와 공수 증가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버스용 접이식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완충 고무와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는 완충 스토퍼의 역할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는 완충 스토퍼를 수직 연장시킨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도어가 열렸을때 완충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12a,12b:완충 스토퍼
14:브라켓16:완충 고무
18:웨더 스트립20:스텝 팬
22:오목부24:접촉단
26:도어 힌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에 있어서, 버스용 접이식 도어(10)의 내부 중앙면에 서로 마주보며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14)에 수직 형상의 완충 스토퍼(12a)를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도어(10)가 열렸을때 상기 완충 스토퍼(12a)가 닿아 완충되는 차체 패널면을 수평으로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도어가 열렸을때 완충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버스용 도어는 유압의 힘으로 작동되는 접이식 도어(10)인 바, 중앙 외부면에는 도어(10)가 접힘 가능하도록 도어 힌지(26)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면에는 도어(10)가 닫힐때 마주보게 되는 브라켓(14)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0)가 닫힐때 상기 브라켓(14)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실내쪽으로 노출되는 면에 위치되도록 수직 형상의 완충 스토퍼(12a)를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14)에 부착한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열릴때 상기 완충 스토퍼(12a)가 닿게 되는 차체 패널면 즉, 스텝 팬(20)이 설치되어 있는 측면 차체 패널면을 수평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접이식 도어(10)에 장착된 브라켓(14)에 수직으로 부착된 완충 스토퍼(12a)는 상기 도어(10)가 열릴때 상기 차체 패널면의
또한 종래에 도어(10)가 열렸을때 차체 패널면과의 완충을 위하여 부착된 완충 고무(16)와 차체 패널면에 부착된 접촉단(24)은 배제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에 의하면 도어 개폐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브라켓에 수직으로 완충 스토퍼를 형성하고, 종래의 도어에 부착된 완충 고무와 도어가 열렸을때 닿게 되는 차체 패널면의 성형면을 배제함으로써, 외관이 깨끗해지고 비용 절감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에 있어서, 버스용 접이식 도어(10)의 내부 중앙면에 서로 마주보며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14)에 수직 형상의 완충 스토퍼(12a)를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가 열렸을때 상기 완충 스토퍼(12a)가 닿아 완충되는 차체 패널면을 수평으로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KR1019960074828A 1996-12-28 1996-12-28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KR10024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828A KR100241940B1 (ko) 1996-12-28 1996-12-28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828A KR100241940B1 (ko) 1996-12-28 1996-12-28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595A true KR19980055595A (ko) 1998-09-25
KR100241940B1 KR100241940B1 (ko) 2000-03-02

Family

ID=6638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828A KR100241940B1 (ko) 1996-12-28 1996-12-28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51B1 (ko) 2013-04-24 2014-08-04 자일대우버스 주식회사 버스 폴딩도어의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940B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940B1 (ko) 버스용 도어의 완충 스토퍼
KR100452243B1 (ko) 버스용 스윙도어의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102669238B1 (ko) 단열기능을 구비한 창호 프레임 스토퍼
KR900003037Y1 (ko) 차량용 도어샤시구조
JPH021691B2 (ko)
KR100402120B1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CN209224903U (zh) 一种汽车门框总成固定机构
KR970006298Y1 (ko) 프레임레스 도어를 위한 필러부의 구조
KR200148108Y1 (ko) 차량용 측면도어 구조
KR200160316Y1 (ko) 도어프레임의 부압 방지장치
KR200235369Y1 (ko) 자동차의 후방문 지지구조
JPS6311171B2 (ko)
KR200207604Y1 (ko) 차량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KR0126065Y1 (ko) 자동차 도어의 하부구조
KR100339080B1 (ko) 자동차용 클립
JPH1159179A (ja) 自動車のドアシール構造
KR100189025B1 (ko) 밀착력을 증대시킨 자동차 프레임레스 도어 윈도우부 웨더 스트립
KR19980023794U (ko) 엔트런스 도어의 충격방지용 댐퍼
KR19980052347U (ko) 도어캐치 어셈블리
KR20050037131A (ko) 사이드 도어의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KR19990034952A (ko) 도어가이드 레일
KR19990019860U (ko)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KR19980045287A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스톱러버구조
KR19990053309A (ko) 자동차 도어용 세컨더리 웨더 스트립구조
KR960040957A (ko) 자동차의 측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