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561U - 엔진재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재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561U
KR19980055561U KR2019960068788U KR19960068788U KR19980055561U KR 19980055561 U KR19980055561 U KR 19980055561U KR 2019960068788 U KR2019960068788 U KR 2019960068788U KR 19960068788 U KR19960068788 U KR 19960068788U KR 19980055561 U KR19980055561 U KR 19980055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emperature
starting
restar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정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8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5561U/ko
Publication of KR19980055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56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hot start or re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11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using a tim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3Cooling wate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5Intake air or mixtur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직후에 공기량 및 연료량의 불일치 또는 왜란에 의하여 엔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동직후 일정시간안에 엔진정지상태를 감지하여 정지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시동시에 엔진온도와 흡기온도를 고려하여 재시동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재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엔진재시동장치는,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2)와, 엔진에서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센서(4)와,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센서(6)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8)와,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10)와 엔진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12)를 포함하며, 차량의 시동직후에 시동데이타를 판독하여 시동데이타가 엔진정지(ENGSTLFLAG=1) 조건이면 엔진온도와 흡기온도에 따른 점화연료량을 재설정하여 엔진을 시동하며, 엔진이 정상상태이면 기본연료량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재시동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직후에 공기량 및 연료량의 불일치 또는 왜란에 의하여 엔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동직후 일정시간안에 엔진정지상태를 감지하여 정지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시동시에 엔진온도와 흡기온도를 고려하여 재시동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재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엔진시동시에 연료량과 공기량을 최적의 상태로 공급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공기량, 연료량의 불일치 또는 왜란에 의하여 엔진이 정지되는 상태가 자주 발생된다.
이렇게 엔진정지상태가 발생되면 엔진을 재시동하기 위하여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재시동시에도 이미 전에 수행된 것과 동일한 방식(즉 동일 공기량, 동일 연료량공급)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원인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정지가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량이 아주 농후해지기 때문에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동직후 일정시간안에 엔진정지상태를 감지하여 정지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시동시에 엔진온도와 흡기온도를 고려하여 재시동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재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엔진재시동장치는,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2)와, 엔진에서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센서(4)와,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센서(6)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8)와,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10)와 엔진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12)를 포함하며, 차량의 시동직후에 시동데이타를 판독하여 시동데이타가 엔진정지(ENGSTLFLAG=1) 조건이면 엔진온도와 흡기온도에 따른 점화연료량을 재설정하여 엔진을 시동하며, 엔진이 정상상태이면 기본연료량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차량의 엔진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엔진재시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고안에서 엔진정지상태감지를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ECU, 4 : 수온센서,
6 : 흡기온도센서, 8 : 인젝터,
10: 타이머, 12: 회전수감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엔진재시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동직후에 일정시간안에 엔진이 정지되면 이것의 상태를 기억하고 재시동시 엔진온도와 흡기온도를 고려하여 재시동연료량을 피드백제어함으로서 시동성 및 배출물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2)와, 엔진에서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센서(4)와,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센서(6)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8)와,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10)와 엔진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12)를 포함하며, 차량의 시동직후에 시동데이타를 판독하여 시동데이타가 엔진정지(ENGSTLFLAG=1) 조건이면 엔진온도와 흡기온도에 따른 점화연료량을 재설정하여 엔진을 시동하며, 엔진이 정상상태이면 기본연료량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한다.
먼저,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엔진정지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엔진시동직후에 ECU(2)에서는 엔진정지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타이머(10)를 작동시킨다. 타이머(10)가 작동된 후에 회전수감지부(12)를 이용하여 엔진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만일 시동후에 소정시간안에 엔진이 정지되면 ECU(2)에서는 엔진정지(ENGSTL)로 감지하고 정지시간(STLTIME)을 감지한다. 만일 정지시간=0이면 엔진정지플래그(ENGSTLFLAG)를 0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엔진정지플래그(ENGSTLFLAG)를 1로 설정하다. 즉 1은 엔진정지가 발생되고 0은 발생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엔진정지플래그상태는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엔진정지플래그상태가 저장된 상태에서 시동이 시작되면 ECU(2)에서는 시동데이타를 판독하고 엔진플래그상태와 비교하게 된다. 만일 판독된 시동데이타가 전에 저장된 엔진플래그상태이면 ECU(2)에서는 새로운 점화연료량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 점화연료량= 기본연료량 * STLCOR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점화연료량이 산출되면 ECU(2)에서는 새로운 값을 사용하여 엔진시동시에 연료분출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ECU(2)에서는 인젝터(8)의 방출시간을 조정하여 연료분출량을 조정한다.
상기에서 엔진정지플래그상태가 0이면 ECU(2)에서는 점화연료량으로서 기본연료량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동직후 일정시간안에 엔진정지상태를 감지하여 정지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시동시에 엔진온도와 흡기온도를 고려하여 재시동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2)와, 엔진에서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센서(4)와,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센서(6)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8)와,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10)와 엔진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수감지부(12)를 포함하며, 차량의 시동직후에 시동데이타를 판독하여 시동데이타가 엔진정지(ENGSTLFLAG=1) 조건이면 엔진온도와 흡기온도에 따른 점화연료량을 재설정하여 엔진을 시동하며, 엔진이 정상상태이면 기본연료량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재시동장치.
KR2019960068788U 1996-12-31 1996-12-31 엔진재시동장치 KR199800555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788U KR19980055561U (ko) 1996-12-31 1996-12-31 엔진재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788U KR19980055561U (ko) 1996-12-31 1996-12-31 엔진재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561U true KR19980055561U (ko) 1998-10-07

Family

ID=5400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788U KR19980055561U (ko) 1996-12-31 1996-12-31 엔진재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556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09A (ko) * 2002-03-15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재시동시 연료량 조절이 가능한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0401624B1 (ko) * 2000-12-26 200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 방법
KR100444057B1 (ko) * 2002-03-06 2004-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624B1 (ko) * 2000-12-26 200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 방법
KR100444057B1 (ko) * 2002-03-06 2004-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방법
KR20030075009A (ko) * 2002-03-15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재시동시 연료량 조절이 가능한 연료 분사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7470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給油判定装置及び燃料供給装置
US6518763B2 (en) Control system for meter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40105480A (ko) 차량의 초기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920008326A (ko)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와 그의 방법
KR19980055561U (ko) 엔진재시동장치
US6684153B2 (en) Fuel nature judg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79463B1 (ko) 고온 재시동성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337355B1 (ko) 디젤 차량의 냉시동 제어 방법
KR100401624B1 (ko)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 방법
JPS611841A (ja) 内燃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KR102085990B1 (ko) 연료 분사량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6146956A (ja) 内燃機関の停止時間推定装置及び燃料供給制御装置
JP2005155462A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H0726579B2 (ja) 空燃比制御装置
CN109973230B (zh) 内燃机启动方法、装置、发动机控制设备和存储介质
KR100282912B1 (ko) 시동시의 연료량 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302701B1 (ko) 엔진수온센서고장시엔진의시동동작제어장치및그방법
KR200146852Y1 (ko) 원터치 자동 시동 제어 장치
KR900001430B1 (ko) 연료제어장치
KR100298706B1 (ko) 연료분사량제어장치
KR100222852B1 (ko)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0444057B1 (ko) 엔진의 재시동시 연료량 보정방법
JP2003254121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353988B1 (ko) 스로틀 위치 센서가 없는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23310B1 (ko) 차량용 엔진의 저온 시동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