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380A -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380A
KR19980054380A KR1019960073528A KR19960073528A KR19980054380A KR 19980054380 A KR19980054380 A KR 19980054380A KR 1019960073528 A KR1019960073528 A KR 1019960073528A KR 19960073528 A KR19960073528 A KR 19960073528A KR 19980054380 A KR19980054380 A KR 1998005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hannel
receiver
receivers
tu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836B1 (ko
Inventor
이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8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to plural spots in a confined site, e.g.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탈 방송 공동 시청(이하, 공청이라함) 시스템 및 공청용 디지탈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디지탈 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수신신호 중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한 디지탈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복수개의 튜너와,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선택 및 수신하는 복수개의 디지탈 수신기와, 상기 각 튜너에서 튜닝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복수개의 채널로 분배하여 상기 해당 디지탈 수신기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분배기와, 상기 디지탈 수신기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튜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수신기에서 튜너를 제외시켜 다른 수신기들과 공유하므로 공청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보다 간편하고, 보다 저렴한 시스템으로 효율적으로 많은 가구가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방송 공동 시청(이하, 공청 이라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탈 공청에 적합한 디지탈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송 공청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위성방송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와,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12)와, 분배기(12)에서 분배된 만큼의 두수개의 수신기(13a, 13b)로 이루어진 수신부(13)와 수신기(13a, 13b)마다 수신된 채널을 변조하는 다수개의 변조기(14a, 14b)로 이루어진 변조부(14)와, 각 가정 또는 방에 설치되는 TV(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날로그 방송 공청 시스템은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수신 가능한 각 채널에 대해 수신기들(13a, 13b)를 따로 설치하여 수신한다.
그 후 수신기들(13a, 13b)를 통해 수신된 각 채널은 변조기(14a, 14b)에서 일반 가정 또는 한 가정의 각 방에 설치된 TV(15)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VHF/UFH 신호로 변조를 하여 TV(15)측으로 송신한다.
즉, 아날로그 방송 공청 시스템은 안테나(11)에서 약 1㎓로 낮춘 신호를 수신부(13)에서 수신을 하고 이 경우 수신 가능한 채널의 수가 N개라면 이 N개에 해당하는 수신기(13a, 13b)를 모두 한 곳에 설치를 해야 한다.
각각의 수신기(13a, 13b)에서 출력되는 모든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변조부(14)의 변조기들(14a, 14b)은 다시 서로 다른 VHF/UHF의 채널로 변조시켜야 한다. 이 변조된 신호는 각 가정 또는 방으로 전송이 된다.
여기서, 안테나(11)에서 수신되는 모든 방송은 유료방송이 아닌 경우이다.
또한,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면 먼저, 안테나(21)와, 분배기(22)와, 다수개의 수신기(23a, 23b)로 이루어진 수신부(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은 안테나(21)에서 위성방송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는 분배기(22)에서 다수개의 채널로 분배되어 수신부(23)의 각 수신기(23a, 23b)를 통해 각 가정 또는 방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수신부(23)의 각 수신기(23a, 23b)는 스마트 카드와 가입자 관리센터와 연결하기 위한 모뎀을 각각 가져야 한다.
이러한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에 대한 디지탈 방송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의 일반적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에서 중계기와 채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위성방송의 예를 들면 하나의 방송위성에는 여러 개의 중계기가 공존한다.
아날로그 방송인 경우 중계기는 하나의 채널을 의미하지만 디지탈 방송인 경우에는 여러개의 채널이 멀티플렉스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개의 튜너는 한 개의 중계기를 수신할 수 있고, 이 한 중계기의 신호는 여러개의 채널의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수신부(23)의 튜너(도시 생략함)는 여러개의 채널 신호를 포함한 한 중계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부(25) 내의 트랜스포트 디먹스(도시 생략함)가 채널의 신호로 분리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은 튜너를 포함한 비싼 수신기를 각 가정 또는 방에서 따로 설치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은 튜너를 포함한 비싼 수신기를 각 가정 또는 방에서 따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청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테나의 튜너를 수신기에서 분리하여 공청시 다른 수신기들과 공유할 수 있는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에서 중계기와 채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수신기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도 4의 제어부의 디지탈 방송 공청을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안테나42, 44 : 분배부
43 : 튜너부45 : 수신부
46 : 스위칭부47 : 제어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의 특징은 하나 이상의 디지탈 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수신신호 중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한 디지탈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복수개의 튜너와,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선택 및 수신하는 복수개의 디지탈 수신기와, 상기 각 튜너에서 튜닝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복수개의 채널로 분배하여 상기 해당 디지탈 수신기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분배기와, 상기 디지탈 수신기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튜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수신기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은 방송위성의 모든 중계기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을 줄인 후 출력하는 안테나 및 저잡음 블록(41)과, 안테나 및 저잡음 블록(41)에서 출력된 모든 중계기 신호를 분배하는 제1분배부(42)와, 분배부 모든 중계기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튜너(43a, 43b, 43c)로 이루어져 입력된 모든 중계기 신호 중 하나의 중계기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부(43)와, 튜너부(43)의 각 튜너(43a, 43b, 43c)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분배기(44a, 44b, 44c)로 이루어져 각 튜너(43a, 43b, 43c)에서 입력된 하나의 중계기 신호를 다수개의 채널로 분배하여 제2분배부(44)와, 다수개의 수신기(45a, 45b, 45c)로 이루어져 수신기(45a, 45b, 45c) 각각이 원하는 채널을 입력받아 수신하는 수신부(45)와, 제2분배부(44)에서 출력되는 채널과 수신부(45)의 각 수신기(45a, 45b, 45c)를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46)와, 튜너부(43)의 각 튜너(43a, 43b, 43c)와 스위칭부(46)를 제어하여 수신부(45)의 각 수신기(45a, 45b, 45c)가 원하는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7)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신부(45)의 다수의 수신기(45a, 45b, 45c)는 각각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451)와, 인터페이스부(451)에서 출력된 선택 채널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콤(452)과, 튜너부(43)에서 출력되어 제2분배부(44)에서 분배된 하나의 중계기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 및 에러 정정후 마이콤(452)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출력하는 채널 출력부(453)와, 채널 출력부(453)에서 출력되는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도 디코딩 후 NTSC 엔코딩하는 엠펙 2 디코더부(45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의 안테나 및 저잡음 블록(41)은 방송위성의 모든 중계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을 줄인 후 제1분배부(42)로 출력한다.
제1분배부(42)는 입력된 방송위성의 모든 중계기의 출력신호를 N개의 신호로 복제한다. 이 복제된 각 신호는 다시 튜너부(43)의 튜너들중(43a, 43b, 43c) 해당 튜너로 입력된다.
이때 튜너부(43)의 튜너들(43a, 43b, 43c)은 방송위성의 모든 중계기의 출력신호중 하나의 중계기 신호를 걸러 낼 수도 있고, 여러개의 튜너들(43a, 43b, 43c)이 같은 중계기의 신호를 걸러낼 수도 있다.
이렇게 튜너들(43a, 43b, 43c)에서 출력된 하나의 중계기 신호는 다시 각각 해당하는 제2분배부(44)의 분배기들(44a, 44b, 44c)에 입력되어 여러 개(L개)의 채널로 복제된다.
그리고, 수신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수신부(45)의 다수의 수신기들(45a, 45b, 45c)을 통해 결정하면 이 수신자가 원하는 채널은 제어부(47)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47)는 스위칭부(46)를 제어하여 수신자가 원하는 채널의 해당 중계기에 튜닝되어 있는 튜너와 수신부(45)를 연결한다.
여기서, 수신부(45)의 수신기들(45a, 45b, 45c)은 독립적으로 스마트 카드와 모뎀같은 제한 수신장치를 별도로 가지게 되며, 수신하는 방송에 대한 요금지불은 수신기 각자가 하게 된다. 그리고 이 수신기들(45a, 45b, 45c)은 튜너가 없이 외부의 튜너부(4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수신자가 인터페이스부(451)를 통하여 채널 선택을 하면 마이콤(452)이 이 채널 정보를 제어부(47) 및 채널 출력부(453)로 전송하고, 제어부(47)는 이 정보를 입력받아 스위칭부(46)를 제어하여 원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중계기의 신호가 튜너로부터 수신부(45)의 채널 출력부(453)에 입력하게 한다.
그 후 채널 출력부(453)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을 하여 변조 및 순방향 에러정정(FEC) 복호한 후 엠펙 2 디코더부(454)에서 디코딩되어 수신자가 원하는 채널을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47)의 제어방법을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부(45)의 수신기들(45a, 45b, 45c)로부터 원하는 채널이 제어부(47)에 입력되면(S61) 제어부(47)는 튜너부(43)의 각 튜너들(43a, 43b, 43c)을 스캔한다(S62).
스캔 결과 수신기가 원하는 채널의 중계기를 이미 수신하고 있는 튜너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63) 그 채널의 중계기를 이미 수신하고 있다면 해당 튜너의 분배부(44)의 분배기 출력이 남아 있는지를 판단한다(S64).
판단결과 해당 튜너의 분배기 출력이 남아 있으면 해당 튜너를 해당 수신부(45)의 수신기로 연결시켜 준다(S65).
한편, 상기 단계(S63)에서 수신기가 원하는 채널의 중계기를 어느 튜너부(43)의 튜너도 수신하고 있지 않다면 모든 튜너들(43a, 43b, 43c)의 스캔을 완료한(S66) 후 연결되지 않은 튜너를 해당 중계기로 튜닝하여(S67) 해당 튜너를 수신하도록 수신기와 연결시켜 준다(S65).
만일 모든 수신부(45)의 수신기들(45a, 45b, 45c)이 같은 채널을 요구할 경우 모든 튜너(43a, 43b, 43c)는 같은 중계기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때 분배부(44)의 분배기 수(N)는 각 분배기의 채널 수(L)와 튜너 수(M)의 곱이 된다.
또한, 모든 수신기가 다른 채널을 요구할 경우 튜너부(43)의 모든 튜너는 서로 다른 중계기를 수신해야 한다. 즉, 튜너부(43)의 각 튜너는 분배부(44)의 해당 분배기를 통하여 한 중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채널의 수(L)로 분배를 해야 한다. 이 분배된 신호는 각각 한 수신기로 연결이 된다. 이 때 만일 하나의 중계기에서 R개의 채널을 수용한다면, R×M=N의 관계가 성립된다.
이 때 L값은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수신자가 좀 더 채널을 엑세스 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L의 값은 R보다 높게 결정될 수 있다. 즉, R≤L의 관계가 성립된다.
그리고, M의 값도 조절이 가능한데 모든 수신기가 모두 다른 채널을 본다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 값은 중계기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의 수신기는 튜너를 제외시켜 다른 수신기들과 공유하므로 공청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보다 간단하고, 보다 저렴한 시스템으로 효율적으로 많은 가구가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나 이상의 디지탈 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수신신호 중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한 디지탈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복수개의 튜너와,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선택 및 수신하는 복수개의 디지탈 수신기와,
    상기 각 튜너에서 튜닝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복수개의 채널로 분배하여 상기 해당 디지탈 수신기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분배기와,
    상기 디지탈 수신기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튜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탈 수신기로부터 선택된 채널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튜너의 상태를 확인하여 입력된 채널을 포함하는 디지탈 방송신호를 튜닝하고 있는 튜너가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상기 분배기로 디지탈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지탈 수신기에서 입력된 채널이 포함된 디지탈 방송신호를 튜닝하고 있는 튜너가 없으면 어떤 디지탈 수신기와도 연결되지 않은 튜너를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상기 분배기로 디지탈 방송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지탈 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외부 제어부에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수신코저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출력하는 채널 출력부와,
    채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채널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 공청 시스템.
KR1019960073528A 1996-12-27 1996-12-27 디지탈방송공청시스템 KR10042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528A KR100421836B1 (ko) 1996-12-27 1996-12-27 디지탈방송공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528A KR100421836B1 (ko) 1996-12-27 1996-12-27 디지탈방송공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380A true KR19980054380A (ko) 1998-09-25
KR100421836B1 KR100421836B1 (ko) 2004-06-16

Family

ID=3732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528A KR100421836B1 (ko) 1996-12-27 1996-12-27 디지탈방송공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08B1 (ko) * 2001-02-06 2003-09-13 코모넷 주식회사 비디오 다중 출력 분배기
KR100883578B1 (ko) * 2008-04-08 2009-02-12 (주)답스 다중채널 재생송수신용 공동시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206A (ja) * 1992-11-04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星放送移動体受信装置
KR960007200Y1 (ko) * 1994-04-11 1996-08-22 주식회사 샛빌 위성방송 수신 시스템의 신호 분배장치
KR0142730B1 (ko) * 1995-04-04 1998-08-01 이형도 위성방송 공동 수신회로
KR970011468U (ko) * 1995-08-11 1997-03-29 위성방송 공동수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08B1 (ko) * 2001-02-06 2003-09-13 코모넷 주식회사 비디오 다중 출력 분배기
KR100883578B1 (ko) * 2008-04-08 2009-02-12 (주)답스 다중채널 재생송수신용 공동시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836B1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318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analog c-band broadcast receiver into a system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analog and digital c-band broadcast television signals
US6104908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ombining signals of combining signals of diverse modulation formats for distribution in multiple dwelling units
US5073930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satellite transmitted television signals
US5412720A (en) Interactive home information system
US4691351A (en) Television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200100088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ple data streams
KR20010087209A (ko) 텔레비전 공청장치, 수신장치, 텔레비전 전송시스템,텔레비전 전송방법
JPH0666707B2 (ja) 受信機
US5574997A (en) Auto-selecting circuit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WO1996028908A1 (en) Simulcasting digital video programs
JPS604633B2 (ja) ケ−ブルテレビジヨンシステム
JP2001231033A (ja) 共同受信システム及びこれの端末用周波数変換装置
HU223921B1 (hu) Hálózati elosztórendszer és eljárás
US7174140B2 (en) RF system integrated with RF switch and RF modulation
KR100421836B1 (ko) 디지탈방송공청시스템
GB2247375A (en) Domestic audio/visual entertainment system
JPH09168104A (ja) 共同受信施設
JPH1141582A (ja) 信号送受信システム
JP3709026B2 (ja) Csデジタル多チャンネル放送用受信装置
KR0142730B1 (ko) 위성방송 공동 수신회로
KR100629004B1 (ko) 튜너
JPH118847A (ja) 衛星放送受信機
JPH05304487A (ja) サテライト中間周波数切換装置
JPH06205316A (ja) 多チャンネル放送受信機
JPS59174079A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