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129A - 솔라카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솔라카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129A
KR19980054129A KR1019960073262A KR19960073262A KR19980054129A KR 19980054129 A KR19980054129 A KR 19980054129A KR 1019960073262 A KR1019960073262 A KR 1019960073262A KR 19960073262 A KR19960073262 A KR 19960073262A KR 19980054129 A KR19980054129 A KR 19980054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ar
leaf spring
arm
suspens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129A/ko
Publication of KR1998005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129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카의 경량화를 위해 구성을 단순하게 한 솔라카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너클아암(13)의 상단과 연결되는 리프스프링(11)을 어퍼아암으로 사용하며, H자형의 로워아암(12)을 사용한다. 리프스프링(11)은 차체의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 하로의 바운싱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므로 별도의 새시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휠(10)에는 쇼크업소버(15)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11)은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역활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래터럴로드의 구성도 불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현가장치가 어퍼아암용 리프스프링과 로워아암 및 쇼크업소버로 구성되므로 구성이 단순해짐과 동시에 전체적인 중량이 크게 감소하여 솔라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솔라카용 현가장치
본 발명은 솔라카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경량화를 위해 구성을 단순하게 한 솔라카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의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새시스프링과, 새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쇼크업소버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솔라카(SOLAR CAR)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어 주행하는 자동차로 현재는 경주용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경주용의 솔라카의 경우에는, 제한된 에너지를 사용해 빠른 속도로 달려야 하므로 차체나 새시의 경량화가 관건이 되고 있다.
도 1에 종래의 솔라카의 현가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솔라카의 현가장치는 너클아암(7)에 연결되는 A형의 어퍼아암(2)과 로워아암(3)을 사용하며, 쇼크업소버(4)와 새시스프링(5)으로 완충작용을 행하며, 스테빌라이져인 래터럴바아(6)를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가장치는 새시의 무게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솔라카의 경량화를 위해서는 현가장치의 단순화와 이를 통한 현가장치의 경량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라카를 경량화하기 위한 단순하고 가벼운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의 (A), (B)는 종래의 솔라카용 현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로워아암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솔라카용 현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로워아암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휠11: 리프스프링
12: 로워아암13: 너클
15: 쇼크업소버20: 프레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휠의 너클의 상단을 연결하는 어퍼아암용 리프스프링, 너클의 하단에 결합하는 로워아암 및 쇼크업소버로 구성되는 솔라카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워아암으로 H자형의 아암을 사용하는 솔라카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현가장치가 어퍼아암용 리프스프링과 로워아암 및 쇼크업소버로 구성되므로 구성이 단순해짐과 동시에 전체적인 중량이 크게 감소하여 솔라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솔라카용 현가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 (B)에 본 발명에 따른 솔라카용 현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어퍼아암대신에 너클아암(13)의 상단과 연결되는 리프스프링(11)을 어퍼아암으로 사용하며, 로워아암(12)은 A자형 대신 H자형의 로워아암(12)을 사용한다.
리프스프링(11)은,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 하로의 바운싱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므로 별도의 새시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휠(10)에는 쇼크업소버(15)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11)은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므로 래터럴로드의 구성도 불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현가장치가 어퍼아암용 리프스프링과 로워아암 및 쇼크업소버로 구성되므로 구성이 단순해짐과 동시에 전체적인 중량이 크게 감소하여 솔라카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휠의 너클의 상단을 연결하는 어퍼아암용 리프스프링, 너클의 하단에 결합하는 로워아암 및 쇼크업소버로 구성되는 솔라카용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아암으로 H자형의 아암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카용 현가장치.
KR1019960073262A 1996-12-27 1996-12-27 솔라카용 현가장치 KR19980054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262A KR19980054129A (ko) 1996-12-27 1996-12-27 솔라카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262A KR19980054129A (ko) 1996-12-27 1996-12-27 솔라카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29A true KR19980054129A (ko) 1998-09-25

Family

ID=6638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262A KR19980054129A (ko) 1996-12-27 1996-12-27 솔라카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1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0718A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CN1295936A (zh) 稳定器结构
KR19980054129A (ko) 솔라카용 현가장치
KR19980040143A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100341750B1 (ko) 차량용현가장치
KR100507148B1 (ko) 차체프레임을 이용한 전륜 현가장치
KR100365276B1 (ko) 대형차량의 변속기 장착구조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100313789B1 (ko) 자동차의후륜현가장치
KR200150838Y1 (ko) 자동차의 2차축 공기 현가장치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19980056278A (ko) 차량의 운전실용 서스펜션 구조
KR10020052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트로크 증가장치
KR100261426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020040218A (ko) 차량용 능동형 스태빌라이저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19990031634U (ko)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KR100456885B1 (ko) 후륜 현가 장치의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19990032505A (ko) 자기부상식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90043216A (ko)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19980037539A (ko) 현가장치의 고정용 브라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