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246A - 골프공(golf ball) - Google Patents

골프공(golf b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246A
KR19980053246A KR1019960072317A KR19960072317A KR19980053246A KR 19980053246 A KR19980053246 A KR 19980053246A KR 1019960072317 A KR1019960072317 A KR 1019960072317A KR 19960072317 A KR19960072317 A KR 19960072317A KR 19980053246 A KR19980053246 A KR 1998005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olf ball
cover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9448B1 (ko
Inventor
황인홍
Original Assignee
이세권
일야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권, 일야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세권
Priority to KR101996007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448B1/ko
Priority to JP06180997A priority patent/JP3217986B2/ja
Priority to US08/835,766 priority patent/US5952415A/en
Publication of KR1998005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4Two piece balls, i.e. cov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5Three piece balls, i.e. cover, intermediate lay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6Multi-piece balls, i.e. having two or more intermediate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솔리드 타입의 골프공에 있어서 외측 커바를 제외하고 그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골프공을 만들어 일반적인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보다 훨씬 부드러워 스핀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비거리도 더 낼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각각의 부위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어서 여러 가지 성능의 각기 다른 골프공을 만들 수 있게 되어 여러 계층의 골퍼들에게 알맞는 골프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공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투피스 솔리드(TWO PIECE SOLID) 골프공으로써 한 개의 핵에 한 개의 커바를 씌워놓은 구조로 만든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2핵 1커바 구조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솔리드(THREE PIECE SOLID)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1핵 2커바 구조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솔리드(THREE PIECE SOLID)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2핵 2커바 구조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FOUR PIECE SOLID)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1핵 3커바 구조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FOUR PIECE SOLID)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FIG. 1에서 1a는 핵, 1b는 커바.
FIG. 2에서 2a는 내핵, 2b는 외층, 2c는 커바.
FIG. 3에서 3a는 핵, 3b는 내측 커바, 3c는 외측 커바.
FIG. 4에서 4a는 내핵, 4b는 외층, 4c는 내측 커바, 4d는 외측 커바.
FIG. 5에서 5a는 핵, 5b는 내측 커바, 5c는 중간층 커바, 5d는 외측 커바.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배합물에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과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하여 스핀성능을 유지하며 높은 반발 탄성을 유도하여 종래의 골프공보다 비거리를 현저히 늘킬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여러가지 성능중에서 가장 중용한 성능은 반발 탄성이 우수하여 비거리가 많이 나가고 스핀 성능이 우수하여 조절력이 좋아야 되는데, 보통의 골프공은 비거리가 많이 나가면 스핀성능이 떨어지고 반대로 스핀 성능이 좋으면 비거리가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발명을 하게 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핵(그림. 1에서의 1a로 표시한 핵, 그림. 2에서의 2a로 표시한 내핵, 그림. 2에서의 2b로 표시한 외층, 그림. 3에서의 3a로 표시한 핵, 그림. 4에서의 4a로 표시한 내핵, 그림. 4에서의 4b로 표시한 외층, 그림. 5에서의 5a로 표시한 핵 등을 말한다. 이후로는 모두 마찬가지로 핵으로 단순히 표시한다.)을 만드는데 필요한 주재료로서는 고무, 공가교제의 하나인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및 기타의 공가교제, 충진제, 지방산 비스머스, 노화 방지제, 반응 개시제 등이다. 고무는 일반적으로 씨스-1,4 포리부타디엔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경우에 따라 이소프렌 고무, 천연 고무, S.B.R 등 기타 고무 등을 알맞게 섞어서 사용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의 하나인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은 공가교제 및 반응 활성제로 사용되는데 경우에 따라 그의 금속염 또는 트리메치롤 프로판 트리메타크리레이트, 트리메치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리레이트, 에폭시 아크리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본산 에스테르류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α,β-에칠렌성 불포화카본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이 좋은데 그의 배합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3-25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필요한 경우 그의 금속염인 아크릴산 아연 및 메타크릴산 아연 또는 기타의 불포화 카본산 에스테르 등을 추가의 공가교제로 기재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1-15 중량부가 사용되기도 한다. 충진제로서는 산화 아연, 산화연, 산화철 등의 금속산화물 등, 황산 바리움, 시리카, 탄산 칼슘, 그라스 화이버 등 여러가지 무기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가교제로 상기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아연, 메타크릴산 아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화 아연이 좋은데 일부분 기타의 충진제와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충진제의 사용량은 각종 핵들의 비중, 경도 등을 감안해서 결정하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대체로 기재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1-30 중량부가 사용된다. 노화 방지제로서는 일반적으로 2,2'-메치렌 비스(4-에칠-6-테르셔리-부칠페놀) 등이 사용되는데 그 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0.5-1.5 중량부가 사용된다. 반응 개시제로서는 유기 과산화물이 주로 쓰이는데 그의 종류로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 n-부칠-4,4'-비스(t-부칠퍼옥시) 발레레이트, 비스(t-부칠퍼옥시 이소프로필) 벤젠, 1,1'-비스(t-부칠퍼옥시)-3,3,5-트리메칠 싸이크로 핵산 등이 알맞다. 이러한 개시제의 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0.5-5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필요에 따라 N,N-m-페닐렌 디마레이미드 등과 같은 공용 약품(Coagent)이 반응 개시제의 보조 약품으로 혼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의 하나인 지방산 비스머스는 알카리 지방신 비누의 수용액에 분자식 Bi(NO3)3로 표시되는 질산 비스머스 용액을 넣어 복분해 침전 시키던가 또는 유리 지방산과 질산 비스머스를 가열 융해시켜서 얻는 결정 또는 분말 상태의 것이 쓰인다. 이 지방산 비스머스를 만드는 원료인 지방산들로서는 분자식 CH3(CH2)14COOH로 표시되는 팔미틴 산(PALMITIC ACID) 또는 분자식 CH3(CH2)16COOH로 표시되는 스테아린 산(STEARIC ACID), 또는 분자식 CH3(CH2)7CH = CH(CH2)7COOH로 표시되는 오레인 산(OLEIC ACID) 등으로 비스머스와 결합한 상태는 3가 비스머스의 염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3가 비스머스의 염 상태인 지방산 비스머스로서는 분자식 Bi(C15H31COO)3로 표시되는 팔미틴산 비스머스, 분자식 Bi(C17H35COO)3로 표시되는 스테아린산 비스머스, 분자식 Bi(C17H33COO)3로 표시되는 오레인산 비스머스 등이다. 이러한 지방산 비스머스의 결정 또는 분말을 다시 분쇄 과정을 거쳐 200-300 메쉬의 체를 통과하는 크기의 분말 입자 상태로 만들어 쓴다. 이 지방산 비스머스의 사용량은 기재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5-50 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의 핵 들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개한 성분 등을 통상의 배합 기구인 니더, 반바리 믹서, 투롤 밀 등을 사용하여 배합을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배합의 순서를 정확히 지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 기재가 되는 고무에 산화 방지제를 넣고 5분 정도 잘 배합한 후 지방산 비스머스를 넣고 10분 이상 잘 혼합해서 일부분의 마찰열에 의해 이 지방산 비스머스가 기재 고무에 녹아 들어갈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런 다음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을 소량씩 넣으면서 15분 이상 잘 혼합한다. 그후 필요에 따라 다른 공가교제 및 충진제 등을 넣고 완전한 혼합물을 만든 후 최후로 반응 개시제인 유기 과산화물을 넣고 잘 혼합하여 준다. 위와 같이 배합을 한 후 이 배합물을 알맞는 기구를 사용하여 일정 크기로 만들어서 몰드에 넣고 일정 시간, 일정 압력, 일정 온도에서 성형을 하여 만든다. 성형 방법으로는 압축 성형이나 사출 성형 또는 다른 어떠한 성형 방법이라도 좋으나 압축 성형이나 사출 성형이 좋다. 핵의 성형중에는 열과 반응 개시제에 의하여 고무와 공가교제가 결합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에 알맞은 온도 조건을 유도하면 지방산 비스머스는 열과 일부분의 기화되는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의 영향을 받아 분해 상태가 되어 지방산과 비스머스로 된다. 이 때에 지방산은 고무 분자 속으로 빠르게 녹아 들어가고 비스머스는 가역적인 반응 상태의 불포화 카본산의 염의 형태로서 기재 고무에 가교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 가교 반응은 용융 상태의 비스머스를 중심으로 하는 메트릭스 구조로 진행되는데 이 비스머스의 체적은 상온에서의 체적보다 오히려 작아지게 되고 고무 등 유기 고분자 물질은 반대로 급격히 팽창을 일으키며 비스머스가 수축된 만큼의 체적까지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에서는 금형을 더욱 강한 압력으로 눌러주어 금형의 크기 이상으로는 더 이상의 팽창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주어야 한다. 이렇게 일정 시간 성형한 후 성형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면 팽창되었던 고무 등이 다시 수축을 일으키며 분자 상태가 치밀하게 된다. 이 성형물은 보통의 일반적인 배합으로 만든 성형물보다 더욱 부드럽고 반발 탄성이 우수하게 되는데 이는 가교 반응에 의해 경화된 고무가 지방산에 의해 유연성이 향상되고 메트릭스 구조의 중심이 되었던 비스머스가 응고하면서 거꾸로 팽창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비스머스 주위의 고분자 물질의 분자 구조를 다시 한 번 더욱 치밀하게 만들어 주어 더욱 많은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는 핵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핵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은 보통의 골프공보다 많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기 때문에 타격시 일반적인 골프공보다 훨씬 많은 비거리를 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핵은 부드러운 골프공을 만들 수 있어서 촉감 및 스핀 성능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핵들을 골프공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림. 2와 같은 쓰리피스 솔리드 골프공을 만들 때, 2중핵을 구성하는 내핵(2a), 외층(2b) 전부에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내핵(2a)은 일반적인 조성으로 만들고 외층(2b)에만 본 발명의 조성으로 핵을 만들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핵(2a)을 본 발명의 조성으로 만들고 외층(2b)은 일반적인 조성으로 핵을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그림. 4와 같은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을 만들 경우에는 2중핵을 구성하는 내핵(4a), 외층(4b) 전부에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내핵(4a)은 일반적인 조성으로 만들고 외층(4b)에만 본 발명의 조성으로 핵을 만들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핵(4a)을 본 발명의 조성으로 만들고 외층(4b)은 일반적인 조성으로 핵을 만들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커바에 있어서는 상기 그림에서 소개되는 골프공 중 외측 커바를 제외한 모든 안쪽 커바(그림. 3에서의 3b로 표시한 내측커바, 그림. 4에서의 4c로 표시한 내측 커바, 그림. 5에서의 5b로 표시한 내측커바, 5c로 표시한 중간층 커바. 이하 모두 안쪽 커바로 단순히 표기한다.)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외측 커바에 본 발명의 조성을 사용하면 쉽게 황변 현상이 오고 백색의 골프공인 경우 엷은 회황색의 외측 커바가 도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결함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쪽 커바를 만드는데 쓰이는 주재료로서는 아이오노머 수지, 고무, 기타의 열가소성 수지 등과 같은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의 한 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이 섞인 것과 흰색을 내기 위한 백색 계통의 안료 및 충진제 등과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과 지방산 비스머스가 함께 쓰인다. 기재가 되는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모노 올레핀에 탄소 원자수 3-8의 불포화 모노 또는 디 카본산 및 이것들의 에스테르를 일부분 함유하고 있는 것에 1가 또는 2가의 금속으로 일부 또는 전부를 중화시킨 수지(여기서 불포화 모노 또는 디 카본산 중에서 어떤 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과 같은 재료의 것도 포함된다.)가 알맞다. 현재 듀퐁사에서 만든 써린 이라는 상품명의 아이오노머 수지가 골프공의 커바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데 아이오노머 수지를 만들 때의 구성 분자, 반응, 분자량, 중화시에 사용된 금속의 종류, 중화도의 차이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물성의 수지가 시판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경도 쇼아 D로 35-70 정도의 것으로 굴곡(휨) 탄성율(Flexural Modulus)이 250-600MPa 정도의 것이 알맞다. 이 아이오노머 수지를 1종류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류 이상을 서로 섞어 사용하여도 좋다. 한편 고무를 주재로로 사용한 안쪽 커바는 트란스형의 이소프렌 또는 포리 부타디엔 고무 등인데 1종류를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의 각종 재료들은 한가지 성분의 수지를 사용해도 좋고 서로 다른 성분의 것을 적절한 방법으로 섞어서 사용해도 좋다. 백색의 안료로서는 이산화 티탄이 좋은데 경우에 따라 황산 바리움 등을 섞기도 한다. 그의 사용량은 전기의 안쪽 커바의 기재가 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2-5 중량부가 쓰인다. 또한 좀 더 희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푸른색 안료나 바이오렛 계통의 안료나 증백제 등을 소량 첨가하기도 한다. 충진제로서는 경우에 따라 안쪽 커바 쪽의 중량을 높이기 위하여 무거운 금속, 금속 산화물 등을 기재가 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2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은 기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25 중량부가 쓰인다. 또한 본 발명의 핵심 중 다른 하나인 지방산 비스머스는 위의 핵에서 언급한 같은 성분의 것으로 기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50 중랑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쪽커바를 만들기 위해서는 앞서의 핵에서처럼 엄밀한 조성물의 배합이 필요하다. 먼저 아이오노머 수지의 경우는 기재 수지에 정해진 량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온도 200℃ 정도의 압출기에서 완전히 용융 혼합시킨 후 알맞는 크기의 펠렛트로 만든다. 그런 다음 미리 준비된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과 안료 및 기타의 분말 상 충진제의 혼합물을 만들어진 지방산 비스머스와 아이오노머 수지의 펠렛트에 믹서를 이용하여 피복시킨 후 즉시 전기의 압출기에서 용융 반응시키면서 다시 알맞는 크기의 펠렛트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을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전기의 핵위에 씌운다. 한편 고무의 경우는 먼저의 아이오노머와는 달리 핵을 만들 대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의 핵위에 씌운다. 그러나 중간층 커바를 씌울 때는 내측 커바의 경화 시간을 조금 짧게 해주어 중간층 커바가 씌워질 때 서로간의 접착을 일으키며 충분히 경화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안쪽 커바를 만들게 되면 상기의 본 발명의 핵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현상을 일으키는데, 아이오노머 수지의 경우에서는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이 에틸렌 분자에 가교 반응을 일으키며 탄성을 향상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원래의 아이오노머 수지보다 조금 더 딱딱하게 된다. 그러나 지방산 비스머스 중의 지방산이 분리되며 딱딱한 수지의 분자 사이로 들어가서 다시 원래의 수지보다 더 치밀하면서도 부드러운 유연성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리된 상태의 비스머스는 성형 후 냉각시에 응고 되면서 팽창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고분자 물질의 밀도가 비스머스가 팽창된 만큼 더욱 치밀하게 되어 많은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한편 고무의 경우에는 핵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의 가교 반응에 의해 경화된 고무가 지방산에 의해 유연성이 향상되고 메트릭스 구조의 중심이 되었던 비스머스가 응고하면서 거꾸로 팽창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비스머스 주위의 고분자 물질의 분자구조를 다시 한 번 더욱 치밀하게 만들어 주어 더욱 많은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는 안쪽 커바로 만들어 주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쪽 커바들을 골프공에 적용할 때는 그림. 5에서와 같이 2중의 안쪽 커바인 경우에는 내측 커바(5b)와 중간층 커바(5c) 전부에 본 발명의 조성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내측 커바(5b)에만 적용하고 중간층 커바(5c)에는 일반적인 조성으로 만들 수도 있고 반대로 내측 커바(5b)에는 일반적인 조성으로 만들고 중간층 커바(5c)에만 본 발명의 조성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외측 커바에 있어서 기재 수지로서는 앞서 설명했던 안쪽 커바에서와 같은 유기 고분자 물질이 주로 사용되는데 그 외에도 일반적인 커바용 유기 고분자 물질은 전부 쓰일 수 있다. 예로써 포리 우레탄 수지, 열가소성 포리 에테르 에스테르 수지, 기타의 열가소성 수지 등이 쓰일 수 있다. 또한 백색을 내기 위한 안료 및 소량의 증백제 등이 사용되고 기타 각종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커바의 조성물들은 통상의 성형 방법으로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핵이나 안쪽 커바 위에 씌워진다.
위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은 보통의 골프공과 동일한 유기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그 분자간의 밀도가 더욱 치밀하면서도 부드럽게 되어 보통의 골프공과는 전혀 다르게 많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어 더 비거리를 낼 수 있으며 또한 부드러움에 의해 스핀 성능도 우수한 골프공이 될 수 있었다. 또한 핵에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고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으로 골프공을 만들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안쪽 커바에만 본 발명에 맞는 조성을 사용하고 핵은 일반적인 조성으로 골프공을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쓰리피스 솔리드 골프공,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 등 여러겹으로 되어 있는 골프공의 각각의 부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달리 하는 경우 그 성능이 각각 다르게 되어 여러 가지의 능력이 다른 골프공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핵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된 배합물을 본문의 핵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 투롤밀에서 곱게 밀링한 후 프리포마에서 알맞은 크기로 만들어 금형 속에서 170℃로 15분간 가열하여 경화시켜 그림. 2, 그림. 4에 쓰이는 내핵을 만든 후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밀링한 배합물을 알맞은 크기로 만든 외층을 내핵에 씌운 후 다시 170℃로 15분간 가열하여 경화시켜 그림. 2, 그림. 4에 쓰이는 2중핵을 만들었다. 한편 같은 방법으로,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된 배합물을 금형 속에서 170℃로 20분간 가열하여 경화시켜 그림. 1, 그림. 3, 그림. 5에 쓰이는 핵을 만들었다.
커바 및 골프공의 제조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된 배합물을 본문의 안쪽 커바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고 만들어진 조성물 펠렛트를 건조기에서 60℃의 온도로 20시간 예비 건조시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핵위에 커바를 씌워 그림. 1과 같은 골프공을 만들었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표-1에 나타낸 조성의 배합물 펠렛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2중핵위에 커바를 씌워 그림. 2와 같은 골프공을 만들었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된 배합물로 만들어진 핵 또는 2중핵 위에 내측 커바를 씌우고 다시 외측 커바를 씌워 그림. 3 또는 그림. 4와 같은 골프공을 만들었다. 또한 표-1에 나타낸 조성의 배합물 조성을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씌워 그림. 5에서의 3중 커바를 씌운 골프공을 만들었다. 표-1에 나타낸 조성물의 배합량은 전부 중량부이다.
한편 표-2에 나타낸 조성으로 비교 평가할 골프공을 비교예로서 전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었다. 나타낸 조성물의 배합량은 전부 중량부이다.
또한 표-1의 실시예와 표-2의 비교예에서 얻어진 골프공의 비교 평가를 하여 그 결과를 표-3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2의 모든 골프공의 중량은 표-1의 골프공의 중량과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표-2에서 나타낸 핵의 조성 중에서 충진제를 더 넣어 골프공의 총 중량을 비슷하게 조정하였다.
[표 1]
(실시예)
[표 2]
(비교예)
[표 3]
(물성비교평가)
표-3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과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은 일반적인 조성으로 만든 보통의 골프공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같은 유기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여 골프공을 제조하였어도 스핀 성능도 좋았고 비거리도 올릴 수 있었으며 또한 그 촉감도 부드러운 우수한 골프공인 것이다.

Claims (19)

  1.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투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에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2.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커바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만 기재가 되는 유리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외층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3.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커바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은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고 외층만 기재가 되는 유리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4.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커바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과 외층 전부에 기재가 되는 유리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5.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내측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6.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은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고 내측 커바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7.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쓰리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과 내측 커바 전부에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8.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외층과 내측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9.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과 외층에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내측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10.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과 외층과 내측 커바 전부에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11.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외층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내핵과 내측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12.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은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고 외층과 내측 커바에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13. 내핵과 그 내핵을 싸고 있는 외층으로 된 2중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내핵과 외층은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고 내측 커바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14.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중간층 커바와 그 중간층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내측 커바와 중간층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15.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중간층 커바와 그 중간층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과 내측 커바에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중간층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16.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중간층 커바와 그 중간층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과 내측 커바와 중간층 커바 전부에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17.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중간층 커바와 그 중간층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내측 커바에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들고 핵과 중간층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골프공.
  18.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중간층 커바와 그 중간층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은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고 내측 커바와 중간층 커바에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19. 핵과 그 핵을 피복하는 내측 커바와 그 내측 커바를 피복하는 중간층 커바와 그 중간층 커바를 피복하는 외측 커바로 이루어진 훠피스 솔리드 골프공으로써 그 핵과 내측 커바에는 일반적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고 중간층 커바에만 기재가 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α,β-에칠렌성 불포화 카본산 3-25 중량부와 5-50 중량부의 지방산 비스머스를 함께 사용한 조성물로 만든 골프공.
KR1019960072317A 1996-12-26 1996-12-26 골프공 KR017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317A KR0179448B1 (ko) 1996-12-26 1996-12-26 골프공
JP06180997A JP3217986B2 (ja) 1996-12-26 1997-02-28 ゴルフボール
US08/835,766 US5952415A (en) 1996-12-26 1997-04-08 Golf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317A KR0179448B1 (ko) 1996-12-26 1996-12-26 골프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246A true KR19980053246A (ko) 1998-09-25
KR0179448B1 KR0179448B1 (ko) 1999-02-01

Family

ID=1949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317A KR0179448B1 (ko) 1996-12-26 1996-12-26 골프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2415A (ko)
JP (1) JP3217986B2 (ko)
KR (1) KR0179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2000B1 (en) 1993-06-01 2002-08-13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Multilayer golf ball with filled inner layer having dual core, liquid core, or wound core
US6435983B2 (en) 1993-06-01 2002-08-20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Ultimate control, reduced slippage golf ball
US6117025A (en) * 1995-06-15 2000-09-12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Golf ball with cover having at least three layers
US6991563B2 (en) * 2001-03-23 2006-01-31 Acushnet Company Perimeter weighted golf ball
US6114455A (en) * 1998-05-18 2000-09-05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osition comprising high acid and VLMI ionomers
US6620061B1 (en) * 1999-07-07 2003-09-16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JP4735788B2 (ja) * 1999-07-07 2011-07-2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3729243B2 (ja) * 1999-10-25 2005-12-2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用材料及びゴルフボール
JP3772252B2 (ja) * 2000-02-10 2006-05-1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US6746345B2 (en) * 2000-09-11 2004-06-08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3861970B2 (ja) * 2000-09-11 2006-12-2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6723008B2 (en) 2000-09-11 2004-04-20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6936205B2 (en) * 2000-11-22 2005-08-30 Acushnet Company Method of making golf balls
US7125345B2 (en) * 2002-10-24 2006-10-24 Acushnet Company Low deformation golf ball
US20050187347A1 (en) * 2001-03-23 2005-08-25 Sullivan Michael J. Golf ball composition having substantially no ZDA coagent
US6685580B2 (en) 2001-03-23 2004-02-03 Acushnet Company Three-layer cover for a golf ball including a thin dense layer
US6756436B2 (en) * 2001-06-26 2004-06-29 Acushnet Company Golf balls comprising highly-neutralized acid polymers
US7652086B2 (en) * 2001-06-26 2010-01-26 Acushnet Company Highly-neutralized thermoplastic copolymer center for improved multi-layer core golf ball
US8025593B2 (en) * 2001-06-26 2011-09-27 Acushnet Company Multi-layer-core golf ball having highly-neutralized polymer outer core layer
US20090325731A1 (en) * 2001-06-26 2009-12-31 Sullivan Michael J Highly-neutralized thermoplastic copolymer center for improved multi-layer core golf ball
US8152654B2 (en) * 2001-06-26 2012-04-10 Acushnet Company Three-layer-core golf ball having highly-neutralized polymer outer core layer
US9457233B2 (en) 2001-06-26 2016-10-04 Acushnet Company Three-layer-core golf ball having highly-neutralized polymer outer core layer
US7138460B2 (en) * 2002-10-24 2006-11-21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use in golf balls
US7108921B2 (en) * 2002-10-24 2006-09-19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use in golf balls
US6783468B2 (en) 2002-10-24 2004-08-31 Acushnet Company Low deformation golf ball
US7132480B2 (en) * 2002-10-24 2006-11-07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use in golf balls
US6943217B2 (en) * 2003-05-14 2005-09-13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res formed from unsaturated organic imide co-curing agents
US7654918B2 (en) * 2004-01-12 2010-02-02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having thermoset rubber cover
US7193000B2 (en) * 2004-05-15 2007-03-20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use in golf balls
US7267623B2 (en) * 2005-11-14 2007-09-11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JP5227691B2 (ja) * 2007-08-01 2013-07-03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単一層コアのゴルフボール
US9662542B2 (en) 2008-01-10 2017-05-30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10226670B2 (en) 2008-01-10 2019-03-12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717957B2 (en) 2013-08-05 2017-08-01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943730B2 (en) 2008-01-10 2018-04-17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823090B2 (en) 2014-10-31 2017-11-21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ic field sensor for sensing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US9643060B2 (en) 2008-01-10 2017-05-09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649538B2 (en) 2013-08-05 2017-05-16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8500574B2 (en) * 2009-06-29 2013-08-06 Acushnet Company Multi-layer golf ball
JP5614254B2 (ja) * 2010-11-15 2014-10-29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カラーゴルフボール
JP5850714B2 (ja) * 2010-12-03 2016-02-0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8758167B2 (en) * 2011-09-15 2014-06-24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balls based on oriented nanostructures
US10272296B2 (en) * 2011-12-28 2019-04-3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Golf ball
US9649539B2 (en) 2012-04-20 2017-05-16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592425B2 (en) 2012-04-20 2017-03-14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JP6068006B2 (ja) * 2012-05-31 2017-0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20140073461A1 (en) * 2012-09-07 2014-03-13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9643061B2 (en) 2013-08-05 2017-05-09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737764B2 (en) 2013-08-05 2017-08-22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KR101367275B1 (ko) * 2013-09-02 2014-02-26 주식회사 볼빅 열화 방지된 핵을 갖고 있는 골프공
KR101850316B1 (ko) * 2017-05-25 2018-04-20 주식회사 볼빅 비거리 및 내구성이 향상된 나노 비스머스 골프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269A (en) * 1972-05-04 1977-11-01 Princeton Chemical Research, Inc. Homogeneous molded golf ball
JPS5926310A (ja) * 1982-08-04 1984-02-1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
US4548974A (en) * 1983-07-13 1985-10-22 Smithkline Beckman Corporation Antibiotics produced by Kibdelosporangium aridum shearer
US5508350A (en) * 1993-11-16 1996-04-16 Dunlop Slazenger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for golf ball core and golf ball comprising said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7986B2 (ja) 2001-10-15
KR0179448B1 (ko) 1999-02-01
JPH10192449A (ja) 1998-07-28
US5952415A (en) 199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448B1 (ko) 골프공
KR0179447B1 (ko) 골프공
US6747100B2 (en) Golf ball
JP4782942B2 (ja) 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AU671315B2 (en) Golf ball
US5779562A (en) Multi-core, multi-cover golf ball
US6319152B1 (en) Golf ball
US6806323B2 (en) Golf ball
US5873796A (en) Multi-layer golf ball comprising a cover of ionomer blends
US6277034B1 (en) Three piece golf ball with a spherical metal center
US6638184B2 (en) Three piece golf ball with a metal center
JP4823434B2 (ja) 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JPH11178949A (ja)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及び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US20090280928A1 (en) Golf ball with heat resistant layer
JP4651853B2 (ja) ゴルフボールカバー改質用組成物
US6939251B2 (en) Golf ball
US20020045696A1 (en) Golf ball with dual core and polyurethane cover
JP2000051402A (ja)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AU2002307544A1 (en) Golf ball with dual core and polyurethane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