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020U -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020U
KR19980053020U KR2019960066202U KR19960066202U KR19980053020U KR 19980053020 U KR19980053020 U KR 19980053020U KR 2019960066202 U KR2019960066202 U KR 2019960066202U KR 19960066202 U KR19960066202 U KR 19960066202U KR 19980053020 U KR19980053020 U KR 19980053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reverse
shaft
til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6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020U/ko
Publication of KR19980053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02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석(11)의 후방부에 등받이(12)의 저부를 축지시킨 축(13)의 일단부에 작동기어(5)를 설치하고, 좌석(11)의 일측면에 고정시킨 정역모터(7)의 축에 구동기어(71)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기어(5)와 맞물리게 하며, 상기 기어(5,71)들을 포함하여 정역모터(7)를 감쌓도록 설치한 커버(6)의 상면에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을 설치하여 주므로써,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탑승자가 자신이 앉은 시트의 등받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는 각도로 조절시키고자 할시에는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만 적절히 조작하면 되므로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는 스위치가 조작되는 시간동안만 구동되므로 미세각도 까지 조절이 가능하여 상품성 자체가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도 1은 종래 자동차에 설치된 시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시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전기적인 회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5 : 작동기어
6 : 커버7 : 정역모터
8 :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9 : 밧데리
11 : 좌석12 : 등받이
13 : 축71 : 구동기어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의 내부에서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설치되는 시트의 등받이 경사각도를 미세한 부분 까지 모터의 구동력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내부에서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설치되는 시트의 등받이 축에 작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기어에는 정역 모터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가 맞물리도록 하여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등받이의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서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의 좌석(11) 후방부에 등받이(12)의 저부를 축(13)으로 축지시키되, 상기 축(13)과 등받이(12)의 측면 사이에는 테이프형 리턴스프링(4)을 설치하고, 상기 좌석(11)과 등받이(12) 사이에는 원하는 경사각도로 등받이(12)가 유지되도록 하는 레버(3)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분야]
따라서, 운전자 또는 조수석에 앉은 승객등이 자신의 신체 체형에 맞게 시트(1)의 등받이(12) 각도를 조절할시에는 상기 레버(3)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등받이(12)를 손이나 등으로 밀어 원하는 각도를 선택한 후, 레버(3)를 놓게 되면 그 위치에서 등받이가 고정되고, 또 등받이(12)를 손으로 잡거나 등으로 밀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3)만 당기면 테이프형 리턴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12)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등받이(12)의 경사각을 자신의 신체 체형에 맞게 조절할시 필히 상기 등받이를 손이나 등으로 밀면서 레버(3)를 상방향으로 잡아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등받이(12)를 앞으로 원상복귀 시킬시에는 임의의 각도씩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등받이(12)를 좌석(11)으로 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조절할시 필히 손이나 등으로 등받이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레버(3)를 당긴 다음 등받이를 밀거나 받쳐주어 원하는 각도로 선택한 후 레버를 놓아야만 자신이 원하는 각도를 유지하므로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뒷따를 뿐만 아니라, 미세한 경사각도로는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구성및작용]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석(11)의 후방부에 등받이(12)의 저부를 축지시킨 축(13)의 일단부에 작동기어(5)를 설치하고, 좌석(11)의 일측면에 고정시킨 정역모터(7)의 축에 구동기어(71)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기어(5)와 맞물리게 하며, 상기 기어(5,71)들을 포함하여 정역모터(7)를 감쌓도록 설치한 커버(6)의 상면에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을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71)의 잇수는 작동기어(5)의 잇수 보다 매우 적도록 하여 정역모터(7)의 회전수가 감속된 상태에서 축(13)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 상기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는 3개의 고정단자와 1개의 가동단자를 갖는 2열 스위치(SW1,SW2)로써, 상기 스위치(SW1,SW2)의 가동단자(A,a)는 각각 밧데리(9)의 정,부극성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SW1,SW2)의 고정단자(B,C,D)(b,c,d) 중 상하부에 위치된 고정단자(B,D)(b,d)는 각각 정역모터(7)의 정,부극성단자(+,-)에 서로 얻갈리게 연결시켜 준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탑승자가 자신이 앉은 시트(1)의 등받이(12)를 자신의 체형에 맞는 각도로 조절시키고자 할시에는 상기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만 적절히 조작하면 정역모터(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스위치가 조작되는 시간동안 구동되어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될 뿐만 아니라 미세각도 까지 조절되므로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상품성 자체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시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전기적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좌석(11)의 후방부에 등받이(12)의 저부를 축지시켜 주기 위해 설치된 축(13)의 일단부에 도 2와 같이 작동기어(5)를 설치하고, 상기 좌석(11)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정역모터(7)의 축상에는 구동기어(71)를 설치하되, 상기 구동기어(71)가 작동기어(5)와 맞물리게 한다.
또한, 상기 기어(5,71)들을 포함하여 정역모터(7)를 감쌓도록 설치한 커버(6)의 상면에 도 3과 같이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을 설치하여 주되, 3개의 고정단자와 1개의 가동단자를 갖는 2열 스위치(SW1,SW2)로 구성된 상기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의 가동단자(A,a)들은 각각 밧데리(9)의 정,부극성 단자(+.-)에 연결하고, 두 스위치(SW1,SW2)의 고정단자(B,C,D)(b,c,d) 중 상하부에 위치된 고정단자(B,D)(b,d)는 각각 정역모터(7)의 정,부극성단자(+,-)에 서로 얻갈리게 연결한다.
물론, 상기 스위치(SW1,SW2)의 고정단자(B,C,D)(b,c,d) 중 중앙부에 위치된 고정단자(C)(c)는 오픈상태로 두어 통상시 정역모터(7)에 밧데리(9)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7)의 축상에 설치된 구동기어(71)의 잇수는 등받이(12)의 축(13)상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기어(5)의 잇수 보다 매우 적도록 하여 정역모터(7)의 회전수가 감속된 상태에서 축(13)에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이 자신이 앉은 시트(1)의 등받이(12)를 자신의 체형에 맞는 각도로 조절하고자 상기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를 구성하고 있는 2열 스위치(SW1,SW2)의 가동단자(A,a)를 상측 고정단자(B)(b) 또는 하측 고정단자(D)(d)로 접속하여 주면, 정역모터(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가 조작되는 시간동안 구동되어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즉, 상기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를 구성하고 있는 2열 스위치(SW1,SW2)의 가동단자(A,a)를 상측 고정단자(B)(b)로 접속시키면 상기 정역모터(7)에 밧데리(9)의 전압이 정극성 방향으로 인가되므로 정역모터(7)가 시계방향과 같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정역모터(7)의 축상에 고정된 작동기어(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등받이(12)는 뒤로 제쳐지고, 이와 반대로 2열 스위치(SW1,SW2)의 가동단자(A,a)를 하측 고정단자(D)(d)로 접속시키면 상기 정역모터(7)에 밧데리(9)의 전압이 역극성 방향으로 인가되므로 정역모터(7)가 반시계방향과 같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정역모터(7)의 축상에 고정된 작동기어(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등받이(12)는 앞으로 제쳐지게 된다.
물론, 상기 모터(7)는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가 조작되는 시간동안에만 구동되므로 운전자 또는 승객은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등받이(12)의 각도가 변화된 경우 조작하던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의 노브로 부터 손을 떼게 되면 그의 가동단자(A,a)들이 중앙의 고정단자(C)(c) 위치로 자동 복귀되므로 그 상태에서 정역모터(7)의 회전이 정지되어 등받이(12)는 현재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역모터(7)는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가 조작되는 시간동안에만 구동되므로 등받이(12)의 각도를 미세각도 까지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고안의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탑승자가 자신이 앉은 시트의 등받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는 각도로 조절시키고자 할시에는 종래와 같이 레버를 조작하지 않고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만 적절히 조작하면 되므로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는 스위치가 조작되는 시간동안만 구동되므로 미세각도 까지 조절이 가능하여 상품성 자체가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좌석(11)의 후방부에 등받이(12)의 저부를 축지시킨 축(13)의 일단부에 작동기어(5)를 설치하고, 좌석(11)의 일측면에 고정시킨 정역모터(7)의 축에 구동기어(71)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기어(5)와 맞물리게 하며, 상기 기어(5,71)들을 포함하여 정역모터(7)를 감쌓도록 설치한 커버(6)의 상면에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71)의 잇수는 작동기어(5)의 잇수 보다 매우 적도록 하여 정역모터(7)의 회전수가 감속된 상태에서 축(13)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역방향 선택 스위치(8)는 3개의 고정단자와 1개의 가동단자를 갖는 2열 스위치(SW1,SW2)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열 스위치(SW1,SW2)의 가동단자(A,a)는 각각 밧데리(9)의 정,부극성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SW1,SW2)의 고정단자(B,C,D)(b,c,d) 중 상하부에 위치된 고정단자(B,D)(b,d)는 각각 정역모터(7)의 정,부극성단자(+,-)에 서로 얻갈리게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19960066202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KR199800530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202U KR19980053020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202U KR19980053020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020U true KR19980053020U (ko) 1998-10-07

Family

ID=5400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202U KR19980053020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0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43U (ko) * 2015-01-12 2016-07-20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43U (ko) * 2015-01-12 2016-07-20 채기석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4163A (en) Side support control device for use in a vehicle seat
EP1717094A2 (en) Power seat operation switch
US4877287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armrest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US6894234B1 (en) Seat adjusting mechanism
JP2002144937A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KR19980053020U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경사각도 조절장치
JP3303716B2 (ja) 車両用シート姿勢制御装置
JPH02283534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装置
JPH0789380A (ja) パワーシート制御装置
JP2009298350A (ja) 車両用シート駆動制御装置、車両用シート駆動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EP1340647A2 (en) Manual control for the regulation of the position of a seat
JP2561303Y2 (ja) パワーシート用駆動モータの駆動装置
JP2560465Y2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
KR100668891B1 (ko) 모듈 스위치
JPH08268125A (ja) 車両用シートの制御装置
KR970002179Y1 (ko)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KR0132594Y1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용 요추 지지체
KR0183085B1 (ko) 팔걸이의 자동 높이 조절장치
KR950007480Y1 (ko)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JPH04237645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KR10019503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
KR950015021B1 (ko) 자동차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JPH0327867Y2 (ko)
KR980007365U (ko) 차량용 앞좌석의 시트백 경사조절장치
JPH022648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