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936U -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936U
KR19980052936U KR2019960066116U KR19960066116U KR19980052936U KR 19980052936 U KR19980052936 U KR 19980052936U KR 2019960066116 U KR2019960066116 U KR 2019960066116U KR 19960066116 U KR19960066116 U KR 19960066116U KR 19980052936 U KR19980052936 U KR 199800529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ignal
trunk
pressure air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6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936U/ko
Publication of KR19980052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93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ombined with vehicle venting means for reducing or avoid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verpressure during inf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였을 때 실내의 공기가 고압 상태로 변하여 탑승자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이 작동하면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이 작동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해 주는 ESPS(1)와; 트렁크를 열어 주는 트렁크 리드 오프너 노브(5)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열어 주는 액튜에이터와(4); 상기한 ESPS(1)로부터 에어백이 작동되었다는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한 액튜에이터(4)를 작동시켜 주는 전원(3)을 연결해 주는 릴레이(2)로 이루어져, 차량이 충돌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였을 때 실내의 공기가 고압 상태로 변하여 탑승자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본 고안은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였을 때 실내의 공기가 고압 상태로 변하여 탑승자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등에 장착되어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면 실내의 공기는 순간적으로 고압 상태로 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에어백이 작동하여 형성된 고압 상태의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공기 배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탑승자가 고압의 공기로 인하여 상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충돌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였을 때 실내의 공기가 고압 상태로 변하여 탑승자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백이 작동하면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와; 트렁크를 열어 주는 트렁크 리드 오프너 노브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열어 주는 액튜에이터와; 상기한 센서로부터 에어백이 작동되었다는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한 액튜에이터를 작동시켜 주는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ESPS2 : 릴레이
3 : 전원4 : 액튜에이터
5 : 트렁크 리드 오프너 노브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이 작동하면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이 작동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해 주는 ESPS(1)와; 트렁크를 열어 주는 트렁크 리드 오프너 노브(5)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열어 주는 액튜에이터와(4); 상기한 ESPS(1)로부터 에어백이 작동되었다는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한 액튜에이터(4)를 작동시켜 주는 전원(3)을 연결해 주는 릴레이(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착된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순간적으로 작동한 에어백의 늘어난 부피가 실내 공기를 가압하여 실내의 공기는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에어백이 작동하는 순간 ESPS(1)는 에어백 작동 신호를 발생하여 릴레이(2)를 구동시켜 액튜에이터(4)에 전원(3)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된 액튜에이터(4)는 트렁크 리드 오프너 노브(5)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열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는 트렁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탑승객이 고압의 공기로 인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는 차량이 충돌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였을 때 실내의 공기가 고압 상태로 변하여 탑승자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에어백이 작동하면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와;
    트렁크를 열어 주는 트렁크 리드 오프너 노브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열어 주는 액튜에이터와;
    상기한 센서로부터 에어백이 작동되었다는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한 액튜에이터를 작동시켜 주는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KR2019960066116U 1996-12-31 1996-12-31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KR199800529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116U KR19980052936U (ko) 1996-12-31 1996-12-31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116U KR19980052936U (ko) 1996-12-31 1996-12-31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936U true KR19980052936U (ko) 1998-10-07

Family

ID=5400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116U KR19980052936U (ko) 1996-12-31 1996-12-31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93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3872A (en) Automotive vehicle equipped with air bag system
SE9802055D0 (sv) Vorrichtung zum erkennen der belegungsart des beifahrersitzes eines kraftfahrzeugs
SE9302387L (sv) Anslagsskyddsanordning för åkande i fordon
KR19980052936U (ko) 에어백 작동으로 인한 고압 공기 배출 장치
KR100278475B1 (ko) 자동차용 에어시트
JPH03246137A (ja) 車室内の空気圧調整装置
KR0130600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작동후 자동제거장치
KR100224235B1 (ko) 에어백 폭발시 차 실내 압력감소장치
KR100270884B1 (ko)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KR0148660B1 (ko) 자동차 충돌시 선루프 자동 오픈장치
KR100224245B1 (ko) 측면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0146582B1 (ko)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00250525B1 (ko) 뒷좌석 어린이 보호장치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9980053221U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보호장치
KR200185235Y1 (ko) 버스용 에어백 장치
KR970069641A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 장치
KR970039600A (ko) 자동차 에어백 오동작 방지 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90036667U (ko) 충돌 감응형 스티어링 휠 장치
KR970039603A (ko) 에어백 팽창시 차량 실내 기압 상승 방지 장치
KR20050033712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장치
KR19980024576U (ko) 에어백 작동시 작동하는 자동차 사고 위치 송출 장치
JPH09202196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970069643A (ko) 에어백 인플레터 기폭시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