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882U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882U
KR19980052882U KR2019960066062U KR19960066062U KR19980052882U KR 19980052882 U KR19980052882 U KR 19980052882U KR 2019960066062 U KR2019960066062 U KR 2019960066062U KR 19960066062 U KR19960066062 U KR 19960066062U KR 19980052882 U KR19980052882 U KR 199800528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duct
water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4186Y1 (ko
Inventor
채용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66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1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2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8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동절기 난방시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대해 개시한다.
이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난방시키는 열 교환수단과, 이 냉/난방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과,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덕트와, 이 덕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고안은 냉방 또는 난방가동시 건조한 실내에 가습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에 탈착가능한 가습기를 설치하여 냉/난방 공기를 토출할 때 같이 가습을 함께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 가동시 실내가 건조해져 호흡기 질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실내에 별도의 가습기를 사용하여 냉방 또는 난방과 동시에 가습시키고 있다.
이는 별도의 가습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상기 가습기를 가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점 및 이 가습기가 실내에 설치되는 부피에 따른 실내 공간의 제약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난방 가동시 가습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가습기가 채용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절개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110 : 전면 패널
112 : 장공114 : 투시창
120 : 측면 패널122 : 급수공
200 : 열 교환수단300 : 송풍수단
400 : 덕트500 : 가습수단
510 : 수조512 : 급수구
514 : 배수구516 : 뜨게부
520 : 가습부522 : 저장조
524 : 진동자530 : 공급부
532 : 토출로534 : 수증기 토출구
600 : 급수호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싱 부재와, 케이싱 부재 내부에 수용되고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가열시키는 열교환수단과, 이 냉각/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과, 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공급시키는 덕트를 포함하여 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측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수단이 설치되어 열 교환된 공기와 함께 수증기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수단은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며 물이 급수 및 배수되는 급수구/배수구가 마련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습부와, 상기 수증기를 상기 덕트내로 공급시키는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는 그 내부에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뜨게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뜨게부의 일단이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본체의 전면부위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구비하여서, 상기 수조내의 물 수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수조의 급수구와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이 급수호스의 타단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급수공을 상기 본체의 측면 패널에 형성하여서, 외부 급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습부는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 내부에 수용되고 초음파에 의해 발진되어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진동자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증기가 이동되고 일단이 상기 진동자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토출로와, 상기 토출로와 덕트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수증기 토출구를 구비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공기조화기는 가동시 공기와 함께 수증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가습기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실내의 온도 조절 및 습도 조절의 기능까지 겸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 가습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가습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참조, 사각형 케이스 형상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고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가열시키는 열 교환수단(200)과, 이 냉각/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300)과, 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공급시키는 덕트(400)와, 상기 덕트(400)의 일측에는 설치되고 진동자(524)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 교환수단(200)은 통상의 공기조화기에서 공히 가지는 구성요소들인 열교환기(210), 압축기(미도시), 증발기(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상기 송풍수단(300)은 상기 열교환기(210)를 거친 냉/난방 공기를 전동기(3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320)을 구비한다.
상기 가습수단(500)은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며 물이 급수 및 배수되는 급수구/배수구(512,514)가 마련되는 수조(510)와, 상기 수조(510)의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습부(520)와, 상기 수증기를 상기 덕트(400)내로 공급시키는 공급부(530)를 구비한다.
상기 가습수단(5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130)에 안착된다.
상기 수조(510)는 그 내부에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뜨게부(516)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 패널(110)에 뜨게부(516)의 일단이 끼워지는 장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12)에 대응되는 본체(100)의 전면부위에 설치되는 투시창(114)을 구비하여서, 상기 수조(510)내의 물 수위를 표시한다.
상기 가습부(520)는 상기 수조(5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522)와, 상기 저장조(522) 내부에 수용되고 초음파에 의해 발진되어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진동자(524)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부(530)는 상기 수증기가 이동되고 일단이 상기 진동자(524)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덕트(400)와 연결되는 토출로(532)와, 상기 토출로(532)와 덕트(40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수증기 토출구(53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그 전면 패널(110)에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공기 유입구(118)와 공기 배출구(119)가 형성되고, 측면 패널(120)에 상기 수조(510)의 외부 출입이 가능하도록 급수공(122)이 형성되며, 이 급수공(122)을 개폐시키도록 회동가능한 커버(124)가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참조, 난방 가동시 실내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10)를 거쳐 냉각/가열된다.
이후에 냉각/가열된 공기는 유로관을 통해 송풍팬(320)에 공급되고, 이 송풍팬(320)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으로 상승기류가 발생된다.
이 상승기류는 덕트(400) 내부를 통해 전면 패널(110)의 배출구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덕트(400)의 일측에 설치된 가습수단(500)은 수조(510)에 저장된 물이 배수구(514)를 통해 저장조(522)에 일시 저장되고, 이 저장된 물은 진동자(524)의 초음파 발진에 수증기로 변환되며, 상기 수증기는 상승하여 토출로(532)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이송된 수증기는 작업자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수증기 토출구(534)에 차단 또는 덕트(40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덕트(400) 내부로 공급된 수증기는 난방된 공기와 혼입되고, 이 혼입된 공기는 전면 패널(110)의 공기 배출구(119)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어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쾌적하게 만든다.
그리고, 상기한 수증기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조(510)내의 물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 패널(120)에 설치된 커버(124)를 회동시켜 급수공(122)을 개방시키고, 상기 수조(510)를 탈거시켜 급수구(512)를 통해 수조(510) 내부로 물을 보충한 후에 다시 급수공(122)을 통해 수조(5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조(510)의 물수위는 상기 수조(510) 내부에 설치된 뜨게부(516)가 수위의 고저에 따라 승강하게 되고, 이 승강되는 뜨게부(516)는 전면 패널(110)의 장공(112)을 따라 승강하게 되어 물 수위의 고저를 외부에서 투시창(114)을 통해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수조(510)의 다른 급수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일단이 상기 수조(510)의 급수구(512)에 대응되는 급수호스(600)를 설치하고, 이 급수호스(600)의 타단은 이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급수공(122)을 본체(100)의 측면 패널(120)에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수조(510)의 급수방식은 외부에서 상기 급수공(122)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상기 급수호스(600)의 내부를 타고 흘러 내려 수조(51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난방운전시 가습기능을 겸하므로, 건조한 실내를 쾌적하게 만드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별도의 가습기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경제성 및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

Claims (6)

  1. 본체와, 이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가열시키는 열교환수단과, 이 냉각/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과, 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공급시키는 덕트를 포함하여 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측에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수단이 설치되어 가동시 공기와 함께 수증기가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은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며 물이 급수 및 배수되는 급수구/배수구가 마련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습부와, 상기 수증기를 상기 덕트내로 공급시키는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그 내부에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뜨게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 패널에 뜨게부의 일단이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본체의 전면 패널 부위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구비하여서, 상기 수조내의 물 수위를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수조의 급수구와 연결되는 급수호스가 마련되고, 이 급수호스의 타단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급수공이 상기 본체의 측면 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외부 급수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 내부에 수용되고 초음파에 의해 발진되어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진동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증기가 이송되고 일단이 상기 진동자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토출로와, 상기 토출로와 덕트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수증기 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60066062U 1996-12-31 1996-12-31 공기조화기 KR200154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062U KR200154186Y1 (ko) 1996-12-31 1996-12-3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062U KR200154186Y1 (ko) 1996-12-31 1996-12-3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82U true KR19980052882U (ko) 1998-10-07
KR200154186Y1 KR200154186Y1 (ko) 1999-08-02

Family

ID=1948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062U KR200154186Y1 (ko) 1996-12-31 1996-12-3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1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43B1 (ko) * 2007-09-03 2007-12-21 (주)대양하이테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210029560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29562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17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43B1 (ko) * 2007-09-03 2007-12-21 (주)대양하이테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210029560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29562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4186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9755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422594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553417B1 (ko) 환기 장치
KR910001554Y1 (ko) 공기조화장치
JP2008215633A (ja) 空気調和機
KR19980052882U (ko) 공기조화기
KR20020061594A (ko) 공기 조화기
JP3719118B2 (ja) 空気調和機
JP3731113B2 (ja) 空気調和機
JP2006162173A (ja) 空気調和機
JP3197596B2 (ja) 空気調和機
CN210511918U (zh) 空调柜机
JP3564525B2 (ja) 空気調和機
JP3789807B2 (ja) 浴室暖房機
KR20020004258A (ko)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KR19980060350U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CN112303731A (zh) 空调柜机
KR100485573B1 (ko) 공기조화기
KR101192002B1 (ko) 가습 환기 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 조화기
KR10032211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015576B2 (ja) 浴室用空気調和機
KR20030055738A (ko) 가습기 일체형 팬코일유닛
JPS6298138A (ja) 天井埋込み式加湿装置
KR200146138Y1 (ko) 공기조화기용 가습기의 토출호스 고정장치
JP2549457B2 (ja) 簡易一体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