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57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573B1
KR100485573B1 KR10-2002-0050418A KR20020050418A KR100485573B1 KR 100485573 B1 KR100485573 B1 KR 100485573B1 KR 20020050418 A KR20020050418 A KR 20020050418A KR 100485573 B1 KR100485573 B1 KR 10048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indoor unit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422A (ko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5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exhaustion of inside air from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내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실내기의 크기를 축소시킴과 동시에, 실내기로부터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는 실내기에 내장되며,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로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거쳐서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은 실외기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싱에 내장되어 배치된다. 실내기와 송풍팬 사이에는 공기유입관과 공기유출관이 연결되어 있어서,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실내기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공기유입관과 공기유출관을 거쳐서 다시 실내기로 보내지도록 한다. 또한, 실외기에 설치된 케이싱의 일측에는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환기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환기홀에는 이 환기홀을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서, 실내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실내기의 크기를 축소시킴과 동시에, 실내기로부터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냉매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이 냉매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분리되어 구성된 분리형 타입과, 상기의 요소들이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체형 타입으로 구분된다. 또한, 분리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넓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작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2)에 의해 대략 박스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의 내부에는 실내공기를 본체(1)의 내부로 흡입시켜서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송풍팬(3)과, 상기 송풍팬(3)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히팅시키는 열교환기(4)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패널(2)에는 실내공기를 본체(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5)와, 열교환기(4)와 송풍팬(3)을 통과하여 냉각 또는 히팅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본체(1)에 내장된 송풍팬(3)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4)를 거쳐서 열교환된 후에, 토출구(6)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선택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송풍팬과, 이 송풍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실내기에 내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이 실내기에 내장되는 관계로 송풍기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시키기 위한 유로를 마련하기 위해 송풍팬과 열교환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야 하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 유로 가이드가 추가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송풍팬의 설치에 따른 실내기의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송풍팬이 내장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송풍팬의 작동소음과 송풍팬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소음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실내를 정숙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실내기의 크기를 축소시킴과 동시에, 실내기로부터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는 상기 실내기에 내장되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기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서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은 상기 실내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기의 일측면에는 실내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구와 흡입된 실내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구획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팬은 상기 실외기의 일측에 설치된 케이싱에 내장되도록 한다.
상기 실내기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는 공기유입관과 공기유출관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내기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출관을 거쳐서 다시 상기 실내기로 보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출관의 외주면에는 단열재가 둘러싸여져서 외부와 단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에 설치된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환기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환기홀에는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서, 실내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을 구비하여 실내의 일측벽(10)에 설치된다. 하우징(21)의 전면에는 실내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22)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23)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22)와 토출구(23)는 하우징(21)의 내부에 마련된 구획판(25)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서 흡입구(22)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직접 토출구(23) 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열교환기(24)는 토출구(23)와 마주하여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열교환기(24)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트레이(26)가 배치되어 있으며, 흡입구(22)의 내측에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27)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1)의 후면에는 구획판(25)에 의해 토출구(23)와 구획되어 있는 흡입구(22)와 연통되는 일정직경을 가진 공기유입관(28)과, 상기 토출구(23)와 연통되는 일정직경을 가진 공기유출관(2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입관(28)과 공기유출관(29)은 실내의 일측벽(10)을 관통하여 실외로 연장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에 배치되어 있는 실내기용 송풍팬(31)(이하에서는 '송풍팬'으로 지칭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28)과 공기유출관(29)은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도록 그 외주면에 단열재(30)가 둘러싸여져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0)는 흡입구(22)와 토출구(23)가 구획판(25)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토출구(23) 측에는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24)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내기(2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24)만이 설치되고, 실내공기를 유입시켜서 토출시키는 송풍팬(31)이 실내기(20)로부터 배제되어 구성됨으로써 그 전후방향의 폭이 대폭적으로 축소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22)와 토출구(23)가 각각 하우징(21)의 하부와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하였는데, 흡입구(22)와 토출구(23)의 배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위치가 바뀌어서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21)의 다른 측면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24)가 토출구(23)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하였는데, 열교환기(24)는 흡입구(22)와 마주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의 적절한 장소에 설치되는 실외기(40)는 박스형상의 하우징(41)의 내부에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기용 열교환기(미도시)와,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와 강제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기용 송풍팬(미도시)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등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하우징(41)의 상면에는 송풍팬(31)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50)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50)의 측면들에는 전술한 공기유입관(28)과 공기유출관(29)이 연결되어 배치되며, 케이싱(50)의 내부에는 송풍팬(31)이 설치되어서, 송풍팬(31)의 작동에 의해 그 일단이 실내기(20)의 흡입구(22) 측과 연결되어 있는 공기유입관(28)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케이싱(50)으로 유입된 후에, 다시 그 일단이 실내기(20)의 토출구(23) 측과 연결되어 있는 공기유출관(29)을 통해 실내기(20)의 열교환기(24)로 보내져서 열교환되어 실내기(20)의 토출구(2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50)의 상부에는 케이싱(50)의 내부로 실외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환기홀(51)과, 이 환기홀(51)을 개폐하기 위한 댐퍼(52)와, 환기홀(5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5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댐퍼(52)는 케이싱(50)의 상면에서 모터와 같은 회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케이싱(50)의 상면으로부터 선택된 각도로 회동되어 환기홀(51)을 개방시키거나, 또는 케이싱(50)의 상면에 위치되어 환기홀(51)을 폐쇄함으로써 케이싱(50)에 실외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52)가 일정각도로 회동되게 되면 실외공기가 케이싱(5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다시 공기유출관(29)을 통해 실내기(20)로 공급되어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된 부호(42)(43)은 각각 실내기(20)와 실외기(40)에 설치된 장치들을 연결하여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고압측 냉매관과 저압측 냉매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싱(50)에 내장된 송풍팬(31)의 작동에 의해 실내공기가 실내기(20)의 흡입구(22)를 통해 실내기(20)로 유입되어 공기유입관(28)을 따라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된 후에, 공기유출관(29)을 따라 다시 실내기(20)의 토출구(23) 측으로 유출되어 열교환기(24)에 의해 열교환되고, 계속해서 토출구(2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어 실내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케이싱(50)의 상면에 설치된 댐퍼(52)를 작동하여 환기홀(51)이 개방되도록 하게 되면, 환기홀(51)을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어 케이싱(50)으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혼합된 후에, 공기유출관(29)을 따라 실내기(20)로 보내져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로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기용 송풍팬이 실내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실내기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서 설치가 간편하게 되며, 송풍팬의 작동소음이 실내공간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서 실내를 정숙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실외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대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실내기 22: 흡입구
23: 토출구 24: 열교환기
25: 구획판 28: 공기유입관
29: 공기유출관 31: 송풍팬
40: 실외기 50: 케이싱
51: 환기홀 52: 댐퍼

Claims (6)

  1.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는 상기 실내기에 내장되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기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서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은 상기 실내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기의 일측면에는 실내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구와 흡입된 실내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구획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실외기의 일측에 설치된 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는 공기유입관과 공기유출관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내기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출관을 거쳐서 다시 상기 실내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출관의 외주면에는 단열재가 둘러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 설치된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환기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환기홀에는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50418A 2002-08-26 2002-08-26 공기조화기 KR10048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18A KR100485573B1 (ko) 2002-08-26 2002-08-2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18A KR100485573B1 (ko) 2002-08-26 2002-08-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22A KR20040019422A (ko) 2004-03-06
KR100485573B1 true KR100485573B1 (ko) 2005-04-28

Family

ID=3732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18A KR100485573B1 (ko) 2002-08-26 2002-08-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59B1 (ko) * 2005-11-1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WO2017049540A1 (zh) * 2015-09-24 2017-03-30 孙海潮 一种分体空调加湿换新风室内机
WO2017049541A1 (zh) * 2015-09-24 2017-03-30 孙海潮 一种分体空调加湿换新风室内机
CN109425021B (zh) * 2017-08-18 2023-07-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6540A (ja) * 1985-04-22 1986-11-01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
JPS6478827A (en) * 1987-09-19 1989-03-24 Tanabe Shiko Kikai Seizo Kk Method and device for laminating blank in box making machine
JPH11257705A (ja) * 1998-03-10 1999-09-24 Kazuyuki Kobayashi 換気装置
JPH11294841A (ja) * 1998-04-15 1999-10-29 Matsushita Seiko Co Ltd 浴室暖房換気乾燥ユニット用給排気グリ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6540A (ja) * 1985-04-22 1986-11-01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
JPS6478827A (en) * 1987-09-19 1989-03-24 Tanabe Shiko Kikai Seizo Kk Method and device for laminating blank in box making machine
JPH11257705A (ja) * 1998-03-10 1999-09-24 Kazuyuki Kobayashi 換気装置
JPH11294841A (ja) * 1998-04-15 1999-10-29 Matsushita Seiko Co Ltd 浴室暖房換気乾燥ユニット用給排気グ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22A (ko) 200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24476A (zh) 一种厨房空气调节系统
US11067298B2 (en) Air conditioner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0409295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80044160A (ko) 공기조화기
KR20180039405A (ko) 공기조화기
JPWO2002077535A1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0010899A (ko) 공기조화 시스템
US2006001089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0485573B1 (ko) 공기조화기
CN215570832U (zh) 一种室内空调器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CN210511918U (zh) 空调柜机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8154535U (zh) 空调室外机
KR100500988B1 (ko) 공기조화기
JPH11201545A (ja) 空調機
CN218864269U (zh) 一种制冷式吸油烟机
CN220793487U (zh) 一种冷凝器及应用该冷凝器的吸油烟机
CN216644310U (zh) 空调式油烟机
KR20110087894A (ko) 열교환 환기 장치
KR1005084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0010617A (ko) 환기구조를 갖는 일체형 에어컨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