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543B1 -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543B1
KR100787543B1 KR1020070088825A KR20070088825A KR100787543B1 KR 100787543 B1 KR100787543 B1 KR 100787543B1 KR 1020070088825 A KR1020070088825 A KR 1020070088825A KR 20070088825 A KR20070088825 A KR 20070088825A KR 100787543 B1 KR100787543 B1 KR 10078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storage tank
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기
Original Assignee
(주)대양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대양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7008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과 세균 등을 제거시켜 최적의 상태인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줄 때, 이물질과 세균 등이 걸러진 쾌적한 공기에 수분이 함유된 습공기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내로 환원시켜 실내의 공기가 건조하지 않아 쾌적한 실내를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한 가습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직사각 형체를 갖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유입구측에 설치시켜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냉,온 선택에 따라 냉기와 온기로 변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시스템과; 상기 냉난방시스템의 후방측에 위치시켜 이로부터 통과하게 되는 냉,온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한 공기가 수분이 함유된 습공기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습부재와; 상기 가습부재를 통해 습기를 머금은 냉,온기가 토출구를 통해 강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팬, 송풍팬, 냉난방시스템, 가습부재, 공기조화기

Description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Air harmony flag that have humid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과 세균 등을 제거시켜 최적의 상태인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줄 때, 이물질과 세균 등이 걸러진 쾌적한 공기에 수분이 함유된 습공기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내로 환원시켜 실내의 공기가 건조하지 않아 쾌적한 실내를 만들어 줄 수 있도록 한 가습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란 실내의 습온도, 기류, 박테리아, 먼지, 냄새, 유해가스 등의 조건을 실내의 사람이나 물품에 대해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시켜 주는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 난방, 냉방, 온습도 조절, 건조, 냉각, 유해가스 제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장치를 총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계절에 맞추어 난,냉방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냉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매시스템의 가동으로 인해 차가운 공기로 열 교환시켜 주므로서, 실내의 공기 온도를 낮추어 주게 되 는 것이고, 난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난방시스템을 가동시켜 더운 공기로 열교환시켜 줌에 따라 실내의 공기 온도를 높여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낮추어주도록 함에 따라 계절의 온도 변화에 맞추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은 단순히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낮추어 줄 수는 있으나, 건조한 공기를 습기가 머금은 습한공기로 전환시켜 주지 못해 특히 겨울철에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난방을 수행할 때 공기가 너무 건조함에 따라 기관지염 등과 같은 질병의 위험성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전산실, 전력실, 기계실, 생산 및 시험시설 등은 일정한 습도가 유지되어야 하면 전자기기의 작동시 발생 되는 정전기를 매개로 먼지 등이 부착되어 과열 및 과부하 등의 오동작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서 최근에는 공기조화기내에 가습장치를 장착시켜 건조한 공기를 습한 공기로 변환시켜 준 상태에서 실내로 토출시켜 주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공기가 건조하지 않고 항상 습공기로 인해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줌은 물론, 이로 인해 목감기 등과 같은 기관지염의 발병이 없는 상태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산실, 전력실, 기계실, 생산 및 시험시설 등의 장소는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며, 전자기기들의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므로서, 전자기기의 효율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는 냉방시 발생 된 증류수를 증발시켜 상기 증발된 수증기를 실내로 송출시켜 주는 수단과, 냉,난방을 위하여 열교환 된 냉,온기가 단순히 물기 흐르는 물흐름관을 통과하도록 하여 수분이 머금은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쾌적한 습공기를 토출시켜 주지 못하게 되는 단점과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있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이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고, 세균을 살균 처리된 쾌적한 공기가 실내로 환원되기 이전에 정수시스템을 거치면서 정수 된 물이 흐르는 가습휠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한 공기가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습공기로 변환시켜 상기 이물질과 세균 등이 제거된 쾌적한 습공기가 실내로 송풍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나은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으며, 전산실, 전력실, 기계실, 생산 및 시험시설, 업무용 사무실, 대형건물 등은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면서 정전기 발생 억제와 전자기기들의 최적환경을 제공하여 효율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사각 형체를 갖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유입구측에 설치시켜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 록 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냉,온 선택에 따라 냉기와 온기로 변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시스템과;
상기 냉난방시스템의 후방측에 위치시켜 이로부터 통과하게 되는 냉,온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한 공기가 수분이 함유된 습공기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습부재와;
상기 가습부재를 통해 습기를 머금은 냉,온기가 토출구를 통해 강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면에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각종의 오염물질, 유기화학물, 유기화합물 등을 분해하며, 항균, 탈취, 방취, 방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는 무광촉매가 도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습부재는 가습을 위한 물이 플로트밸브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면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직 상부에 집진부재를 통과한 순수한 공기가 통과함은 물론,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습판과;
상기 가습판의 상면에 결합 되도록 한 상태에서 저장탱크내의 물을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가습판의 상부로부터 물을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물분사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일측에 플로트밸브의 고장시 전자적인 작동으로 인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의 직 후방에 위치시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과 약품 등을 정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정수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이 통과하면서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의 세균 등을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요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물이 순환되는 공급배관의 외주연에 감싸지도록 하여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 중 극성이 다른 어느 하나의 이온만을 소멸시켜 스케일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스케일방지요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분사요소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급배관 일측에 일부의 물이 저장탱크로 유입되어 이의 분출압력에 의해 저장탱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회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물회류관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켜 주기 위하여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시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을 제거시켜 주면서 냉난방시스템을 거치면서 선택된 공기인 냉기와 온기를 실내로 다시 송풍시켜 주기 이전에 상기 냉,온기가 가습부재를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한 공기가 수분이 머금은 습공기로 변화되도 록 한 상태에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공기가 건조하지 않은 깨끗한 공기를 유지시켜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을 할 수 있으며, 전산실, 전력실, 기계실, 생산 및 시험시설, 업무용 사무실, 대형건물 등은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면서 정전기 발생 억제와 전자기기들의 최적 환경을 제공하여 효율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로서, 공기조화기(100)는 공기가 유입되고, 토출될 수 있도록 각각 유입구(210)와 토출구(220)를 갖추고 있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덕트(310)로 강제로 흡입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흡입팬(300)을 갖추고, 토출구측에는 송풍팬(400)을 갖추어 냉,난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강제 송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200)의 내면에 무광촉매를 도포시켜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각종의 오염물질, 유기화학물, 유기화합물 등을 분해하며, 항균, 탈취, 방취, 방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팬의 후방측에는 냉난방시스템(500)을 설치하여 계절에 따라 실내로 냉풍과 온풍을 송풍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난방시스템(500)은 압축기-응축기-프랙시블튜브-증발기로 구성되어 낸방시에는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냉기가 실내로 토출되고, 응축기를 토과하면서 온도가 올라간 온기는 실외로 토출 되도록 하여, 실내의 냉방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냉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응축기로부터 발생된 온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온도를 높여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시스템은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냉난방시스템의 직 후방에는 열교환된 냉,온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한 공기를 습기가 머금은 습공기로 변환하여 송풍팬(400)에 의해 실내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습부재(600)를 갖추어준다.
상기 가습부재(600)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가습을 위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610)와, 상기 저장탱크의 직 상부에 순환펌프(620)로 인해 공급되는 물이 하부로 흘러 내림과 아울러, 냉난방시스템을 통과한 냉기 및 온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판(630)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610)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공급배관으로 연결시켜 저장되는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물의 공급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플로트밸브(700)를 장착시켜 저장탱크(610)내에 항상 일정량의 물이 담수 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서, 사용자가 직접 저장탱크내에 물을 보충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도록 함은 물론, 저장탱크내에 가습을 위한 물이 없어 가습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610)내에는 플로트밸브(700)와는 별도로 수위감지센서(710)를 장착시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수위를 맞추어주게 되는 플로프밸 브(700)의 고장이 발생 될 경우에도 저장탱크내에 담수 되는 물의 수위를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62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물은 이와 공급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정수부재(640)를 거치도록 하여 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을 정수부재를 거치면서 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수도관을 통해 저장탱크(610)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는 각종의 이물질 예를 들어, 수도국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수도관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은 수도관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부식물질 등이 함유된 상태에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상기와 같이 부식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물이 가습부재를 거치게 될 경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부식물질 등과 같은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수시로 저장탱크를 세척시켜 주어야 하는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특히 이물질이 함유된 물이 순환펌프에 의해 가습판(630)을 통과시 가습판내에 이물질이 걸려 쌓이게 되므로서, 가습판의 사용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아져 수시로 가습판을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순환펌프를 통해 순환되는 물이 가습판(630)에 공급되기 이전에 정수부(640)를 거쳐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줌과 아울러, 약품 등을 정수시켜 준 순수한 물만이 가습판(630)으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수부(64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필터(641)와,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물이 통과하게 되는 정수제(642), 그리고 사금층(643) 및 제2필터(644)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하게 되는 물은 이와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제 중앙을 관통하는 공급관체를 통해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상기 정수부를 통과하면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을 정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수부를 거치면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은 공급배관의 외주연에 갖추어진 스케일방지요소(800)를 거치게 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배관의 외주연에 +극성을 갖는 자석(810)을 갖추어 준 것으로서, 이는 외부에 케이스(82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의 자석이 케이스에 의해 감싸질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를 묶음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묶어진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케일방지요소(800)는 공급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물에는 무수히 많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무질서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온들이 서로 결합되면 스케일이 형성되므로서, 스케일이 공급배관의 내벽면에 쌓이게 되므로서, 물의 흐름을 방해함은 물론, 정화 기능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어, 본 발명인 스케일방지요소(800)를 공급배관에 장착시켜 줄 경우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중 스케일방지요소(800)인 +극성을 갖는 자석(810)과 다른 극성의 음이온이 자석의 자력에 의해 소멸되고, 상기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고 있는 양이온은 공급배관을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공급배관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610)의 일측 하단부에는 배수밸브(650)의 작동으로 인해 저장탱크내에 담수 되어 있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651)을 갖추어 준다.
이는 정수부(640)를 거치면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준 상태에서 사용하더라도, 저장탱크내에 물이 담수된 상태에서 사용하다 보면 저장되어 있는 물에 의해 저장탱크의 내면에 이끼 등이 발생 되는 것이고, 가습부재에 물이 통과시 가습부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이물질이 저장탱크내에 쌓이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내의 세척을 필요로 할 경우 평상시 잠겨져 있던 배수밸브(650)를 열어준 상태에서 저장탱크내에 물을 공급시켜 주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610)내에 쌓여있는 이물질이 배수관(651)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므로서, 저장탱크를 깨끗이 세척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의 세척이 완료되면 열어주었던 배수밸브(650)를 닫아 준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610)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순환펌프(620)를 이용하여 가습판(630) 상부로 끌어올려 가습판의 상부를 통해 물이 흘러내리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연결된 공급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가습판(630)의 상단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물분사요소(660)를 갖추게 된다.
상기 물분사요소(660)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판(630)의 상단부분이 끼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단부분이 개방되도록 하되, 내부 중간부분에 다수개의 분사공(662)을 갖춘 차단판(661)을 갖추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차단판(661)에 갖추어진 다수개의 분사공(662)을 통해 가습판(630)의 상면에 골고루 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가습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100)는 우선, 가습부재(600)의 저장탱크(610)내에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서, 여름철과 같이 실내의 온도가 높아 높은 온도를 낮추어주기 위하여 냉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난방시스템(500)의 가동을 냉방으로 하여 냉난방시스템에서 냉기가 송풍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겨울철에 난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온기가 송풍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냉난방시스템은 공지 공용된 기술로서 그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과 작동상태에 대해서는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난방시스템(500)을 통과한 공기가 가습부재(600)를 통과하면서 습기를 머금은 습공기가 송풍팬(400)을 통해 대기중으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습부재(600)의 작동은 우선, 저장탱크(610)내에 담겨지는 물은 플로트밸브(700)에 의해 저장탱크(610)내에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데, 기계적인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밸브의 고장이 발생 될 경우 플로트밸브와는 별도로 장착되어 있는 수위감지센서(710)에 의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저장탱크내에 담수되는 물이 넘쳐 흐르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내에 일정량의 물이 담수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200)의 전면에 갖추어져 있는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조작시켜 주게 되면 흡입팬(300)과 송풍팬(400) 및 가습부재(600)가 동시에 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우선, 흡입팬(300)이 가동하게 되면 실내의 공기를 본체(200)는 전면에 갖추어져 있는 흡입구(210)를 통해 흡입하게 되는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는 냉난방시스템(500)을 거치면서 냉기 또는 온기로 변환되는 것이고, 변환된 공기는 가습부재(600)를 통과하면서 건조한 공기가 수분을 함유한 습공기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습부재(600)는 순환펌프(620)의 가동으로 인해 저장탱크(610)내에 있는 물이 공급배관을 통해 정수부(640)를 거치면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을 걸러냄과 아울러, 화학적인 약품 등을 정수시켜 깨끗한 물로 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정수부를 거치면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은 스케일방지요소(800)를 거치면서 음이온은 제거되고, 양이온만이 함유되어 있는 물은 다시 자외선살균요소(900)를 거치면서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의 세균 등을 살균, 박멸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살균요소(900)를 거친 물은 공급배관을 통해 물분사요소(660)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물분사요소(660)로 공급되기 위한 공급배관에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물회류관(670)을 갖추어 주어 저장탱크내로 유입 되도록 하므로서, 유입 분출되는 물의 유입 압력에 의해 저장탱크(610)내에 담수 되어 있는 물이 회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저장탱크(610)의 바닥면에 침전되지 않고 물과 함께 순환펌프를 통해 정수부(640)를 거쳐 이물질이 걸 러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저장탱크의 내측 벽면에 이끼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산균요소(900)를 통과한 물중 물회류관으로 흐르는 물을 제외한 물은 공급배관을 통해 물분사요소(660)내로 공급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순환펌프에 의해 물분사요소(660)내로 공급된 물은 차단판(661)의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려있는 분사공(662)을 통해 분사되어 가습판(630)의 상부로부터 뿌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습판(630)의 상부에서부터 뿌려지는 물은 가습판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고, 가습판의 하부에까지 흘러내린 물은 이의 직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저장탱크(610)로 집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물이 흘러내리는 가습판(630)을 통과하는 건조한 공기가 수분을 함유한 습공기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가습판을 통과하면서 변환된 습공기는 송풍팬(400)에 의해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수부를 통해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정수시켜 줌과 아울러, 가습판을 통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가습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가습도중이나 대기중에 있던 공기가 저장탱크내에 있는 물에 침전될 경우 배수밸브(650)를 열어주게 되면 저장탱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배수관(651)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므로서, 저장탱크를 깨끗이 세척 후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중 가습부재의 전체적 흐름도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중 정수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중 스케일방지요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중 가습부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중 물분사요소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00:흡입팬 400:송풍팬
500:냉난방시스템 600:가습부재
610:저장탱크 620:순환펌프
630:가습판 640:정수부
641:제1필터 642:정수제
643:사금층 644:제2필터
650:배수밸브 651:배수관
660:물분사요소 661:차단판
662:분사공 700:플로트밸브
710:수위감지센서 800:스케일방지요소
810:자석 820:케이스

Claims (8)

  1. 직사각 형체를 갖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유입구측에 설치시켜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냉,온 선택에 따라 냉기와 온기로 변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시스템과;
    상기 냉난방시스템의 후방측에 위치시켜 이로부터 통과하게 되는 냉,온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한 공기가 수분이 함유된 습공기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습부재와;
    상기 가습부재를 통해 습기를 머금은 냉,온기가 토출구를 통해 강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각종의 오염물질, 유기화학물, 유기화합물 등을 분해하며, 항균, 탈취, 방취, 방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는 무광촉매가 도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재는 가습을 위한 물이 플로트밸브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면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직 상부에 집진부재를 통과한 순수한 공기가 통과함은 물론,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습판과;
    상기 가습판의 상면에 결합 되도록 한 상태에서 저장탱크내의 물을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가습판의 상부로부터 물을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물분사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일측에 플로트밸브의 고장시 전자적인 작동으로 인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직 후방에 위치시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과 약품 등을 정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정수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이 통과하면서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의 세균 등을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요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물이 순환되는 공급배관의 외주연에 감싸지도록 하여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 중 극성이 다른 어느 하나의 이온만을 소멸시켜 스케일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스케일방지요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요소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급배관 일측에 일부의 물이 저장탱크로 유입되어 이의 분출압력에 의해 저장탱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회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물회류관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KR1020070088825A 2007-09-03 2007-09-03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078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825A KR100787543B1 (ko) 2007-09-03 2007-09-03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825A KR100787543B1 (ko) 2007-09-03 2007-09-03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543B1 true KR100787543B1 (ko) 2007-12-21

Family

ID=3914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825A KR100787543B1 (ko) 2007-09-03 2007-09-03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32B1 (ko) 2017-03-27 2018-06-07 송성범 난방코일 일체형 가습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210046366A (ko) * 2019-10-18 2021-04-28 김주형 실내의 배기량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436A (ja) * 1992-08-18 1994-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H06323566A (ja) * 1993-05-14 1994-11-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980009036U (ko) * 1996-07-11 1998-04-30 이상운 정수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식 가습기
KR19980052882U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328877Y1 (ko) * 2003-07-04 2003-10-01 진 수 윤 가습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436A (ja) * 1992-08-18 1994-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H06323566A (ja) * 1993-05-14 1994-11-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980009036U (ko) * 1996-07-11 1998-04-30 이상운 정수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식 가습기
KR19980052882U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328877Y1 (ko) * 2003-07-04 2003-10-01 진 수 윤 가습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32B1 (ko) 2017-03-27 2018-06-07 송성범 난방코일 일체형 가습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210046366A (ko) * 2019-10-18 2021-04-28 김주형 실내의 배기량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3938B1 (ko) * 2019-10-18 2022-02-15 김주형 실내의 배기량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1000A1 (en) Air quality device
KR100707499B1 (ko) 제습,가습 및 공기정화 겸용 복합기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KR101125802B1 (ko) 복합형 환기,공기 정화장치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1597324B1 (ko) 공기조화기
KR101565067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식 공기순환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2160102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CN211400111U (zh)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空气除湿装置
CN211204251U (zh) 一种新风净化加湿装置
KR20190059105A (ko) 미세먼지제거 및 공기청정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용 필터가습 유닛
CN218993548U (zh) 一种带空间消毒功能的湿度调节机
KR10109245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KR200429518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JP7203299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140076986A (ko) 공기열 방식의 에어컨과 음이온 살균장치를 구비한 저장시스템
CN111637561A (zh) 空气净化装置
KR101153974B1 (ko) 기화식 가습 살균기
JP2005147644A (ja) 気化加湿器
KR20090021981A (ko) 공기정화장치
CN212362283U (zh) 空气净化装置
KR200377373Y1 (ko) 항온항습기의 가습기 구조
CN219300926U (zh) 一种具有多重消杀结构的无雾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