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981A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981A
KR20090021981A KR1020070086940A KR20070086940A KR20090021981A KR 20090021981 A KR20090021981 A KR 20090021981A KR 1020070086940 A KR1020070086940 A KR 1020070086940A KR 20070086940 A KR20070086940 A KR 20070086940A KR 20090021981 A KR20090021981 A KR 2009002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reservoir
blowe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07008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981A/ko
Publication of KR2009002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중에 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의 인체에 유해한 오염공기를 소독제 및 살균제 등이 혼합된 정화수를 거치면서 정화되도록 함으로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가 정화수(W)를 거치면서 정화되도록 한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고 내부에 담겨진 정화수(W)가 담겨진 저수조(10)와; 상기의 오염공기를 흡입관(22)을 통해 흡입하고 공급관(24)을 통해 저수조(10)의 하단부로 공급하는 송풍기(20)와; 상기 저수조(10)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구(32)와; 드레인밸브(15)가 구비된 하단부의 배수구(14)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상단부의 배기구(16)와; 하부에는 상기 오염공기를 분기(分岐)시키는 분산판(12)과; 정화수(W)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수량계(18)와; 상기 저수조와 송풍기 등을 지지하는 프레임(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저수조, 정화수, 분산판, 송풍기, 프레임.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Device for air cleaning}
본 발명은 공지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중에 미세먼지, 유해가스, 세균, 바이러스 등(이하 '오염물'이라 함)의 인체에 유해한 오염공기를 소독제 및 살균제 등이 혼합된 정화수를 거치면서 정화되도록 함으로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사용하는 축사나 비닐하우스, 공장, 사무실 등의 밀폐된 실내공간 내에서는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무더운 여름철 실내의 에어콘이 작동 중이나, 겨울철에 실내온도의 유지를 위해 자주 환기를 시킬 수 없으므로, 실내의 공기가 오염물에 의해 공기가 오염됨은 물론, 인체의 호흡기계통 질환 및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축산 농가에서는 가축의 주요 질병의 발생원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질병의 전염경로로서 가축이 대량 폐사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종래의 수단으로는 백필터(Bag Filter), 집진기 및 사이클론(Cyclone), 정전기필터 등이 다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제작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여 널리 보급되기 힘든 실정이다.
또는, 상기의 오염공기를 물속으로 통과시켜 오염물이 흡수시켜 정화되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가 정화수(W)를 거치면서 정화되도록 한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고 내부에 정화수(W)가 담겨지는 저수조(10)와; 상기의 오염공기를 흡입관(22)을 통해 흡입하고 공급관(24)을 통해 저수조(10)의 하단부로 공급하는 송풍기(20)와; 상기 저수조(10)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구(32)와; 드레인밸브(15)가 구비된 하단부의 배수구(14)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상단부의 배기구(16)와; 하부에는 상기 오염공기를 분기(分岐)시키는 분산판(12)과; 저수조 내의 정화수(W)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수량계(18)와; 상기 저수조와 송풍기 등을 지지하는 프레임(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입구(32)에는 볼탑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농가의 축사나 비닐하우스, 공장, 주택, 사무실 등의 실내공간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정화시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함으로서, 오염물의 충분한 제거는 물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인체에 유해한 병원균을 사멸시켜 사람이나 가축의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가축의 원활한 성장발육을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한 실내에 정화기능과 함께 수분을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종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내의 냉/난방 시, 항시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시킴으로 잦은 환기로 인한 급격한 실내온도의 변화를 방지하고, 이에 소비되는 냉/난방비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수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저렴한 비용의 정화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면서,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은 참조하면, 일정량의 정화수(W)가 담겨진 저수조(10)의 일측부 에 송풍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20)는 흡입구와 연통된 흡입관(22)은 오염된 지역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와 연결된 공급과(24)을 통해 저수조의 하단부로 오염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송풍기(20)는 오염공기를 저수조 내부로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토출압력이 높은 브로어(Blower)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조(10)는 하부가 아래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정화수(W)가 담겨져 있다. 상기 정화수(W)는 물 내지는 소독제, 정화제 등을 사용하거나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에는 배수구(14)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4)에는 일측으로 공급관(24)이 연결되어 오염공기가 기포(起泡)형태로 배수구를 통해 저수조의 내부로 상승 공급된다.
상기 저수조(10)의 내측 하부에는 분산판(12)이 횡설되고, 상기 분산판(12)에는 다수개의 분기구멍(12a)이 형성되어 오염공기를 분기(分岐)시킨다. 상기의 기포가 분산판(12)의 분기구멍을 통과하면서 미세하게 분산됨으로 정화수(W)와의 접촉면적을 확대되어 정화수와 충분히 접촉하면서 오염물이 정화수(W)에 녹아 정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10)가 위로 갈수록 확대됨으로 분산판(12)을 통해 분기된 기포가 다시 뭉쳐지지 않고 분산되게 함으로서 충분한 정화가 가능하고 정화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분산판(12)은 기포의 분기율을 향상시켜 정화효율을 높이고자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예컨대, 상기 배수구(14)와 대응하도록 소정의 부피 를 가지는 원통형이나 상기 저수조(10)의 하부 콘형태와 대응하는 원뿔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분기용 통공이 불규칙하게 무작위로 분포 형성되어져, 상기의 오염공기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상단부의 배기구(16)를 통해 배출되어 신선한 공기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수조(10)의 상부 일측에는 유입구(32)가 설치되어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며, 상기 유입구(32)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됨은 물론, 또는 정화수(W)의 수위가 낮아지면 밸브가 개방되어 용수를 공급하고, 다시 수위가 일정하게 상승하면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볼탑을 설치하여 정화수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구(14)의 하단부에는 드레인밸브(15)가 결합되어 저수조의 하단부로 모여진 이물질이나 정화수(W)를 일부만 제한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내부 청소 및 관리를 위해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0)의 일측부에는 내부 정화수(W)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수량계(18)가 구비된다. 상기 수량계(18)는 저수조의 상단 일측부와 하부의 배수구(14)와 연통하고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관체를 통해 정화수의 수위 변화 및 오염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0) 및 소풍기(20), 배관 등은 프레임(30)으로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30)은 정화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Claims (2)

  1. 오염된 공기가 정화수(W)를 거치면서 정화되도록 한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고 내부에 정화수(W)가 담겨지는 저수조(10)와;
    상기의 오염공기를 흡입관(22)을 통해 흡입하고 공급관(24)을 통해 저수조(10)의 하단부로 공급하는 송풍기(20)와;
    상기 저수조(10)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구(32)와;
    드레인밸브(15)가 구비된 하단부의 배수구(14)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상단부의 배기구(16)와;
    하부에는 상기 오염공기를 분기(分岐)시키는 분산판(12)과;
    저수조 내의 정화수(W)의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수량계(18)와;
    상기 저수조와 송풍기 등을 지지하는 프레임(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2)에는 볼탑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070086940A 2007-08-29 2007-08-29 공기정화장치 KR20090021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40A KR20090021981A (ko) 2007-08-29 2007-08-29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40A KR20090021981A (ko) 2007-08-29 2007-08-29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981A true KR20090021981A (ko) 2009-03-04

Family

ID=4069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940A KR20090021981A (ko) 2007-08-29 2007-08-29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9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3990A (zh) * 2010-08-09 2012-03-14 林鹰良 汽车尾气净化装置以及净化汽车尾气的方法
WO2020021505A1 (zh) * 2018-07-27 2020-01-30 施恒忠 水净化气体系统
KR102199297B1 (ko) * 2020-02-26 2021-01-06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중 흡입식 미세먼지 저감 및 수질정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3990A (zh) * 2010-08-09 2012-03-14 林鹰良 汽车尾气净化装置以及净化汽车尾气的方法
WO2020021505A1 (zh) * 2018-07-27 2020-01-30 施恒忠 水净化气体系统
KR102199297B1 (ko) * 2020-02-26 2021-01-06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중 흡입식 미세먼지 저감 및 수질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8628A1 (zh) 空气净化器
CN102481384B (zh) 消毒和除臭卫生间系统的方法和装置
CN206846980U (zh) 一种纯净型加湿器
KR20180029939A (ko) 습식 공기세척기
KR101034868B1 (ko)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CN102187814B (zh) 高效节能消毒净化装置
KR101820578B1 (ko) 생태환경을 이용한 수질 및 공기정화 가습장치
KR20090021981A (ko) 공기정화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CN202043521U (zh) 高效节能消毒净化装置
JP7299649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698318B1 (ko) 공기정화용 가습기
KR20110013709A (ko) 공기 정화 장치
WO2018133632A1 (zh) 微生态空气净化器
CN207168681U (zh) 一种解剖整容用的新风恒温手术台
CN101498483B (zh) 一种冲激式室内空气净化器
KR200423012Y1 (ko) 농축산용 공기정화장치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220142159A (ko) 포그를 이용한 식물재배식 공기정화장치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208312631U (zh) 一种家用新风装置
CN207907417U (zh) 一种风机盘管加湿器
KR100976169B1 (ko) 공기정화 살균시스템
CN204745085U (zh) 一种移动式空气消毒净化装置
CN220083269U (zh) 一种高效的空气消毒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