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949A - 감열, 감온성 기록지 - Google Patents

감열, 감온성 기록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949A
KR19980051949A KR1019960070876A KR19960070876A KR19980051949A KR 19980051949 A KR19980051949 A KR 19980051949A KR 1019960070876 A KR1019960070876 A KR 1019960070876A KR 19960070876 A KR19960070876 A KR 19960070876A KR 19980051949 A KR19980051949 A KR 1998005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hermosensitive
thermal
record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1236B1 (ko
Inventor
이걸구
양시영
Original Assignee
이걸구
양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걸구, 양시영 filed Critical 이걸구
Priority to KR101996007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2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성에 의하여 여러 기록을 가시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감온성에 의하여 물체의 온도를 가시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기록기능과 시온기능을 겸할 수 있는 감열, 감온성 기록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 감온성 기록지는 감열성분과 현색성분을 혼합하여 된 감열성 잉크고형분과 로이코염료, 현색제 및 고급지방산알코올을 젤라틴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화한 감온성 잉크고형분의 혼합물을 아크릴에멀젼과 함께 혼합하여 수득되는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을 종이에 도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코드 등의 영구적인 기록과 제품의 온도에 따른 시온변색의 두가지 변색이 가능한 기록지를 수득하여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열, 감온성 기록지
본 발명은 감열, 감온성 기록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열성에 의하여 여러 기록을 가시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감온성에 의하여 물체의 온도를 가시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기록기능과 시온기능을 겸할 수 있는 감열, 감온성 기록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열성 기록지는 기록지에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변색되는 화학물질을 종이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팩시밀리(Facsimile)나 바코드(Bar-code) 기록용과 같은 특수한 기록용으로 사용되며, 열이 가해지는 부분에 도포된 화학물질만이 영구적으로 변색되어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들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열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변색되는 감열성 화학물질로는 소위 로이코염료와 현색제 및 온도조절제를 함께 용해시켜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화 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로이코염료, 현색제 및 온도조절제 등은 모두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이다.
한편, 최근 시온물질의 활발한 개발로 말미암아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변색되는 감온성 기록지가 개발되고 있거나, 또는 개발되어 일부 제품들에 응용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감온성 기록지로서, 최근 맥주병에 부착되어 일정한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마크가 표시되도록 하는 감온성 기록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감온성 기록지는 역시 감온성 화학물질을 종이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감온성 화학물질로는 주변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것으로서, 최근 건물용의 변색도료나 직물지 등에 적용된 사례가 잇따라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변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변색되는 화학물질은 빛을 반사하는 대상물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인간의 시각에 의하여 서로 다른 색으로 느껴지는 변색물질로서, 온도변화에 따라 변색되는 소위 시온재료(示溫材料)라 칭하여지는 감온성 색소 또는 안료와 자외선의 조사 등과 같이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변색되는 소위 포토크로미즘(Photochromism)이라 칭하여지는 광변색제 등이 있으며, 상기한 감온성 화학물질은 이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히 전자공여성 물질과 전자수용성 물질의 특정 분위기 중에서의 전자의 주고받음에 의하여 변색되는 착색성 안료를 특별히 지칭할 수도 있다.
이렇게 각각 용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발되고, 생산되는 감열성 기록지 및 감온성 기록지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열에 의하여 비가역적으로 변색되는 감열성 및 열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변색되는 감온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기록지는 아직까지 개발된 적도 없으며, 상품화된 예는 더욱 없다.
특히, 저온냉장제품 등과 같이 하나의 제품에 포스(POS)관리시스템을 위한 바코드의 적용을 위한 감열성 기록지 및 제품의 온도를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감온성 기록지가 모두 부착되는 것과 같은 특별한 용도가 필요한 경우, 이들 감열성 기록지와 감온성 기록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하고, 처리하여 사용하여야 하였으며, 이는 기록지의 부착 및 교환 등에 있어서 불편할 뿐 아니라 기록지로 인하여 제품의 외적 미관을 해칠 염려도 있다.
따라서, 감열성과 감온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감열, 감온성 기록지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의하여 비가역적으로 변색되는 감열성과 열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변색되는 감온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감열, 감온성 기록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열, 감온성 기록지는 로이코염료 10 내지 14 중량1부, 분산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결착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0.1 내지 10미크론 이하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산시킨 감열성분과, 현색제 20 내지 30 중량부, 증감제 10 내지 3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1 중량부, 활제 30 내지 4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고, 0.1 내지 10미크론 이하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산시킨 현색성분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감열성분 30 내지 70 중량%와 현색성분 70 내지 3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감열성 잉크고형분으로 준비하고, 로이코염료 20 내지 40 중량부, 현색제 40 내지 50 중량부 및 고급지방산알코올 400 내지 900 중량부를 완전히 혼합, 용해시키고, 이 용해물을 5%-젤라틴용액을 강력하게 교반하면서 주입하여 유화시켜 미립자화하고, 에폭시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를 완전히 혼합한 후, 다시 아민계 경화제 5 내지 40 중량부를 가하여 미립자화된 캡슐막을 경화시켜 감온성 잉크고형분으로 준비하고, 상기 감열성 잉크고형분 6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감온성 잉크고형분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크릴에멀젼 2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종이에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 감온성 기록지는 감열성분과 현색성분을 혼합하여 된 감열성 잉크고형분과 로이코염료, 현색제 및 고급지방산알코올을 젤라틴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화한 감온성 잉크고형분의 혼합물을 아크릴에멀젼과 함께 혼합하여 수득되는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을 종이에 도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열성 잉크고형분을 구성하는 감열성분은 로이코염료 10 내지 14 중량1부, 분산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결착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0.1 내지 10미크론 이하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산시켜 이루어지고, 역시 감열성 잉크고형분을 구성하는 현색성분은 현색제 20 내지 30 중량부, 증감제 10 내지 3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1 중량부, 활제 30 내지 4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고, 0.1 내지 10미크론 이하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산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감열성분 30 내지 70 중량%와 현색성분 70 내지 3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감열성 잉크고형분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온성 잉크고형분은 로이코염료 20 내지 40 중량부, 현색제 40 내지 50 중량부 및 고급지방산알코올 400 내지 900 중량부를 완전히 혼합, 용해시키고, 이 용해물을 5%-젤라틴용액을 강력하게 교반하면서 주입하여 유화시켜 미립자화하고, 에폭시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를 완전히 혼합한 후, 다시 아민계 경화제 5 내지 40 중량부를 가하여 미립자화된 캡슐막을 경화시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감온성 잉크고형분에서 사용되는 고급지방산알코올은 감온성 잉크고형분의 감온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제로서 기능하며, 라우릴알코올, 데실알코올, 도데실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세틸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에스테르 역시 사용이 가능하며, 그 예로서는 세틸알코올-라우릴에스테르, 스테아릴알코올-라우릴에스테르 및 미리스틸알코올-라우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감열성 잉크고형분과 상기 감온성 잉크고형분은 아크릴에멸젼과 함께 상기 감열성 잉크고형분 6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감온성 잉크고형분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크릴에멀젼 20 내지 6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어 감열, 감온성 잉크조성물을 수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은 통상의 캘린더링 가공에 의하여 종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에서 로이코염료로는 2,2-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2,2-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2,2-부틸이소아밀-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2,2-butylisoamyl-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3,3-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3,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3,3-dieth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상표명으로서 벤조일 로이코 메틸렌 블루, 크리스탈 바이올렛-락톤(crystal violet-lactone), 피에스디-150(PSD-150), 피에스디-180(PSD-180), 오디비-원(ODB-I), 오디비-투(ODB-II), 에스-205(S-205), 티에이취-51(TH-51), 티지-21(TG-21) 및 티지-31(TG-3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고유의 색상을 갖는 물질로서 전자수용성 물질과 혼합되는 경우, 전자수용성 물질과의 전자의 주고받음에 의하여 무색으로 변색될 수 있는 물질들이며, 여기에서 전자수용성 물질들은 곧 현색제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자수용성 물질 즉, 현색제로는 비스페놀-에이(Bis-phenol-A), 비스페놀-에스(Bis-phenol-S) 등의 페놀계 화합물과 파라-히드록시벤질벤족익애시드(p-Hydroxy benzyl benzoic acid), 파라페닐페놀(p-Phenyl phenol) 및 산성백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증감제의 예로서는 파라벤질비페닐(PBBP), 벤질옥시나프타렌(BON), 에틸렌비스 스테아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결착제의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산화ㅈㄴ분, 카제인, 아크릴계 에멀젼 및 라텍스류 등을 들 수 있다.
활제로서는 탄산칼슘, 산화규소가공체, 활석, 클레이, 고령토, 카오린,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통상의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1
크리스탈바이오렛락톤 12 중량부, 데몰-이피 분산제 0.01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12 중량부를 1미크론 이하의 입자로 미립분산시켜 감열성분을 준비하고, 비스페놀-에이 24 중량부, 벤질옥시나프탈렌 20 중량부, 분산제로서 티에이취비-1(THB-1) 0.5 중량부, 탄산칼슘 36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2.5 중량부를 1미크론 이하의 입자로 미립분산시켜 현색성분을 준비한 후, 상기 감열성분 50 중량부와 상기 현색성분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감열성 잉크고형분을 준비하였다.
한편, 로이코염료로서 2,2-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 플루오란 30 중량부, 현색제로서 비스페놀-에이 4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60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10℃에서 기계식 교반기를 사용하여 강력하게 교반하는 5%-젤라틴 용액 500 중량부에 서서히 주입시키고, 약 30분 후 에폭시수지(#828) 100그램을 주입하고, 다시 30분 후 아민경화제 40그램을 주입하고, 경화시켜 감온성 잉크고형분을 준비하였다.
상기 감열성 잉크고형분 75 중량부와 감온성 잉크고형분 25 중량부를 40%의 아크릴에멀젼 40 중량부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득된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을 1입방미터 당 6그램의 비율로 종이의 표면에 캘린더가공에 의하여 도포하여 감열, 감온성 기록지를 수득하였다.
상기한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은 7℃ 전후에서 푸른색에서 무색으로 가역적으로 변색되며, 일시적인 고온 가열 즉, 50℃ 이상의 가열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만 비가역적으로 변색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2
감온성 잉크고형분의 제조에서 라우릴알코올 대신 세틸알코올 7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감온성 기록지를 수득하였다.
상기한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은 35 내지 37℃ 전후에서 가역적으로 변색되며, 일시적인 고온 가열 즉, 50℃ 이상의 가열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만 비가역적으로 변색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3
감온성 잉크고형분의 제조에서 라우릴알코올 대신 미리스틸알코올 7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감온성 기록지를 수득하였다.
상기한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은 25 내지 27℃ 전후에서 가역적으로 변색되며, 일시적인 고온 가열 즉, 50℃ 이상의 가열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만 비가역적으로 변색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4
감온성 잉크고형분의 제조에서 라우릴알코올 대신 세틸알코올 350 중량부와 라우릴알코올 35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감열, 감온성 기록지를 수득하였다.
상기한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은 15 내지 18℃ 전후에서 가역적으로 변색되며, 일시적인 고온 가열 즉, 50℃ 이상의 가열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만 비가역적으로 변색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열, 감온성 기록지는 온도에 따른 가역적인 변색과 일시적인 고온가열에 의한 비가역적인 변색이 가능한 기록지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바-코드 등의 영구적인 기록과 제품의 온도에 따른 시온변색의 두가지 변색이 가능한 기록지를 수득하여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로이코염료 10 내지 14 중량1부, 분산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결착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0.1 내지 10미크론 이하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산시킨 감열성분과, 현색제 20 내지 30 중량부, 증감제 10 내지 3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1 중량부, 활제 30 내지 4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고, 0.1 내지 10미크론 이하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산시킨 현색성분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감열성분 30 내지 70 중량%와 현색성분 70 내지 3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감열성 잉크고형분으로 준비하고,
    로이코염료 20 내지 40 중량부, 현색제 40 내지 50 중량부 및 고급지방산알코올 400 내지 900 중량부를 완전히 혼합, 용해시키고, 이 용해물을 5%-젤라틴용액을 강력하게 교반하면서 주입하여 유화시켜 미립자화하고, 에폭시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를 완전히 혼합한 후, 다시 아민계 경화제 5 내지 40 중량부를 가하여 미립자화된 캡슐막을 경화시켜 감온성 잉크고형분으로 준비하고,
    상기 감열성 잉크고형분 60 내지 80 중량부와 상기 감온성 잉크고형분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크릴에멀젼 2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감열, 감온잉크조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종이에 도포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감온성 기록지.
KR1019960070876A 1996-12-24 1996-12-24 감열, 감온성 기록지 KR10022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876A KR100221236B1 (ko) 1996-12-24 1996-12-24 감열, 감온성 기록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876A KR100221236B1 (ko) 1996-12-24 1996-12-24 감열, 감온성 기록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949A true KR19980051949A (ko) 1998-09-25
KR100221236B1 KR100221236B1 (ko) 1999-09-15

Family

ID=1949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876A KR100221236B1 (ko) 1996-12-24 1996-12-24 감열, 감온성 기록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41B1 (ko) * 2000-02-01 2002-04-10 이봉훈 고광택, 화상계조 및 보존성이 향상된 감열기록체
KR20030070379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폴리크롬 음현발색성 복사용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41B1 (ko) * 2000-02-01 2002-04-10 이봉훈 고광택, 화상계조 및 보존성이 향상된 감열기록체
KR20030070379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폴리크롬 음현발색성 복사용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236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594B1 (ko) 가역성 열변색 재료
EP0708153B1 (en) Temperature-sensitive color-memorizing microcapsulated pigment
JP3739282B2 (ja) 新規発色剤および記録材料
JPH0665568A (ja) 熱変色性組成物
WO2012115121A1 (ja) 感温変色性組成物
JP5324128B2 (ja) 熱変色性組成物及び熱変色性マイクロカプセル
US5350633A (en) Thermochromic composition
JPH0688071A (ja) 熱変色性組成物
JPH07179777A (ja) 感温変色性色彩記憶性マイクロカプセル顔料
US5879443A (en) Temperature-sensitive color-memorizing microencapsulated pigment
KR100221236B1 (ko) 감열, 감온성 기록지
JP3501308B2 (ja) 可逆感熱記録材料の製造方法
JP3176979B2 (ja) 孔版印刷用可逆的熱変色性エマルジョンインキ
JPH0711242A (ja) 熱変色性材料及びそれを内包したマイクロカプセル顔料
JP3321940B2 (ja) 可逆性感熱記録媒体
JPH05187930A (ja) 可逆性熱変色材料
CA2133932C (en) Temperature-sensitive color-memorizing microcapsulated pigment
JPH05262034A (ja) 可逆的熱変色材料
JPH0419828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3512513B2 (ja) 可逆性感熱記録材料
JP3307014B2 (ja) 可逆性感熱記録媒体
JPH04344287A (ja) 可逆的熱発色性組成物及び可逆的感熱記録材料
JPH06286313A (ja) 可逆感熱記録材料
JP2020001188A (ja) 感温発色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温発色性フィルム
JPH07125437A (ja) 可逆感熱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