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668U -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668U
KR19980050668U KR2019960063842U KR19960063842U KR19980050668U KR 19980050668 U KR19980050668 U KR 19980050668U KR 2019960063842 U KR2019960063842 U KR 2019960063842U KR 19960063842 U KR19960063842 U KR 19960063842U KR 19980050668 U KR19980050668 U KR 199800506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output control
data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63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668U/ko
Publication of KR19980050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68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put/output type connection, e.g. channel, I/O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출력 제어 장치를 통하여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외부 포트를 데이타의 비트별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 제어 장치는 외부 포트를 입력용 또는 출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는 제어 신호를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를 통해 입출력 선택 회로에 인가한다. 입출력 선택 회로는 내부의 3 상태 버퍼를 이용하여 입출력 레지스터를 통한 입출력 제어 장치의 데이타를 포트에 인가하거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타를 입출력 레지스터에 인가한다.

Description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제1도는 종래 입출력 제어 장치와 외부 포트간에 데이타 전송을 위한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의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에 구성되는 입출력 선택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출력 제어 장치20, 30: 입출력 레지스터
60, 70: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
80, 90: 입출력 선택 회로
본 고안은 외부 장치와 데이타 통신을 중재하는 입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장치와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외부 포트를 비트 별로 분할하여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입출력 제어 장치는 데이타의 입출력을 입출력 레지스터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레지스터(20, 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입출력 제어 장치(20, 30)들은 외부단자(41-48, 51-58)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제어 장치(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포트 선택 신호(포트(41-48,51-58)를 선택케 하는)와 기록 신호등이 인가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시하지 않은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기록 신호가 인가되면,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입출력 레지스터(20 또는 30; 포트 선택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를 통하여 외부 포트(41-48 또는 51-58 : 이들 외부 포트들은 입출력 레지스터와 동일한 비트수로 형성된다.)로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입출력 레지스터(20 또는 30)으로부터 데이타가 인가되면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인터럽트 제어기에 의하여 인터럽트되며, 인터럽트 루틴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독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독취 신호에 의하여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입출력 레지스터(20 또는 30)를 통하여 인가되는 외부 포트(41-48 또는 51-58)의 데이타를 독취하여 중앙 처리 장치에 인가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포트(41-48 또는 51-58)들은 동시에 데이타 입력용 또는 데이타 출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비트별로 데이타 입력용 또는 출력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함을 알 수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는 외부 포트(41-48,51-58)를 입력용 또는 출력용중 하나로만 사용하여야 하므로써 전송 데이타의 비트수가 적은 경우에는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입출력 레지스터를 통하여 입출력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포트를 비트별로 데이타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므로써 데이타 처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킨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비트로 형성된 외부 포트를 비트 별로 데이타를 입출력하게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서, 데이타를 비트별로 입출력하고, 입출력할 비트에 대응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비트별로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 장치와; 입출력 제어 장치의 입출력 제어 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와;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의 입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포트를 입력 및 출력용으로 설정하며, 입출력용으로 설정된 외부 포트를 통하여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 선택 회로와; 입출력 선택 회로 및 입출력 제어 장치 사이에 구성되며, 입출력 선택 회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용 외부 포트의 데이타를 입출력 제어 장치에 인가하며, 입출력 제어 장치로부터 인가된 데이타를 입출력 선택 회로에 인가하는 입출력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을 행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의 블럭도로서, 입출력 제어 장치(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주변 장치 선택 신호와 기록 신호 등이 인가되며, 외부포트(41-48, 51-58)와의 사이에 입출력 레지스터(20, 30) 및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60, 70)와, 입출력 선택 회로(80,90)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입출력 레지스터(20, 30)는 종래와 동일하게 입출력 제어 장치(10)와 외부 포트(41-48,51-58)간의 데이타(PA0-PA7,EPA0-EPA7,PB0-PB7,EPB0-EPB7)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며,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60,70)는 입출력 제어 장치(10)의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를 입출력 선택 회로(80,90)에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 선택 회로(80,90)는 입출력 레지스터(20,30)의 비트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출력 선택부(81-88,91-98)로 구성되어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60, 70)의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에 따라 입출력 레지스터(20, 30)와 외부 포트(40, 50)간의 데이타 진행 방향을 비트 별로 결정하게 된다.
제3도에는 입출력 선택부(81-88,91-98)중 입출력 선택부(81)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나머지 입출력 선택부(81-88,91-98)는 입출력 선택부(8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인가되는 데이타(PA0-PA7,EPA0-EPA7,PB0-PB7,EPB0-EPB7) 및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의 비트만이 상이하다는 것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선택부(81)는 입출력 제어 신호(OPA0)에 의하여 구동하여 입출력 레지스터(20,30)의 데이타(PA0)를 외부 포트(41-48)로 인가하는 3 상태 버퍼(B1)와, 외부 포트(41)로부터의 데이타(EPA0)를 입출력 레지스터(20)에 인가하는 버퍼(B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출력 선택부(81-88,91-98)의 구성에서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에 의하여 외부 포트(41-48,51-58)를 선택적으로 입력, 또는 출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가 하이 레벨상태인 경우에는 버퍼(B1)가 오프되므로 외부 포트(41-48,51-58)는 데이타 입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가 로우 레벨상태인 경우에는 버퍼(B1)가 온되므로 외부 포트(41-48,51-58)는 데이타 출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3)만이 하이 레벨 상태이고, 입출력 제어 신호(OPA4-OPA7)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외부 포트(41-44)는 데이타 입력용 사용할 수 있으나, 외부 포트(45-48)는 출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를 이용하여 외부 포트(40,50)를 선택적으로 입력용 또는 출력용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외부 포트(41-48,51-58들중 소정 포트들)를 통하여 인가된 외부 데이타는 입출력 레지스터(20, 30)을 통하여 입출력 제어 장치(10)에 인가되고,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외부 포트(41-48,51-58들중 소정 포트들)를 통하여 출력할 데이타를 입출력 레지스터(20, 30)에 인가하므로, 입출력 제어 장치(10)는 결국 입출력 레지스터(20,30)를 통하여 데이타를 출력할 비트와 입력할 비트에 대응하여 입출력 제어 신호(OPA0-OPA7,OPB0-OPB7)를 출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외부 포트(40,50)을 선택적으로 입/출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타 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개의 비트로 형성된 외부 포트를 비트 별로 데이타를 입출력하게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데이타를 비트별로 입출력하고, 입출력할 비트에 대응하는 입출력 제어 신호를 비트별로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 장치와;
    상기 입출력 제어 장치의 입출력 제어 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와;
    상기 입출력 제어 레지스터의 입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포트를 입력 및 출력용으로 설정하며, 상기 입출력용으로 설정된 외부 포트를 통하여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 선택 회로와;
    상기 입출력 선택 회로 및 입출력 제어 장치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입출력 선택 회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입력용 외부 포트의 데이타를 상기 입출력 제어 장치에 인가하며, 상기 입출력 제어 장치로부터 인가된 데이타를 상기 입출력 선택 회로에 인가하는 입출력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선택 회로는,
    상기 외부 포트와 동일한 수의 입출력 선택부로 구성된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선택부는,
    상기 입출력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구동하여 입출력 레지스터의 데이타를 외부 포트로 인가하는 3 상태 버퍼와;
    외부 포트로부터의 데이타를 입출력 레지스터에 인가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회로.
KR2019960063842U 1996-12-30 1996-12-30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KR199800506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842U KR19980050668U (ko) 1996-12-30 1996-12-30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842U KR19980050668U (ko) 1996-12-30 1996-12-30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68U true KR19980050668U (ko) 1998-10-07

Family

ID=5400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842U KR19980050668U (ko) 1996-12-30 1996-12-30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6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99A (ko) * 2019-12-09 2021-06-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가상 하드웨어를 이용한 i/o 포트 에뮬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99A (ko) * 2019-12-09 2021-06-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가상 하드웨어를 이용한 i/o 포트 에뮬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8594A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6507581B1 (en) Dynamic port mode selection for crosspoint switch
US4096565A (en) Integrated circuit data handling apparatus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odes of operation
KR890001085A (ko) 레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212591B1 (en) Configurable I/O circuitry defining virtual ports
KR910003486A (ko) 비트 순서 전환 장치
KR960004457B1 (ko) 데이터 전송장치
US6356111B1 (en) Crosspoint switch array with broadcast and implied disconnect operating modes
KR970029768A (ko) 블럭 기록 기능이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890015108A (ko) 데이타 전송 제어 시스템
KR19980050668U (ko) 입출력 제어 장치의 비트별 데이타 입출력 제어 회로
KR950008440B1 (ko) 비트 클리어 및 레지스터 초기화 기능을 갖는 반도체 기억 회로
KR0135895B1 (ko) 다수개의 아이 디 이 포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JP3909509B2 (ja) シリアルインタフェース回路
KR920020510A (ko) 멀티 포트 메모리
KR950004007A (ko) 레벨 세팅 회로를 갖는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JPS61223964A (ja) デ−タ転送装置
JP3303022B2 (ja) コントローラ集積回路
KR19980083459A (ko) 데이터버스 사이즈 조정 장치
KR100430235B1 (ko) 시스템보드와서브보드간의데이터전송제어회로
JPS63142434A (ja) 割込み制御方式
KR840001406A (ko) 디지탈 휠터 회로
KR200256141Y1 (ko) 마이크로콘트롤러의버스인터페이스회로
JPH0668055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SU11032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дан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