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165U -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165U
KR19980050165U KR2019960063336U KR19960063336U KR19980050165U KR 19980050165 U KR19980050165 U KR 19980050165U KR 2019960063336 U KR2019960063336 U KR 2019960063336U KR 19960063336 U KR19960063336 U KR 19960063336U KR 19980050165 U KR19980050165 U KR 19980050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coil
magnet
lens holder
magnetic flux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63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165U/ko
Publication of KR19980050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165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03Disposition of fixed heads, e.g. for scanning, selecting or following of tracks
    • G11B21/006Disposition of fixed heads, e.g. for scanning, selecting or following of tracks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에 권선 접착된 트랙킹 코일에서 마그네트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하여 전자력의 발생 효율을 높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렌즈 홀더(50)의 측면에 접착되는 트랙킹 코일(52)에서 마그네트(62)의 자속이 미치는 부분은 종래 사각 형상으로 권선된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마그네트(62)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은 한 번 절곡시켜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으로하여 트랙킹 코일(52)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다.
본 고안은 트랙킹 코일(52)의 전체 길이에 비해 마그네트(62)의 자속이 유효하게 미치는 부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전자력(F1)이 커져 렌즈 홀더(50)를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트랙킹 코일(52)에 인가되는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본 고안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랙킹 코일 중 마그네트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하여 트랙킹 코일에 소모되는 전력에 비례한 전자력의 발생 효율을 높임으로써, 트랙킹 코일이 접착되는 렌즈 홀더의 구동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씨디 플레이어에 설치되어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받아들여 디스크의 기록 내용을 재생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홀로그램 소자와 홀로그램 소자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디스크 면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대물렌즈는 디스크상에 레이저의 초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차의 값을 수정하면서 계속하여 광축 방향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대물렌즈를 광축 및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 액츄에이터이다.
한편 도 1은 씨디(compact disk)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digital video disk) 대물렌즈(14)를 모두 구비한 축섭동 액츄에이터로서, 요크 플레이트(20) 상에 설치된 회전축(22)에 의해 렌즈 홀더(10)가 회전 및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렌즈 홀더(10)의 상면 일측에 씨디용 대물렌즈(12)가 고정되며 이 씨디용 대물렌즈(1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축(22)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가 고정되어 있으며, 요크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2,14) 의 수직 하방에 홀로그램 소자(미도시)가 설치되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 렌즈 홀더(10)의 측면에는 트랙킹 코일(16)이 권선 접착되어 요크 플레이트(20)에 고정된 마그네트(24)의 자속에 의해 렌즈 홀더(10)를 트랙킹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2,14)에서 디스크에 형성한 초점에 대한 트랙킹 에러를 보정하고, 렌즈 홀더(10)의 내부에도 포커싱 코일(미도시)이 권선되어 요크 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마그네트(미도시)의 자속에 의해 렌즈 홀더(10)를 광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포커싱 에러를 보정한다.
한편, 상기의 트랙킹 코일(16)은 렌즈 홀더(1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접착되어,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2)가 홀로그램 소자의 광 경로에 위치할 때 렌즈 홀더(10)의 양측 한 개씩의 트랙킹 코일(16)이 마그네트(24)의 정면에 위치하여 마그네트(24)의 자속에 의해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고,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가 홀로그램 소자의 광 경로에 위치할 때에는 렌즈 홀더(10)의 양측에 있는 다른 한 개씩의 트랙킹 코일(16)이 마그네트(24)의 정면에 위치하여 마그네트(24)의 자속에 의해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트랙킹 코일(16)이 마그네트(24)의 자속에 의해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는 작용을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트랙킹 코일(16)은 전류(I)의 방향이 같도록하여 사각 형상으로 반복 권선되어 렌즈 홀더(10)의 측면에 접착되는데, 요크 플레이트(20)에 고정된 마그네트(24)에서 나온 자속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킹 코일(16)의 빗금친 부분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전류(I)가 상측으로 향하는 부분에서만 전자력(F1)이 발생하여 렌즈 홀더(10)를 좌측으로 구동시키고 전류(I)의 방향이 바뀌면 우측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류(I)가 측면으로 향하는 부분에서도 전자력(F2,F3)이 발생하지만 전류(I)의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상쇄되어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지 못한다.
한편 트랙킹 코일(16)의 전체적인 전자력은 전체 트랙킹 코일(16)의 길이 중 자속이 미치는 부분의 길이에 비례하는데, 트랙킹 코일(16)이 사각 형상으로 권선된 경우에는 마그네트(24)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전자력이 약하게 발생하므로,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는 힘이 약하여 렌즈 홀더(10)의 구동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에 권선 접착된 트랙킹 코일에서 마그네트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하여 전자력의 발생 효율을 높임으로써, 렌즈 홀더의 구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요크 플레이트에 고정된 마그네트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삼각 형상으로 권선한 트랙킹 코일을 렌즈 홀더의 측면에 접착시킴으로써 달성되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섭동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트랙킹 코일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킹 코일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킹 코일이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렌즈 홀더 52 : 트랙킹 코일
60 : 요크 플레이트 62 : 마그네트
64 : 회전축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에 대한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의 구성을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렌즈 홀더(50)의 측면에 접착되는 트랙킹 코일(52)은 마그네트(62)의 자속이 미치는 부분은 종래 사각 형상으로 권선된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마그네트(62)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은 한 번 절곡시켜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을 갖도록함으로써 트랙킹 코일(52)의 길이가 짧아지게 한다. 도면의 트랙킹 코일(52) 중 비금친 부분은 마그네트(62)의 자속이 유효하게 미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인데, 실제 마그네트(62)의 면적보다는 적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권선된 트랙킹 코일(52)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5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대칭되도록 접착한다.
상기의 트랙킹 코일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렌즈 홀더(5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66)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8)에서 발생한 트랙킹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50)를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트랙킹 코일(52)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류(I)는 트랙킹 코일(52)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트랙킹 코일(52)을 따라 돌게 되는데, 이 때 마그네트(62)의 자속이 트랙킹 코일(52)과 직교하게 진행하므로 트랙킹 코일(52)에서는 전자력이 발생된다.
트랙킹 코일(52)중 도면에서 좌측에 도시되어 수직으로 전류(I)가 흐르는 부분에서는 마그네트(62)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F1)이 발생하여 트랙킹 코일(5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트랙킹 코일(52)이 권선된 렌즈 홀더(50)가 회전축(64)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전류(I)의 방향으로 바꾸면 전자력(F1)이 반대로 발생하여 렌즈 홀더(50)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트랙킹 코일(52) 중 상측과 하측으로 발생되는 전자력(F2,F3)은 그 힘이 서로 상쇄되어 트랙킹 코일(52)을 이동시키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 트랙킹 코일(52)에서 발생하는 전자력(F1)의 크기는 트랙킹 코일(52)의 전체 길이에서 마그네트(62)의 자속이 유효하게 미치는 부분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트랙킹 코일(52)이 삼각 형상으로 권선될 경우에는 전체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전자력(F1)은 커지게 되어 렌즈 홀더(5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요크 플레이트(60)에 고정된 마그네트(62)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삼각 형상으로 권선된 트랙킹 코일(52)을 렌즈 홀더(50)에 접착시킨 것으로서, 트랙킹 코일(52)의 전체 길이에 비해 마그네트(62)의 자속이 유효하게 미치는 부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전자력(F1)이 커져 렌즈 홀더(50)를 트랙킹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트랙킹 코일(52)에 인가되는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50)에 접착되어 마그네트(62)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트랙킹 코일(52)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62)의 자속이 미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삼각 형상으로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KR2019960063336U 1996-12-30 1996-12-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KR19980050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336U KR19980050165U (ko) 1996-12-30 1996-12-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336U KR19980050165U (ko) 1996-12-30 1996-12-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165U true KR19980050165U (ko) 1998-10-07

Family

ID=5400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336U KR19980050165U (ko) 1996-12-30 1996-12-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1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5266A1 (en) * 2001-06-29 2003-01-16 Gi-Ju An Method of imposing gambling game fee adding up to adsl service charge
KR100712330B1 (ko) * 2000-07-20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사각을 갖는 트랙킹 코일이 구비된 광픽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30B1 (ko) * 2000-07-20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사각을 갖는 트랙킹 코일이 구비된 광픽업
WO2003005266A1 (en) * 2001-06-29 2003-01-16 Gi-Ju An Method of imposing gambling game fee adding up to adsl service char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020B1 (ko) 광픽업의 렌즈홀더 조정장치
US5136565A (en) Optical device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KR19980050165U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KR100486279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그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3331443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ヘッド
KR10028732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구조
KR100265923B1 (ko)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KR100281765B1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88419B1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144849Y1 (ko) 축섭동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코일 조립구조
KR1998005796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구조
KR100291752B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구조
KR0178596B1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235189Y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보빈어셈블리구조
JPS62285261A (ja) 漏れ磁界補正装置
JP3365580B2 (ja) 光ピツクアツプ
KR19990020244U (ko)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0011412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学装置
JPH11185266A (ja) 2軸アクチュエータ、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825536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0076673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及び光磁気記録媒体の記録再生システム
JPH1020826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WO2011013204A1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H1116179A (ja) 光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