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244U -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244U
KR19990020244U KR2019970033696U KR19970033696U KR19990020244U KR 19990020244 U KR19990020244 U KR 19990020244U KR 2019970033696 U KR2019970033696 U KR 2019970033696U KR 19970033696 U KR19970033696 U KR 19970033696U KR 19990020244 U KR19990020244 U KR 199900202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il
actuator
magnetic flux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3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244U/ko
Publication of KR19990020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244U/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에 자속을 제공하는 마그네트의 자속 이용효율을 높여 마그네트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전체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의 외측의 요크 플레이트(10)에 외측 요크(14)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18)를 고정하고, 상기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의 내측의 요크 플레이트(10)에 내측 요크(12)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18)와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 2 마그네트(19)를 고정한 것으로,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의 자속이 동일 방향으로 흐르므로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증가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의 크기를 축소하여도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19)의 크기 및 전체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축소하여 소형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하는 씨디롬 등의 씨디플레이어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본 고안은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에 자속을 제공하는 마그네크를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의 양측에 배치하여 자속의 이용효율을 높임으로써, 각 마그네트의 크기를 축소하여 전체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광픽업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홀로그램 소자에서 대물렌즈를 통하여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광축 방향의 에러나 래디얼 방향의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대물렌즈를 래디얼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크의 트랙을 찾고, 또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광 초점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구동방식의 액츄에이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이 액츄에이터는 대물렌즈(142)를 고정시킨 렌즈 홀더(140)를 서스펜션 와이어(136)로 요크 플레이트(11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시킨 형태로 되어 있는데, 렌즈 홀더(140)의 중심에 대물렌즈(142)를 결합시키고, 이 렌즈 홀더(140)의 둘레에 포커스 코일(144)을 권선한 다음, 그 위에 미리 사각형상으로 권선된 트래킹 코일(146)을 접착시켰다. 그리고 이 렌즈 홀더(140)의 양측에 코일 피씨비(148)를 고정하여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스 코일(144)을 접속시켰다.
그리고 상기 요크 플레이트(110)에는 대칭되는 한 쌍의 외측 요크(114)를 형성하고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스 코일(144)에 자속을 가하여 전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118)를 접착하여 고정하며, 이 외측 요크(114)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내측 요크(112)를 요크 플레이트(110)에서 상향 절곡 형성하여 마그네트(118)의 자속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마그네트(118)의 자속이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스 코일(144)을 수평으로 강하게 지나 내측 요크(112) 및 요크 플레이트(110)의 평면을 지나 다시 마그네트(118)로 들어가는 자기폐쇄회로를 형성하였다.
또, 상기 요크 플레이트(1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요크(116)를 형성하여 겔홀더(120) 및 서스펜션 피씨비(122)를 스크류로 고정하고, 서스펜션 와이어(136)의 일단을 렌즈 홀더(140)에 접착된 코일 피씨비(148)에 접속하고 타단을 서스펜션 피씨비(122)에 접속시킴으로써, 렌즈 홀더(140)가 이 서스펜션 와이어(136)에 의해 부상되어 설치되게 하고, 신호처리부로부터 서스펜션 피씨비(122)에 인가되는 전류가 서스펜션 와이어(136)를 통해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스 코일(144)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또한 서스펜션 와이어(130)는 겔홀더(120)의 내부를 지나게 하고, 이 겔홀더(120)의 내부에 점성이 강한 댐핑겔(121)을 주입하여 서스펜션 와이어(136)의 부공진이 댐핑겔(121)에 의해 신속하게 감소되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구조를 갖는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외측 요크(114)에 고정된 마그네트(118)에서 발생한 자속은 중력장의 영향을 받으므로, 자속의 진행 방향이 급속히 낙하되어 내측 요크(112)에 유도되는 자속 중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스 코일(144)에 유효한 영향력을 미쳐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속은 대폭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도 2에 (A)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으며, 종래에는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스 코일(144)을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자속이 내측 요크(112)에 도달되게 하기 위하여 마그네트(118)의 두께 및 크기를 충분히 크게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유로 마그네트(118)의 폭과 두께 및 높이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전체 크기를 일정 이하로 소형화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 크기 이하의 소형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씨디롬(특히 높이가 엄격히 규제됨) 등의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상기와 같은 와이어 구동방식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에 자속을 제공하는 마그네트의 자속 이용효율을 높여 마그네트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전체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소형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요하는 씨디롬 등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및 종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거리에 따른 자속의 세기를 도시한 그래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요크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요크 플레이트 12 : 내측 요크
14 : 외측 요크 16 : 제 2 요크
18 : 제 1 마그네트 19 : 제 2 마그네트
20 : 겔홀더 21 : 댐핑겔
22 : 서스펜션 피씨비 30 : 서스펜션 와이어
40 : 렌즈 홀더 42 : 대물렌즈
44 : 포커스 코일 46 : 트래킹 코일
48 : 코일 피씨비
본 고안은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에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을 고정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서스펜션 와이어로 요크 플레이트에 지지시킨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의 외측의 요크 플레이트에 외측 요크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를 고정하고, 상기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의 내측의 요크 플레이트에 내측 요크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와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 2 마그네트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제 1 마그네트의 자속 및 제 2 마그네트의 자속을 이용하여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을 구동시키므로, 소형의 마그네트로도 강한 자속의 흐름을 발생시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 및 이 마그네트를 사용한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소형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하는 씨디롬 등의 디스크 플레이에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대한 양호한 실시 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한다.
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픽업 액츄에이터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구동방식의 액츄에이터로서, 대물렌즈(42)를 고정시킨 렌즈 홀더(40)를 서스펜션 와이어(30)로 요크 플레이트(1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시킨 형태로 되어 있는데, 렌즈 홀더(40)의 중심에 대물렌즈(42)를 결합시키고, 이 렌즈 홀더(40)의 둘레에 포커스 코일(44)을 권선한 다음, 그 위에 미리 사각형상으로 권선된 트래킹 코일(46)을 접착시킨다. 그리고 이 렌즈 홀더(40)의 양측에 코일 피씨비(48)를 고정하여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을 접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요크 플레이트(10)에는 대칭되는 한 쌍의 외측 요크(14)를 형성하고,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 자속을 가하여 전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마그네트(18)를 접착하여 고정한다. 또 상기 외측 요크(14)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에 대칭되는 한 쌍의 내측 요크(12)를 요크 플레이트(10)에서 상향 절곡 형성하고, 이 내측 요크(12)에 제 1 마그네트(18)와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는 제 2 마그네트(19)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제 1 마그네트(18)의 자속과 제 2 마그네트(19)의 자속의 방향이 일치하여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을 수평으로 지나는 자속의 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은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의 크기를 축소하여도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19)의 크기 및 전체 액츄에이터의 크기는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는 씨디롬 등의 씨디플레이어에서 가장 중요한 높이의 규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요크 플레이트(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요크(16)를 형성하여 겔홀더(20) 및 서스펜션 피씨비(22)를 스크류로 고정하고, 서스펜션 와이어(36)의 일단을 렌즈 홀더(40)에 접착된 코일 피씨비(48)에 접속하고 타단을 서스펜션 피씨비(22)에 접속시킴으로써, 렌즈 홀더(40)가 이 서스펜션 와이어(36)에 의해 부상되어 설치되게 하고, 신호처리부로부터 서스펜션 피씨비(22)에 인가되는 전류가 서스펜션 와이어(36)를 통해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또한 서스펜션 와이어(34)는 겔홀더(20)의 내부를 지나게 하고, 이 겔홀더(20)의 내부에 점성이 강한 댐핑겔(21)을 주입하여 서스펜션 와이어(36)의 부공진이 댐핑겔(21)에 의해 신속하게 감소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실제 사용중에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의 자속이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여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전자력이 발생된다. 이때 트래킹 코일(46)은 대물렌즈(42)가 고정된 렌즈 홀더(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포커스 코일(44)은 렌즈 홀더(4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물렌즈(42)에서 디스크에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대한 에러를 보정한다.
이 때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가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고 있으므로, 양측의 자속이 동일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른 자속의 변화는 도 2의 (B)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을 지나는 자속은 가까운 거리에서나 먼거리에서 거의 동일한 수평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외측 요크(14)에 고정된 제 1 마그네트(18) 측이나, 내측 요크(12)에 고정된 제 2 마그네트(19) 측에서 거의 동일한 높이로 수평으로 지나게 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먼 거리에서는 종래의 (A) 그래프 보다 (B) 그래프의 자속의 세기가 크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자속이 급속히 낙하하여 먼거리에서는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효율이 적었던 반면, 본 고안에서는 크기가 작은 마그네트(18,19)를 사용하여도 양측의 자속이 모두 거의 유사한 높이가 됨에 따라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18)의 폭과 두께 및 높이와 액츄에이터 전체를 줄인 상태로 양호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일정 크기 이하의 두께로 제조된 소형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씨디롬 등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의 외측의 요크 플레이트(10)에 외측 요크(14)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18)를 고정하고, 상기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의 내측의 요크 플레이트(10)에 내측 요크(12)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18)와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 2 마그네트(19)를 고정한 것으로,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의 자속이 동일 방향으로 흐르므로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증가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1 마그네트(18) 및 제 2 마그네트(19)의 크기를 축소하여도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19)의 크기 및 전체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축소하여 소형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하는 씨디롬 등의 씨디플레이어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물렌즈(42)를 고정한 렌즈 홀더(40)에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을 고정하고, 상기 렌즈 홀더(40)를 서스펜션 와이어(30)로 요크 플레이트(10)에 지지시킨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의 외측의 요크 플레이트(10)에 외측 요크(14)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18)를 고정하고, 상기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스 코일(44)의 내측의 요크 플레이트(10)에 내측 요크(12)를 형성하여 제 1 마그네트(18)와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 2 마그네트(19)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19970033696U 1997-11-25 1997-11-25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202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696U KR19990020244U (ko) 1997-11-25 1997-11-25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696U KR19990020244U (ko) 1997-11-25 1997-11-25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44U true KR19990020244U (ko) 1999-06-15

Family

ID=6967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696U KR19990020244U (ko) 1997-11-25 1997-11-25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2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17B1 (ko) * 2002-07-06 200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17B1 (ko) * 2002-07-06 200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020B1 (ko) 광픽업의 렌즈홀더 조정장치
KR100378134B1 (ko) 대물렌즈구동장치
JPH08212573A (ja)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0153766B1 (ko) 광픽업장치
JP200001140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装置
KR19990020244U (ko)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8008618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US6421191B1 (en) Apparatus for driving an objective lens
KR10028732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구조
KR100288421B1 (ko)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644603B1 (ko) 광픽업 조립체
JP2624663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291748B1 (ko) 트래킹효율을높인광픽업액츄에이터
KR0181816B1 (ko) 단순구조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81813B1 (ko) 구동력 중심을 보정한 액츄에이터
KR100288982B1 (ko)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347981Y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요크구조
KR19990041884A (ko) 피에조 세라믹을 이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JP3404729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KR200159904Y1 (ko) 액츄에이터 픽업 커버의 자속 인도 구조
KR0162575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용 광픽업엑츄에이터
KR100727661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20000013728U (ko)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60726B1 (ko) 픽업용 액튜에이터
KR19980086187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