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728U -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728U
KR20000013728U KR2019980026953U KR19980026953U KR20000013728U KR 20000013728 U KR20000013728 U KR 20000013728U KR 2019980026953 U KR2019980026953 U KR 2019980026953U KR 19980026953 U KR19980026953 U KR 19980026953U KR 20000013728 U KR20000013728 U KR 200000137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il
fixed
magnetic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6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728U/ko
Publication of KR20000013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728U/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트의 전후 방향에서 자속을 모두 활용하여 자기 효율을 높임에 따라 단일 마그네트만으로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마그네트의 수를 감소시키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요크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그네트(18)를 한 쌍의 고정편(14)의 일면에 고정하고, 마그네트(18)의 전방의 요크(10)에 자기 유도편(12)을, 마그네트(18)의 후방의 렌즈 홀더(40)에 자성체(50)를 고정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마그네트(18)의 일방향으로부터 나와 전방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을 지나는 자속은 자기 유도편(12)을 통해, 마그네트(18)로부터 나와 측방으로 나가는 자속은 자성체(50)를 통해 각각 마그네트(18)로 귀환됨에 따라, 마그네트(18)의 전후에서 자속을 모두 활용하여 하나의 마그네트(18)만으로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켜 렌즈 홀더(40)를 구동시킴으로써, 단일 마그네트(18)만을 사용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마그네트(18)가 고정되는 요크(10)의 부피를 줄인다.

Description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본 고안은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그네트의 전후 방향에서 자속을 모두 활용하여 자기 효율을 높임에 따라 단일 마그네트만으로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마그네트의 수를 감소시키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요크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홀로그램 소자에서 대물렌즈를 통하여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형성한 레이저 빔의 포커스에 광축 방향의 에러나 래디얼 방향의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대물렌즈를 래디얼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크의 트랙을 찾고, 또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커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빔의 포커스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구동방식의 액츄에이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이 액츄에이터는 대물렌즈(142)를 고정시킨 렌즈 홀더(140)를 서스펜션 와이어(130)로 요크(11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시킨 형태로 되어 있는데, 렌즈 홀더(140)의 중심에 대물렌즈(142)를 결합시키고, 이 렌즈 홀더(140)의 둘레에 포커싱 코일(144)을 권선한 다음, 그 위에 미리 사각형상으로 권선된 트래킹 코일(146)을 접착시켰다. 그리고 이 렌즈 홀더(140)의 양측에 코일 피씨비(148)를 고정하여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싱 코일(144)을 접속시켰다.
그리고 요크(110)에는 대칭되는 한 쌍의 외측 절곡편(114)을 형성하고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싱 코일(144)에 자속을 가하여 전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118)를 접착하여 고정하였다. 또 외측 절곡편(114)의 내측에 대칭되는 한 쌍의 내측 절곡편(112)을 요크(110)에서 상향 절곡 형성하여 마그네트(118)의 자속의 흐름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마그네트(118)의 자속이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싱 코일(144)을 수평으로 강하게 지나 내측 절곡편(112) 및 요크(110)의 평면을 지나 다시 마그네트(118)로 들어가는 자기폐쇄회로가 형성되었다.
또, 요크(1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지지대(116)를 형성하여 서스펜션 피씨비(122)를 스크류(124)로 고정하고, 서스펜션 와이어(130)의 일단을 렌즈 홀더(140)에 접착된 코일 피씨비(148)에 접속하고 타단을 서스펜션 피씨비(122)에 접속시켰다. 따라서 렌즈 홀더(140)가 서스펜션 와이어(130)에 의해 부상됨과 동시에, 신호처리부로부터 서스펜션 피씨비(122)에 인가되는 전류가 서스펜션 와이어(130)를 통해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싱 코일(144)에 전달되게 하였다.
한편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와이어(130)의 부공진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핑구조로서, 종래에는 서스펜션 피씨비(122)와 지지대(116)의 사이에 두 개의 겔홀더(120)를 일체로 연결하여 중심을 함께 고정하였다. 그리고 각각 2개씩의 서스펜션 와이어(130)가 각각의 겔홀더(120)의 내부를 지나게 하고, 이 겔홀더(120)의 내부에 점성이 강한 실리콘겔(121)을 주입함으로써, 서스펜션 와이어(130)의 부공진을 실리콘겔(121)의 점성력으로 신속하게 감소시켰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는, 마그네트(118)의 전방에 위치되는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싱 코일(144)에서 발생되는 구동력만을 사용하여 렌즈 홀더(140)를 구동시켰으므로, 트래킹 코일(146) 및 포커싱 코일(144)에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양측에 두 개의 마그네트(118)를 고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충분한 구동력을 얻기 위하여 두 개의 마그네트(118)를 사용하였으므로, 두 개의 마그네트(118)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요크(110)의 부피가 커지고, 두 개의 마그네트(118)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그네트의 전후 방향에서 자속을 모두 활용하여 자기 효율을 높임에 따라 단일 마그네트만으로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마그네트의 수를 감소시키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요크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요크 12: 자기 유도편
14: 고정편 16: 지지편
18: 마그네트 20: 겔홀더
22: 서스펜션 피씨비 24: 스크류
30: 서스펜션 와이어 40: 렌즈 홀더
42: 대물렌즈 44: 포커싱 코일
46: 트래킹 코일 48: 코일 피씨비
50: 자성체 52: 요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물렌즈가 고정되고 양측에 코일 피씨비가 고정된 렌즈 홀더와, 상기 양측의 코일 피씨비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서스펜션 와이어와,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의 타단이 지지되는 서스펜션 피씨비와,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에 접촉되는 실리콘겔을 내장한 겔홀더와, 상기 서스펜션 피씨비 및 상기 겔홀더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요크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 상기 한 쌍의 고정편의 일면에 고정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렌즈 홀더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양측의 코일 피씨비에 접속되는 트래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일방향의 상기 트래킹 코일 및 상기 포커싱 코일을 지난 위치의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자기 유도편;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타 방향의 상기 트래킹 코일 및 상기 포커싱 코일을 지난 위치의 상기 렌즈 홀더에 형성되는 요홈; 및 상기 요홈에 고정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의 일방향으로부터 나와 전방의 트래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을 지나는 자속은, 자기 유도편 및 요크를 지나 고정편을 거쳐 다시 마그네트로 귀환된다. 그리고 마그네트로부터 나와 측방으로 나가는 자속은, 자성체에 유도되고 이어서 마그네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트래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을 지나 마그네트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의 전후에서 자속을 모두 활용하여 렌즈 홀더를 구동시키므로, 하나의 마그네트만으로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함에 따라 마그네트의 수를 줄이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요크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대물렌즈(42)를 고정한 렌즈 홀더(40)를 서스펜션 와이어(30)로 요크(10)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시킨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적용된다.
여기서 렌즈 홀더(40)의 양측에는 코일 피씨비(48)가 고정되고, 양측의 코일 피씨비(48)에 다수의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이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타단은 서스펜션 피씨비(22)에 접속되고, 이 서스펜션 와이어(30)에 접촉되는 실리콘겔(21)을 내장한 겔홀더(20)가 구비되며, 서스펜션 피씨비(22) 및 겔홀더(20)는 요크(10)에 형성된 지지편(16)에 스크류(24)로 동시에 고정된다.
이러한 요크(10)에는 돌출된 한 쌍의 고정편(14)이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편(14)의 일면에 마그네트(18)가 고정된다. 그리고 마그네트(18)의 전방 및 후방에서 렌즈 홀더(40)에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이 각각 고정되 양측의 코일 피씨비(48)에 접속된다.
따라서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은 서스펜션 와이어(30)을 지나 서스펜션 피씨비(22)에 접속되고, 렌즈 홀더(40)은 서스펜션 피씨비(22)에 의해 부상된다.
그리고 마그네트(18)로부터 일방향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을 지난 위치의 요크(10)에 자기폐쇄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자기 유도편(12)이 형성된다. 또 마그네트(18)로부터 타 방향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을 지난 위치의 렌즈 홀더(40)에는 요홈(52)이 형성되고, 이 요홈(52)에 자성체(50)가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서스펜션 피씨비(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의 구동전압은 서스펜션 와이어(30)를 거쳐 코일 피씨비(48)로 전달되고, 이 신호는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6)에 인가된다.
이때 마그네트(18)의 일방향으로부터 나와 전방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을 지나는 자속은, 자기 유도편(12) 및 요크(10)를 지나 고정편(14)을 거쳐 다시 마그네트(14)로 귀환된다. 그리고 마그네트(18)로부터 나와 측방으로 나가는 자속은, 자성체(50)에 유도되고 이어서 마그네트(18)의 후방에 위치하는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8)을 지나 마그네트(18)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트래킹 코일(46)은 렌즈 홀더(40)를 디스크를 기준으로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포커싱 코일(48)은 렌즈 홀더(40)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렌즈 홀더(40)에 고정된 대물렌즈(42)에서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형성한 레이저 빔의 포커스에 발생한 트래킹 에러 및 포커싱 에러를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렌즈 홀더(40)의 동작은 레이저 빔의 포커스를 조정하기 위한 광축 방향으로의 동작과, 트래킹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래디얼 방향의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광축 방향으로의 동작과 래디얼 방향으로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크(torque)가 발생하여, 렌즈 홀더(40)에 의도하지 않는 비틀림 등의 부공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겔홀더(20)에 내장된 실리콘겔(21)이 서스펜션 와이어(30)를 댐핑하여 부공진을 감쇄함으로써, 대물렌즈(42)는 안정적으로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레이저 빔의 포커스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그네트(18)를 한 쌍의 고정편(14)의 일면에 고정하고, 마그네트(18)의 전방의 요크(10)에 자기 유도편(12)을, 마그네트(18)의 후방의 렌즈 홀더(40)에 자성체(50)를 고정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마그네트(18)의 일방향으로부터 나와 전방의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을 지나는 자속은 자기 유도편(12)을 통해, 마그네트(18)로부터 나와 측방으로 나가는 자속은 자성체(50)를 통해 각각 마그네트(18)로 귀환됨에 따라, 마그네트(18)의 전후에서 자속을 모두 활용하여 하나의 마그네트(18)만으로도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켜 렌즈 홀더(40)를 구동시킴으로써, 단일 마그네트(18)만을 사용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마그네트(18)가 고정되는 요크(10)의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물렌즈(42)가 고정되고 양측에 코일 피씨비(48)가 고정된 렌즈 홀더(40)와, 상기 양측의 코일 피씨비(48)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서스펜션 와이어(30)와,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타단이 지지되는 서스펜션 피씨비(22)와,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30)에 접촉되는 실리콘겔(21)을 내장한 겔홀더(20)와, 상기 서스펜션 피씨비(22) 및 상기 겔홀더(20)를 지지하는 지지편(16)이 형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요크(10)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14);
    상기 한 쌍의 고정편(14)의 일면에 고정되는 마그네트(18);
    상기 마그네트(18)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렌즈 홀더(40)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양측의 코일 피씨비(48)에 접속되는 트래킹 코일(46) 및 포커싱 코일(44);
    상기 마그네트(18)로부터 일방향의 상기 트래킹 코일(46) 및 상기 포커싱 코일(44)을 지난 위치의 상기 요크(10)에 형성되는 자기 유도편(12);
    상기 마그네트(18)로부터 타 방향의 상기 트래킹 코일(46) 및 상기 포커싱 코일(44)을 지난 위치의 상기 렌즈 홀더(40)에 형성되는 요홈(52); 및
    상기 요홈(52)에 고정되는 자성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19980026953U 1998-12-28 1998-12-28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000137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953U KR20000013728U (ko) 1998-12-28 1998-12-28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953U KR20000013728U (ko) 1998-12-28 1998-12-28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728U true KR20000013728U (ko) 2000-07-15

Family

ID=6950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953U KR20000013728U (ko) 1998-12-28 1998-12-28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7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279B1 (ko) * 2002-11-1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그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279B1 (ko) * 2002-11-1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그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3728U (ko) 단일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8008618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88421B1 (ko)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1131232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301282B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댐핑구조
KR200347981Y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요크구조
JP3999143B2 (ja) 微小位置調整装置
KR100300379B1 (ko) 광학식픽업의엑츄에이터장치
KR100287324B1 (ko)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88982B1 (ko)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301085B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댐핑구조
KR20000012264U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10028898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100299293B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댐핑구조
KR19980075203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피씨비 접속구조
KR100291748B1 (ko) 트래킹효율을높인광픽업액츄에이터
KR20000043290A (ko) 자기작용을 이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20000012259U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실리콘겔 홀딩구조
JP4141943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25776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9990020244U (ko) 쌍방향 마그네트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80086187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00043282A (ko) 와이어 구동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40019649A (ko) 광 픽업 액추에이터
JPH08180434A (ja) 光ピックアップ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