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295U -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295U
KR19980049295U KR2019960062460U KR19960062460U KR19980049295U KR 19980049295 U KR19980049295 U KR 19980049295U KR 2019960062460 U KR2019960062460 U KR 2019960062460U KR 19960062460 U KR19960062460 U KR 19960062460U KR 19980049295 U KR19980049295 U KR 199800492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oor glass
movable plate
grip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구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2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295U/ko
Publication of KR19980049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295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초기 작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런채널(2) 사이에서 상하 운동하는 도어 글라스(1)를 파지하는 씰 스트립(5)과, 상기 씰 스트립(5)을 지지하는 그립(6)과, 상기 그립(6)을 볼트(16)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그립을 가동시키는 가동 플레이트(19)가 장착된 레귤레이터 레일(15)과,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15)을 도어 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7)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19)를 케이블(18)을 통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10)로 구성되는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19)의 배면에 상기 볼 조인트(25)가 고정되는 장방형의 고정체(30)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체(30)의 내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25)와 측벽(30a) 사이에 스프링(31)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초기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스프링에서 완충시키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케이블이 늘어났을 때 상기 스프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므로써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장치
본 고안은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초기 작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는 런채널(2) 사이에서 상하 운동하는 도어 글라스(1)를 파지하는 씰 스트립(5)과, 상기 씰 스트립(5)을 지지하는 그립(6)과, 상기 그립(6)을 볼트(16)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그립을 가동시키는 가동 플레이트(19)가 장착된 레귤레이터 레일(15)과,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15)를 도어 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7)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19)를 케이블(18)을 통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10)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18)은 상부 케이블(18a)과, 하부 케이블(18b)로 구성되며, 상기 상, 하부 케이블(18a, 18b)의 단부에는 볼 조인트(25)가 체결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19)의 배면에는 상기 볼 조인트(25)가 고정되는 고정부(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는 모터 어셈블리(10)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18)이 작동하고, 상기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19) 및 그립(6)이 상하운동하게 되어, 결국 도어 글라스(1)가 런채널(2)을 따라 승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는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 그립 및 도어 글라스가 초기 작동할 때의 충격으로 인해 상기 부품들이 손상을 입으며, 케이블의 길이가 늘어나 작동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게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초기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 가동 플레이트의 배면에 스프링이 내장된 고정체를 설치한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장치의 일예로서, 런채널 사이에서 상하 운동하는 도어 글라스를 파지하는 씰 스트립과, 상기 씰 스트립을 지지하는 그립과, 상기 그립을 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그립을 가동시키는 가동 플레이트가 장착된 레귤레이터 레일과,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을 도어 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볼 조인트가 고정되는 장방형의 고정체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와 측벽 사이에 스프링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초기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스프링에서 완충시키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케이블이 늘어났을 때 상기 스프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켜 준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동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글라스2 : 런채널
5 : 씰스트립6 : 그립
10 : 모터 어셈블리15 : 레귤레이터
16 : 볼트17 : 장착 브라켓
19 : 가동 플레이트20 : 고정부
25 : 볼 조인트30 : 고정체
31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케이블(18)은 상부 케이블(18a)과, 하부 케이블(18b)로 구성되며, 상기 상, 하부 케이블(18a, 18b)의 단부에는 볼 조인트(25)가 체결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19)의 배면에는 상기 볼 조인트(25)가 고정되는 장방형의 고정체(30)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체(30)의 내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25)와 측벽(30a) 사이에 스프링(31)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케이블 고정장치는 모터 어셈블리(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블(18)이 상하로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18)의 단부에 체결된 볼 조인트(25)와 고정체(30)의 측벽(30a)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31)에서 초기 작동시의 충격을 완충시킨다. 또한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를 장시간 사용해서 상기 케이블(18)이 늘어났을 때는 상기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18)의 장력이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초기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스프링에서 완충시키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케이블이 늘어났을 때 상기 스프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므로써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런채널(2) 사이에서 상하 운동하는 도어 글라스(1)를 파지하는 씰 스트립(5)과, 상기 씰 스트립(5)을 지지하는 그립(6)과, 상기 그립(6)을 볼트(16)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그립을 가동시키는 가동 플레이트(19)가 장착된 레귤레이터 레일(15)과, 상기 레귤레이터 레일(15)을 도어 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7)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19)를 케이블(18)을 통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10)로 구성되는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19)의 배면에 상기 볼 조인트(25)가 고정되는 장방형의 고정체(30)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체(30)의 내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25)와 측벽(30a) 사이에 스프링(31)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KR2019960062460U 1996-12-30 1996-12-30 케이블 고정장치 KR199800492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460U KR19980049295U (ko) 1996-12-30 1996-12-30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460U KR19980049295U (ko) 1996-12-30 1996-12-30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295U true KR19980049295U (ko) 1998-10-07

Family

ID=5400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460U KR19980049295U (ko) 1996-12-30 1996-12-30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2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5392A (ko) 대형 냉동고등에 사용되는 미닫이문장치
CA2410724A1 (en) Yieldable guide for a door
KR19980049295U (ko) 케이블 고정장치
NO983044L (no) Bremseinnretning for en vindusramme eller en d÷rramme
JPH11294008A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DE59501587D1 (de) Abdeckung einer Mittelpuffer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KR19980019903A (ko) 도어 그래스용 플레이트
KR100410851B1 (ko) 버스용 차광 막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0129699Y1 (ko) 자동차 도어 패널 내부의 윈도우 가이드 구조
KR100196281B1 (ko)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의 스태빌라이저 구조
KR200331220Y1 (ko) 스프링이 장착된 엘리베이터 레일 브라켓
KR0135213Y1 (ko) 자동차의 쐐기형 웨더 스트립 글라스 몰딩 장착구조
KR100569955B1 (ko) 강성 보강과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커텐 장착 구조
JP2558465Y2 (ja) 扉パネルへの端部クッション材の取り付け構造
KR0129694Y1 (ko) 자동차용 도어패널 내부의 윈도우 가이드구조
KR19990029201U (ko) 차량 승객용 위치 가변식 손잡이
KR19980029371U (ko) 밴 자동차용 패널 윈도우 체결 구조
KR100203126B1 (ko)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가이드 레일구조
KR970039143A (ko) 자동차 하니스의 누수방지구조
KR19980053703A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가이드장치
KR970035258A (ko)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 글라스의 취부 구조
JPH082864A (ja) エレベータの敷居溝清掃装置
KR19990017066U (ko) 자동차 도어의 웨더스트립 들뜸 방지 구조
HU9502414D0 (en) A chain operat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r a door
KR19980049299U (ko)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