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963U -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963U
KR19980047963U KR2019960061121U KR19960061121U KR19980047963U KR 19980047963 U KR19980047963 U KR 19980047963U KR 2019960061121 U KR2019960061121 U KR 2019960061121U KR 19960061121 U KR19960061121 U KR 19960061121U KR 19980047963 U KR19980047963 U KR 199800479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sensor
vehicle
distanc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963U/ko
Publication of KR19980047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96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35Road bumpiness, e.g. pot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돌출부나 웅덩이가 나타날 때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 경고하는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방에 부착되어 챠량 전방 일정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각 센서의 후단에 접속되며 노면이 평탄할 때 센서로 부터 상기 노면의 일정 부분까지의 거리 신호가 기억되어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측정 거리 신호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신호들이 상이할 때 돌발 상황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일단에 접속되어 돌발 상황 발생 신호가 발생할 때 동작되는 경고 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타단에 접속되어 돌발 상황 발생 신호 발생시 RPM 을 조절하는 엔진 E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돌출부나 웅덩이가 나타날 때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 경고하는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행하는 중에 자주 직면하는 문제중에는 야간 운행시 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웅덩이가 나타나거나 돌출부가 나타날 때 이를 간파하지 못하고 계속 등속도로 주행하므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주간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운전자가 운전중에는 전방을 항상 주시하면서 운전해야 하지만 옆사람과 이야기하거나 담배불을 켜는 등 순간적으로 시야를 집중시키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보통은 고속으로 주행하므로 전방 가까이에 있는 장애물로 인해서 위험이나 곤란을 당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면 상태가 불량하여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날 때 이를 차량의 센서가 감지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의 구성을 통하여 달성된다. 즉,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방에 부착되어 챠량 전방 일정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각 센서의 후단에 접속되며 노면이 평탄할 때 센서로 부터 상기 노면의 일정 부분까지의 거리 신호가 기억되어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측정 거리 신호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신호들이 상이할 때 돌발 상황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일단에 접속되어 돌발 상황 발생 신호가 발생할 때 동작되는 경고 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타단에 접속되어 돌발 상황 발생 신호 발생시 RPM 을 조절하는 엔진 E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 장치는 경고음 발생 장치 또는 경고등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센서가 부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각 센서가 전방의 거리별로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센서 입력을 처리하는 노면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S2,S3: 센서 L1,L2,L3: 기준 거리 신호
L1',L2',L3': 측정 거리 신호 10: 제어부
20: 경고 장치 30: 엔지 ECU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센서가 부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센서(S)는 차량의 전방 범퍼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피사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하므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한다. 센서는 범퍼의 높이 방향으로 세 개(S1,S2,S3)가 부착되어 있어서 각각의 센서는 차량으로부터의 전방 거리별로 물체를 감지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각 센서가 전방의 거리별로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범퍼의 최상단에 부착된 센서(S3)는 차량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물체를 감지하며, 최하단에 부착된 센서(S1)는 차량으로 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감지한다.
본 고안의 센서가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센서가 노면이 고른 상태에서 거리를 측정하면 상부에 위치한 센서부터 그 측정 거리 신호는 L1, L2 및 L3 가 된다. 이 거리는 본 고안의 제어부(10)에 기억되어 있다. 그후 차량이 진행되면서 계속해서 입력되는 거리 신호(L1',L2',L3')를 상기 기억된 거리 신호(L1,L2,L3)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신호의 차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면 이는 차량 전방에 웅덩이나 돌출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돌발 상황 발생 신호가 경고 장치(20) 말하자면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신호는 엔진의 ECU(30)에 전달되어 RPM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이므로 바퀴가 웅덩이에 빠지거나 돌출물에 충돌하는 위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센서 입력을 처리하는 노면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각각의 센서(S1,S2,S3)로 부터 입력된 측정 거리 신호(L1',L2',L3')는 제어부(10)에서 기준 거리 신호(L1,L2,L3)와 비교된다. 비교 결과 각각의 센서에서 입력된 거리 신호가 기준 신호와 같거나 극히 유사하면 노면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센서에서 감지한 거리 신호가 순차적으로 변화가 발생하면, 즉, 차량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S1)에서 먼저 거리의 이상을 감지하고 이어서 센서(S2) 그리고 센서(S3)에서 기준 신호와 다른 거리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전방의 노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하여 제어부(10)는 경고 장치(20)로서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경고등 대신에 경고음을 발생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게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돌발 상황 발생 신호를 발생하여 엔진 ECU(30)로 전달한다. 그리하여 상기 엔진 ECU에서는 RPM을 조절하므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속도를 급격히 줄이게 된다. 이와같이 하므로 운전자는 야간 주행이나 다른 승객과 대화하므로 전방 노면에 웅덩이나 돌출물이 있어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을 실시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자동차의 범퍼에 전방의 노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다수개 설치하여 노면이 평탄하게 고를때의 센서로 부터 노면까지의 거리 신호를 기억시켜 놓고 차량 주행중 입력되는 거리 신호를 비교하게 된다. 비교 결과거리 신호가 현저히 그리고 거리가 먼 센서로 부터 순차적으로 변화가 생기면 노면에 웅덩이가 있거나 돌출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점등시키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게 하며 RPM을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줄여서 위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방에 부착되어 챠량 전방 일정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각 센서의 후단에 접속되며 노면이 평탄할 때 센서로 부터 상기 노면의 일정 부분까지의 거리 신호가 기억되어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측정 거리 신호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신호들이 상이할 때 돌발 상황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일단에 접속되어 돌발 상황 발생 신호가 발생할 때 동작되는 경고 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타단에 접속되어 돌발 상황 발생 신호 발생시 RPM 을 조절하는 엔진 E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장치는 경고음 발생 장치 또는 경고등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KR2019960061121U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KR199800479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121U KR19980047963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121U KR19980047963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963U true KR19980047963U (ko) 1998-09-25

Family

ID=5399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121U KR19980047963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9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62B1 (ko) * 2011-12-12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의 형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62B1 (ko) * 2011-12-12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의 형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181B2 (en) Motorcycle with device for detecting a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US5699040A (en) Vehicle collision preventing system
JP5147813B2 (ja) 連結車の安定化装置および方法
US5432509A (en) Warning apparatus for a vehicle
SE520360C2 (sv) Varningsanordning vid fordon
KR101698586B1 (ko) 하차시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JPH03263199A (ja) 車間距離表示器
GB2512897A (en) A method for reducing the risk of motor vehicle collision damage
KR200407699Y1 (ko) 졸음운전방지 및 무단 차선이탈 방지장치
KR19980047963U (ko) 자동차의 노면 감지 장치
JPH07291063A (ja) 停止物距離警報装置
JP2003194939A (ja) 障害物検知装置
JPH10166971A (ja) 車両の後側方障害物警報装置
JPH0458179A (ja) 障害物検出装置
JP3411369B2 (ja) 車両の障害物検知装置および安全装置
KR19990021232U (ko) 차량의 차선변경 경고장치
KR100204775B1 (ko) 자동차 후진시 장애물 경고장치
JPH10166973A (ja) 車両の後側方警報装置
JPH05196720A (ja) 車間距離検知・警報装置におけるレーザレーダの光軸調整装置
KR100210918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0150555B1 (ko) 차선변경시 차량충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213800A (ja) 車間距離検知・警報装置
KR0146579B1 (ko) 차속감응형 경고장치
KR0145812B1 (ko) 자동차의 충돌방지장치
KR20160038473A (ko) 차량의 지면 단차 판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