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849U - 졸음운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졸음운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849U
KR19980047849U KR2019960061007U KR19960061007U KR19980047849U KR 19980047849 U KR19980047849 U KR 19980047849U KR 2019960061007 U KR2019960061007 U KR 2019960061007U KR 19960061007 U KR19960061007 U KR 19960061007U KR 19980047849 U KR19980047849 U KR 199800478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teering wheel
torque force
drowsiness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영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1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849U/ko
Publication of KR19980047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849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졸음운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륜(10)과 연설된 차축에 설치된 스티어링휠(20)의 조향축(21)상에 토크센서(30)를 설치하고 여기서 검출된 토크력을 마이컴(40)에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졸음운전을 판단하며, 상기 마이컴(40)에서 졸음운전으로 판단될 경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경보장치(50) 및 제동장치(60)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 스티어링휠을 잡는 악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스티어링휠에 전달되는 토크력이 변화함으로써 이를 통해 졸음운전을 판단하고 경보함과 동시에 차량을 제동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졸음운전 방지장치
본 고안은 졸음운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륜과 핸들간의 토크력을 감지하여 졸음운전을 판단하고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졸음운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졸음운전은 신체의 피곤함과 더불어 탑승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증가, 외부오염공기의 유입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일정 주행시간 간격으로 휴식을 권하고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주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졸음운전 퇴치를 목적으로 다양한 고안이 제시된 바 있다.
일예로 종래의 졸음운전 방지시스템은 신체의 변화를 통해 졸음운전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하거나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통해 감지하는 방법도 제시된 바 있으나, 효과가 미비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차륜과 스티어링휠간에 걸리는 토크력이 운전자의 신체를 통해 변화되는 변화량을 통해 졸음운전을 감지한 후 경보음을 송출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졸음운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졸음운전 방지장치는 차륜과 스티어링휠 사이의 토크력을 검출하는 토크력 검출수단과, 상기 토크력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신호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으로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서 졸음운전으로 판단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경보수단 및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 스티어링휠을 잡는 악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스티어링휠에 전달되는 토크력이 변화함으로써 이를 통해 졸음운전을 판단하고 경보함과 동시에 차량을 제동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졸음운전 감지수단 및 경보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륜20 : 스티어링휠
21 : 조향축30 : 토크센서
40 : 마이컴50 : 경보장치
60 : 제동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장치를 보인 구성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10)과 연설된 차축에 설치된 스티어링휠(20)의 조향축(21)상에 토크센서(30)를 설치하고 여기서 검출된 토크력을 마이컴(40)에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졸음운전을 판단하며, 상기 마이컴(40)에서 졸음운전으로 판단될 경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경보장치(50) 및 제동장치(6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 구성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은 차량이 주행할 경우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노면의 진동이 차륜(10)을 통해 스티어링휠(20)에 전달되며, 이때 운전자가 스티어링휠(20)을 잡게 될 경우 그 악력에 의해 토크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토크력 변화를 조향축(21)상에 설치된 토크센서(30)를 통해 마이컴(40)에서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을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운전자가 정상적인 방법에 의해 스티어링휠(20)을 잡고 있을 경우에는 운전자 신체에 의해 토크력이 감쇄하게 되며, 마이컴(40)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게 될 경우에는 스티어링휠(20)을 잡는 악력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스티어링휠(20)에 전달되는 토크력이 정상적인 방법보다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토크력 변화를 토크센서(30)에서 검출하여 마이컴(40)에 인가하게 되며, 상기 마이컴(40)에서는 상기 토크센서(3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졸음운전으로 판단한 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장치(50)를 통해 경보음을 송출하여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제동장치(60)에 유압을 가압하여 자동으로 차량에 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졸음운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륜과 스티어링휠 사이에 전달되는 토크력의 변화 즉, 졸음운전시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방법보다 토크력이 증대되는 것을 검출하여 졸음운전으로 판단하고 경보음 송출 및 차량을 제동시키도록 함으로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졸음운전 방지장치는 차륜과 스티어링휠 사이의 토크력을 검출하는 토크력 검출수단과, 상기 토크력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신호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으로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서 졸음운전으로 판단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경보수단 및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 방지장치.
KR2019960061007U 1996-12-28 1996-12-28 졸음운전 방지장치 KR199800478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007U KR19980047849U (ko) 1996-12-28 1996-12-28 졸음운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007U KR19980047849U (ko) 1996-12-28 1996-12-28 졸음운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849U true KR19980047849U (ko) 1998-09-25

Family

ID=5399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007U KR19980047849U (ko) 1996-12-28 1996-12-28 졸음운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8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634A (ko) * 2002-12-04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졸음운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634A (ko) * 2002-12-04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졸음운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176A (en) Safety system for vehicles
EP0657314B2 (en) Apparatus for alarming tyre deflation
KR100630594B1 (ko) 타이어 상태 감시 장치
KR19980047849U (ko) 졸음운전 방지장치
KR100751256B1 (ko) 차량 가속도센서의 고장검출장치
EP1256502A3 (de) Unfall-/Brandschutz bei Fahrzeugen
KR100266820B1 (ko) 자동차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KR100283321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100269956B1 (ko) 차량용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0130373Y1 (ko)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73880A (ko) 자동차 선회시 안전 운행 제어 장치
KR19980078362A (ko) 자동차 난폭운전 경고 방법 및 장치
KR100666139B1 (ko) 중압 어큐뮬레이터의 고장 경고장치
KR19990062072A (ko) 타이어 펑크시 안전 장치
KR20000006884U (ko) 차량의 위험 운전 경고 장치
JPH03139465A (ja) 路面摩擦係数警報装置
KR970034022A (ko) 타이어 스탠딩 웨이브현상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970033982A (ko) 차륜속 판단에 의한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저하 경보시스템
KR19990019572A (ko) 차량의 타이어공기압 경보방법
KR0175562B1 (ko) 자동차 안전주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82796A (ko) 자동차의 타이어 밸런스 및 휠 얼라인먼트 이상 경고장치
KR19980078481A (ko) 졸음 운전 방지방법 및 장치
KR19990002087A (ko) 졸음 운전 방지방법 및 장치
KR970040625A (ko) 자동차의 노면 마찰계수 제어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