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175U -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175U
KR19980047175U KR2019960060331U KR19960060331U KR19980047175U KR 19980047175 U KR19980047175 U KR 19980047175U KR 2019960060331 U KR2019960060331 U KR 2019960060331U KR 19960060331 U KR19960060331 U KR 19960060331U KR 19980047175 U KR19980047175 U KR 199800471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switch
lighting device
flasher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0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175U/ko
Publication of KR19980047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17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스위치의 누름조작시에 경음기와 전조등의 하향등 및 상향등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선택스위치의 조작으로 경음기만 작동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터리전류를 인가하는 혼스위치의 후단에는 경적을 발생하는 경음기와 기능을 전환시키기 위한 선택스위치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선택스위치의 후단에는 배터리전류를 소정주기로 단속하여 출력하는 플래셔의 입력단과 전조등의 하향등이 병렬접속되고, 상기 플래셔의 출력단에는 전조등의 상향등이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혼스위치의 누름조작시에 경음기와 전조등의 하향등 및 상향등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선택스위치의 조작으로 경음기만 작동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행중에 운전자는 전방을 향해 경고신호를 할 때가 있는데, 이는 주로 혼스위치를 누름조작하여 경음기에서 전방을 향해 지향적인 경고음을 발하도록 하거나 운전석의 디머스위치를 사용하여 전방을 향해 전조등의 상향등을 조사함으로써 상대차량의 운전자나 행인을 경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사이드윈도우를 닫고 주행하게 되며 원거리에 있는 차량에 대하여 경적을 전달하여야 하므로 더욱 강한 경고신호를 보내야 하는 바,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혼스위치와 디머스위치를 조작하여 경적과 경고광이 동시에 발생되도록 하였다. 이때에 운전자는 상기 두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두 팔을 모두 사용함에 따라 조향핸들을 조향할 수가 없게 되므로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운전자가 혼스위치를 누름조작하면 차전방에 설치되는 경음기의 경적이 발생됨과 동시에 전조등의 하향등이 점등되고 상향등이 점멸되도록 하여 상대차량의 운전자의 경각심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선택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서 경음기만 작동되도록 전환할 수 있는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혼스위치 12.경음기
21.선택스위치 22.플래셔
31.하향등 32.상향등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배터리전류를 인가하는 혼스위치의 후단에는 경음기와 선택스위치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선택스위치의 후단에는 배터리전류를 소정주기로 단속하여 출력하는 플래셔의 입력단과 전조등의 하향등이 병렬접속되고, 상기 플래셔의 출력단에는 전조등의 상향등이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회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배터리전류를 인가하는 혼스위치(11)의 후단에 경적을 발생하는 경음기(12)가 접속되어 혼스위치(11)를 누름조작할 때 배터리전류가 경음기(12)로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어지는 경음기회로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경음기(12)와 병렬로 선택스위치(21)가 접속되고, 상기 선택스위치(21)의 후단에는 배터리전류(B+)를 소정주기로 단속하여 출력하는 플래셔(22)의 입력단과 전조등의 하향등(31)이 병렬접속되고, 상기 플래셔(22)의 출력단에는 전조등의 상향등(32)이 접속되어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선택스위치(21)는 기능을 전환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위치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S1는 상향등(32)과 하향등(31)의 점등을 운전자가 수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조향핸들의 콤비네이션스위치에 내장되는 디머스위치로, 이들은 통상적인 전조등 점등회로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스위치(21)를 스위치온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혼스위치(11)를 누르면, 배터리전류(B+)는 상기 혼스위치(11)를 통해 경음기(12)로 흐르게 되어 차량전방을 향해 경적을 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혼스위치(11)를 통해 상기 경음기(12)로 흐르는 배터리전류(B+)는 분기되어 선택스위치(21)를 통해 전조등의 하향등(31)으로 흘러 하향등(31)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플래셔(22)의 입력단에 인가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단속되어 출력되므로, 플래셔(22)의 출력단에 접속된 상향등(32)은 일정주기로 점멸하게 되어 상대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광을 보내게 된다.
한편, 선택스위치(21)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혼스위치(11)를 누르면, 경음기(12)로 배터리전류(B+)가 흘러 경적이 발생되도록 하지만, 상기 하향등(31)과 상기 플래셔(22)로 흐르는 배터리전류(B+)는 차단되므로 전조등의 상향등(32) 및 하향등(31)은 점등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원거리의 차량에 대해 경고신호를 보내는 일이 많고 사이드윈도우를 닫은 채로 주행하게 되는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선택스위치(21)를 스위치온한 상태로 운행하는 것이 안전운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가 선택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혼스위치를 누름조작하면 경음기에서 경적이 발생됨과 동시에 전조등의 하향등이 점등되고 상향등이 점멸되므로, 상대차량의 운전자나 행인에게 경적과 경고광을 동시에 보내도록 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운전자의 두팔이 모두 사용되지 않도록 하여 사고우려를 해결하는 한편,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전류(B+)를 인가하는 혼스위치(11)의 후단에는 경음기(12)와 선택스위치(21)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선택스위치(21)의 후단에는 배터리전류(B+)를 소정주기로 단속하여 출력하는 플래셔(22)의 입력단과 전조등의 하향등(31)이 병렬접속되고, 상기 플래셔(22)의 출력단에는 전조등의 상향등(32)이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KR2019960060331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KR199800471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31U KR19980047175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31U KR19980047175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175U true KR19980047175U (ko) 1998-09-25

Family

ID=5399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331U KR19980047175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1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7175U (ko)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전조등 점등장치
KR19980017687U (ko) 자동차의 경음기 연동식 상향등 조사장치
KR200277833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점등시스템
KR970006293Y1 (ko) 자동차의 점멸식 브레이크 조명장치
KR0127549Y1 (ko) 브레이크 램프 점멸장치
KR0143656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및 비상등 구동장치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0138074Y1 (ko) 차량의 비상등구동시 방향표시회로
KR200270315Y1 (ko) 차량의 전조등 비상 점멸장치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0138000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 장치
KR200291421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전환장치
KR200174431Y1 (ko) 경음기를 이용한 상향전조등 동시작동장치
KR200162181Y1 (ko)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0128188Y1 (ko) 야간 차선변경 안전장치
KR200272547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스위치 구조
KR970006402Y1 (ko) 자동차의 혼 작동시 하이빔 동시작동 장치
KR19980043152U (ko) 헤드램프 보조장치
KR980001323A (ko)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 장치
KR19990050623A (ko) 방향지시등과 비상등의 동시 사용시 구별되도록 하는 장치
KR970037622A (ko) 자동차의 주차등
KR20040053936A (ko) 자동차의 비상등과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19980018349U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19980074010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및 비상신호등 동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