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178A -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178A
KR19980046178A KR1019960064471A KR19960064471A KR19980046178A KR 19980046178 A KR19980046178 A KR 19980046178A KR 1019960064471 A KR1019960064471 A KR 1019960064471A KR 19960064471 A KR19960064471 A KR 19960064471A KR 19980046178 A KR19980046178 A KR 1998004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oil passage
solenoid
sta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경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4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178A/ko
Publication of KR1998004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178A/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터 실린더(1)와 휠 실린더(2) 사이의 브레이크 오일통로(3)의 연통상태를 절환하도록 설치된 유로단속밸브(4)와, 상기 유로단속밸브(4)의 밸브스풀(5)이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밸브스풀(5)을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6)와, 엔진이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6)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조작 스위치(7)와, 엔진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6)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비상 스위치(8)로 구성된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실린더(1)와 휠 실린더(2)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블이나 기구적인 장치가 없이 주 브레이크로 주차 브레이크의 작용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원가절감 및 중량저감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주차 브레이크를 마련하지 않고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을 겸하여 발휘하도록 하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주행중 운전자가 수시로 조작하면서 자동차의 속도 조절이나 임시 정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페달로 조작하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주차시나 장시간 정차시 사용하도록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두고 있다.
여기서, 용어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주 브레이크'라 하고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를 '주차 브레이크'라고 칭한다.
상기한 주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받는 브레이크 페달(51)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51)의 조작력으로 고압의 브레이크 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52)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52)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으로 휠의 브레이크 드럼을 잡아 브레이크 작용을 하는 휠 실린더(5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주차 브레이크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주 브레이크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 슈(54)를 케이블(55)로 당길 수 있도록 실내에 별도의 주차 브레이크 레버(56)를 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은 운전자가 운전도중에 발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51)을 조작하면 마스터 실린더(52)에서 발생된 유압이 상기 휠 실린더(53)에 작용하여 피스톤을 좌우로 벌림으로써 브레이크 슈(54)를 휠의 브레이크 드럼에 압축시켜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휠 실린더(53)에 제공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은 브레이크 슈(54)가 리턴스프링의 힘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52)로 복귀되어 다음 브레이크 조작에 대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주차시에는 상기 주차 브레이크 레버(56)를 당기면 케이블(55)이 당겨져 상기 브레이크 슈(54)가 브레이크 드럼에 압착되어 휠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주차 브레이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레버(56)와 브레이크 슈(54)를 연결하는 케이블(55) 및 각종 기구적 장치들이 별도로 요구되어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며 아울러 차량의 중량 상승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주차 브레이크의 작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아울러 종래에 비해 기구적 구성부품의 감소로 중량의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정상 주행상태의 상태도,
도 2b는 주차상태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마스터 실린더2: 휠 실린더
3: 브레이크 오일통로4: 유로절환밸브
5: 밸브스풀6: 솔레노이드
7: 조작 스위치8: 비상 스위치
12: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20: 브레이크 페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는 마스터 실린더와 휠 실린더 사이의 브레이크 오일통로의 연통상태를 절환하도록 설치된 유로단속밸브와, 상기 유로단속밸브의 밸브스풀이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밸브스풀을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를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엔진이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조작 스위치와, 엔진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비상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스터 실린더(1)와 휠 실린더(2) 사이의 브레이크 오일통로(3)의 연통상태를 절환하도록 설치된 유로단속밸브(4)와, 상기 유로단속밸브(4)의 밸브스풀(5)이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밸브스풀(5)을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6)와, 엔진이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6)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조작 스위치(7)와, 엔진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6)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비상 스위치(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팽창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9)으로 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스위치(7)는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12)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조작 스위치(7)의 조작효과는 상기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12)가 온(on)상태에 있을 때에만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스위치는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가 오프(off)상태일 때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를 바이패스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작동중에는 상기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12)가 온(on)상태에 있으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스위치(7)를 온(on)상태로 하면 상기 솔레노이드(6)로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유로단속밸브(4)의 밸브스풀(5)은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이동되어 마스터 실린더(1)에서 발생되는 유압은 그대로 휠 실린더(2)로 전달되고, 휠 실린더(2)로부터의 유압은 마스터 실린더(1)로 자유롭게 복귀될 수 있어 보통의 주 브레이크 조작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 작동중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려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을 밟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스위치(7)를 오프(off)상태로 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조작 스위치(7)가 오프(off)되면 솔레노이드(6)로 전달되던 전기가 차단되어 상기 유로단속밸브(4)의 밸브스풀(5)은 상기 코일 스프링(9)의 힘으로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차단시키는 상태로 이동되므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20) 조작에 의해 휠 실린더(2)로 공급된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1)로 회수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잔류하게되어 브레이크 슈의 리턴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드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0)에서 발을 떼어도 계속적으로 브레이크 작동상태를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는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12)가 오프(off)되어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됨과 아울러 엔진 온/오프(on/off)스위치(12)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키고 차량을 사람의 힘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비상 스위치(8)를 온(ON)상태로 하여 상기 솔레노이드(6)에 배터리의 전원을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비상 스위치(8)를 온(ON)시키면 상기 유로단속밸브(4)의 밸브스풀(5)은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이동되므로 휠 실린더(2)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1)로 복귀되어 휠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1)와 휠 실린더(2)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오일통로(3)를 단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별도의 케이블이나 기구적인 장치가 없이 주 브레이크로 주차 브레이크의 작용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원가절감 및 중량저감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스터 실린더와 휠 실린더 사이의 브레이크 오일통로의 연통상태를 절환하도록 설치된 유로단속밸브와, 상기 유로단속밸브의 밸브스풀이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밸브스풀을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오일통로를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엔진이 운전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조작 스위치와, 엔진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비상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1019960064471A 1996-12-11 1996-12-11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46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471A KR19980046178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471A KR19980046178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178A true KR19980046178A (ko) 1998-09-15

Family

ID=6652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471A KR19980046178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1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329A (ko) 주행·주차 겸용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46178A (ko)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0184832B1 (ko) 스위치 작동식 주차브레이크
KR200384488Y1 (ko) 휠타입 중장비의 비상 주차 해제가 가능한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0154425B1 (ko) 차량의 비상제동장치
EP0850812A1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a vehicle
KR10022306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KR100192822B1 (ko) 차량의 브레이크장치
JP2605527Y2 (ja) 作業車両の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JPH063765U (ja) 車両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解除装置
KR910001005Y1 (ko) 굴삭기의 주차 및 작업 연동브레이크장치
KR0153303B1 (ko) 주차브레이크겸용 브레이크장치
KR970010132B1 (ko) 자동차용 비상제동장치
KR19980049173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KR014253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0181856B1 (ko) 차량의 발진 제한장치
JPS6238849Y2 (ko)
KR100405527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0184842B1 (ko) 자동차의 주차보조장치
KR0178648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시동오프 방지장치
KR0127711Y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유압식 주차 제동장치
KR100192824B1 (ko) 차량의 브레이크장치
KR0138197Y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조정 경보장치
KR0154029B1 (ko) 차량도난 방지장치
KR100207212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