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026A -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026A
KR19980046026A KR1019960064298A KR19960064298A KR19980046026A KR 19980046026 A KR19980046026 A KR 19980046026A KR 1019960064298 A KR1019960064298 A KR 1019960064298A KR 19960064298 A KR19960064298 A KR 19960064298A KR 19980046026 A KR19980046026 A KR 1998004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vehicle
uniform cross
present
ring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삼
Original Assignee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1996006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026A/ko
Publication of KR1998004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026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는 균일단면봉으로 이루어진 토션바(TORSION BAR)이기 때문에, 용적에 비하여 저장하는 에너지가 크고, 스프링 특성의 재현성이 좋아 차량의 선회시에 차체가 기울어지는 큰 폭의 변위에 대해서는 차량의 롤링을 억제할 수 있으나, 노면이 거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즉 좌우 휘일의 위상변화가 폭이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작용을 할수 없어 소폭의 롤링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승차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균일단면봉으로 이루어진 토션바의 선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케이지홀(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링케이지홀(100)에는 완충수단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STABILIZ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소폭의 변위는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선회시 등 큰폭의 변위가 발생될 때에는 조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는 차량이 선회할 때 차체가 기울어지는 등 차량의 롤링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며, 일종의 토션 스프링으로서 앞 뒤 바퀴 모두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태빌라이저는 양측 선단이 각각 좌우의 로워 아암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0)에 힌지(12)로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너클(20)에 결합된 로워 아암(30)에는 컨트롤링크(40)가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링크(40)에는 스태빌라이저(S)의 일측 선단이 결합되어 쇽업쇼버(50)의 언스프링 매스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스태빌라이저(S)는 차량의 좌우바퀴가 동시에 상하 운동할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 바퀴가 서로 다르게 상하운동 할 때에는 차체의 기울기를 최소로 한다.
예컨대, 주행중 일측 바퀴가 상승하게 되고 타측은 상승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일측의 로워 아암(30)만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워 아암(30)에 컨트롤링크(40)로 연결된 스태빌라이저(S)의 양측 선단에는 서로 높이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태빌라이저(S)에는 비틀림 모우멘트가 작용되어 상승되는 로워 아암(30)의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즉, 양측의 높이차에 의해 발생되는 스태빌라이저(S)의 비틀림탄성으로 차체의 롤링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틀림 모우멘트를 받게되는 스태빌라이저는 균일단면봉으로 이루어진 토션바(TORSION BAR)이기 때문에, 용적에 비하여 저장하는 에너지가 크고, 스프링 특성의 재현성이 좋아 차량의 선회시에 차체가 기울어지는 큰 폭의 변위에 대해서는 차량의 롤링을 억제할 수 있으나, 노면이 거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즉 좌우 휘일의 위상변화가 폭이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작용을 할수 없어 소폭의 롤링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승차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고안의 목적은 큰 폭의 변위 뿐만 아니라, 소폭의 변위에 대해서도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도록하여 거친 도로를 주행하더라도 승차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12 : 힌지
20 : 너클30 : 로워 아암
40 : 컨트롤링크50 : 쇽업쇼버
S : 스태빌라이저100 : 링케이지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균일단면봉으로 이루어진 토션바의 선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케이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에 의하면, 차량의 선회시에 차체가 기울어지는 큰 폭의 변위에 대해서는 맞대어진 토션바에 의해 흡수되어 차량의 롤링이 억제되며, 노면이 거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즉 좌우 휘일의 위상변화 폭이 작은 경우에는 링케이지홀이 흡수하여 소폭의 롤링이 방지됨으로써 승차감이 향상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힌지(12)로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너클(20)에 결합된 로워 아암(30)에는 컨트롤링크(40)가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링크(40)에는 스태빌라이저(S)의 일측 선단이 결합되어 쇽업쇼버(50)의 언스프링 매스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균일단면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선상에는 관통공인 링케이지홀(1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는 차량의 선회시에 차체가 기울어지는 큰 폭의 변위에 대해서는 균일단면봉에 의해 흡수되어 차량의 롤링이 억제되며, 노면이 거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즉 좌우 휘일의 위상변화 폭이 작은 경우에는 링케이지홀에 흡수되어 소폭의 롤링이 방지되어 승차감이 향상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바의 선상에 관통된 구멍인 링케이지홀을 형성시킨 구조만 설명하였으나, 상기 링케이지홀에 끼워맞춤되는 고무부재 등의 탄성수단을 개재하여 좌우 휘일의 위상변화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는 균일단면봉으로 형성된 토션바의 임의 위치에 링케이지홀을 형성시킨 구조이므로, 노면이 거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즉 좌우 휘일의 위상변화 폭이 작은 경우에 발생되는 차체의 진동은 상기 링케이지홀에 의해 완충되어 차량의 롤링이 방지됨에 따라 승차감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균일단면봉으로 이루어진 토션바의 선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케이지홀(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케이지홀(100)에는 완충수단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KR1019960064298A 1996-12-11 1996-12-11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KR19980046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298A KR19980046026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298A KR19980046026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026A true KR19980046026A (ko) 1998-09-15

Family

ID=6652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298A KR19980046026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0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0245B2 (ja) 車両用アクスル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US4480852A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having a pivotable connection between two transverse control arms
US4400008A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with a spring seat fixed to a control arm
KR19980046026A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KR0180373B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독립 현가장치
KR013951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S62205813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211573B1 (ko)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링크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KR100320504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316891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52776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9980054341U (ko)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KR19990019944A (ko) 자동차 리어 서스펜션 레터럴 로드 고정구조
JPH06143955A (ja) 自動車に使用されるリア・サスペンション
JPH114872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35595A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바아구조
KR19980024244U (ko)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KR2003008047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