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491U -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491U
KR19980044491U KR2019960057626U KR19960057626U KR19980044491U KR 19980044491 U KR19980044491 U KR 19980044491U KR 2019960057626 U KR2019960057626 U KR 2019960057626U KR 19960057626 U KR19960057626 U KR 19960057626U KR 19980044491 U KR19980044491 U KR 199800444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injection mold
rib forming
core
v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60057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491U/ko
Publication of KR19980044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49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브 성형부의 끝단에 몰리는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한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부(23)와, 상기 수평부(23)의 우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5)로 구성된 에어벤트 코아(21)가 가동 코아(11)의 리브 성형부(21)의 하단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사출 금형시 리브 성형부의 하단으로 몰리는 에어를 간단하게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브의 성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본 고안은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리브 성형부의 끝단에 몰리는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한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품의 보강 및 상대 부품의 고정을 위해 리브를 사출 금형의 리브 성형부(3)에서 성형시킨다. 그런데, 가동 코아(1)의 상부에 형성된 리브 성형부(3)는 대체로 폭이 좁고 깊기 때문에 수지를 사출할 때 상기 리브 성형부(3)의 단부로 에어가 몰려서 리브의 완전한 성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종래에는 리브 성형부(3)의 폭을 넓게 해서 리브를 두껍게 성형시켰는데, 이렇게 하면 제품의 외관에 싱크 마크가 발생하여 외관미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브 성형부의 하단에 맞닿게 가동 코아의 측면에서 에어벤트 코아를 설치한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의 일예로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우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수직부로 구성된 에어벤트 코아가 가동 코아의 리브 성형부의 하단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는 수지를 사출할 때 리브 성형부의 끝단으로 몰리는 에어를 사출압에 의해 에어벤트 코아와 가동 코아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밖으로 배출시킨다.
도 1은 종래의 가동 코아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가동 코아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가동 코아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 코아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 코아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동 코아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가동 코아3 : 리브 성형부
21 : 에어벤트 코아23 : 수평부
25 : 수직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출 금형의 가동 코아(11)의 상부측에는 리브를 성형시키기 위한 리브 성형부(3)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 성형부(3)의 하단에는 상기 가동 코아(11)의 측면에서 에어벤트 코아(21)가 체결된다.
상기 에어벤트 코아(21)와 가동 코아(11) 사이에는 0.03~0.05mm 정도의 갭이 생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벤트 코아(21)는 상기 리브 성형부(3)의 하단과 맞닿는 수평부(23)와, 상기 수평부(23)의 우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는 수지를 사출할 때 리브 성형부(3)의 끝단으로 몰리는 에어를 사출압에 의해 에어벤트 코아(21)와 가동 코아(1)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밖으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는 사출 금형시 리브 성형부의 하단으로 몰리는 에어를 간단하게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브의 성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수평부(23)와, 상기 수평부(23)의 우측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5)로 구성된 에어벤트 코아(21)가 가동 코아(11)의 리브 성형부(21)의 하단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KR2019960057626U 1996-12-26 1996-12-26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KR199800444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626U KR19980044491U (ko) 1996-12-26 1996-12-26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626U KR19980044491U (ko) 1996-12-26 1996-12-26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491U true KR19980044491U (ko) 1998-09-25

Family

ID=539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626U KR19980044491U (ko) 1996-12-26 1996-12-26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4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81B1 (ko) * 2007-10-16 2008-09-08 (주)한산 플라스틱 제품 사출방법 및 사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81B1 (ko) * 2007-10-16 2008-09-08 (주)한산 플라스틱 제품 사출방법 및 사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358Y1 (ko) 투명창이 구비된 용기
KR920007770A (ko) 플라스틱 하우징과 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주형
SE0104304L (sv) Formsprutningsverktyg, sätt att formspruta samt förpackningsbehållare med formsprutad öppningsanordning
KR19980044491U (ko) 사출 금형의 에어벤트장치
KR930012241A (ko) 고품질의 외관을 갖는 사출성형품
CA2415534A1 (en) Injection molding alignment steering utilizing sequential throttles in a base-wall-section flow guides
JPH0724871A (ja) 熱交換器用タンク
KR19990016491U (ko) 사출 성형시 공기압이 배출되는 금형 구조
KR100429538B1 (ko) 전화기의 일체형 다이얼버튼
KR910000876Y1 (ko) 가스배기 기능을 겸비한 금형용 분리핀
JPS6140173B2 (ko)
KR960004472Y1 (ko) 사출금형의 성형품 컨트롤부 수축방지장치
KR200418299Y1 (ko)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
KR19990019364U (ko) 사출성형용 금형의 코어핀 설치구조
KR0130466Y1 (ko) 전지케이스
KR0119255Y1 (ko) 반도체 몰드용 플런저
JPH08142230A (ja) キャビネッ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900009729Y1 (ko) 초음파 가습기의 분무누설 방지장치
KR200302836Y1 (ko) 철골조의 내장이 간편한 플라스틱제 패리트
KR950004230Y1 (ko) 에폭시(Epoxy) 부품의 주형용 금형 주입구
KR19980049399U (ko) 사출 금형의 가동 코아
KR960021463A (ko) 사출성형금형의 경사밀봉자리구조
KR0111725Y1 (ko) 사출물 성형장치
KR19990018774U (ko) 코어핀의 버 발생 방지구조
JPS59179325A (ja) 車両用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