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844A -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844A
KR19980043844A KR1019960061823A KR19960061823A KR19980043844A KR 19980043844 A KR19980043844 A KR 19980043844A KR 1019960061823 A KR1019960061823 A KR 1019960061823A KR 19960061823 A KR19960061823 A KR 19960061823A KR 19980043844 A KR19980043844 A KR 1998004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clutch
cylinder
hydraulic cylind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2513B1 (ko
Inventor
이학곤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51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 클러치(300)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1),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실린더(2), 변속기입력축(9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릴리스실린더(2)와 연결파이프(3)를 매개로 연결된 유압실린더(4), 상기 연결파이프(3)와 제 1 파이프(5)를 매개로 연통된 오일펌프(6), 제 2 파이프(7)를 매개로 일측부가 연통됨과 더불어 타측부가 제 3 파이프(8)를 매개로 상기 유압실린더(4)와 연결된 오일탱크(9), 상기 유압실린더(4)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압에 의해 릴리스베어링(11)을 작동시키도록 된 피스톤(12), 상기 릴리스베어링(11)에 의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14)를 누루고 있는 압력판(15)을 분리시키도록된 릴리스레버(16)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실린더(4)의 유압을 매개로 작동되는 피스톤(12)에 의해 릴리스베어링(11)의 작동이 변속기입력축(900)의 축방향으로 원활히 작동되므로 압력이 저하되고, 상기 릴리스베어링(11)의 수명이 증가되어 내구성이 증가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본 발명은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스베어링이 변속기입력축에 설치되어져 릴리스베어링의 조기마모가 방지됨은 물론, 릴리스포크에 의한 측방향 힘(Side Force)이 제거되어 클러치페달의 답력(踏力)이 저감되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는 엔진(10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바퀴(200)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써 그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0)과 후술하는 변속기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동력전달을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300)와,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기어의 물림을 변경시킴과 더불어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된 변속기(400)와, 이 변속기(400)와 후술하는 종가속기어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의 출력을 전달하도록 된 추진축(500)과, 이 추진축(500)을 통해 전달된 엔진(100)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된 종감속기어(600) 및, 회전시 좌우구동바퀴(200)에 알맞는 회전속도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차동장치(7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플라이휘일(800)과 변속기입력축(900)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400)로 전달되는 엔진(100)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300)의 종래 조작기구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설치되어 클러치(300)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301),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으로 피스톤과 푸시로드를 작용시켜 릴리스포크(302)를 작동시키도록 된 릴리스실린더(303), 상기 릴리스포크(302)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베어링(304), 이 릴리스베어링(304)에 의해 지렛대형식으로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305)를 누르고 있는 압력판(306)을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30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클러치페달(301)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오일의 압력이 릴리스실린더(303)로 전달됨과 더불어 이 릴리스실린더(303)와 연결된 릴리스포크(302)는 변속기입력축(900)에 대해 축방향으로 작동되며, 이 변속기입력축(900)에 설치된 릴리스베어링(304)은 상기 릴리스포크(302)에 의해 작동되어 압력판(306)이 부착된 릴리스레버(307)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이 릴리스레버(307)가 작동되면 클러치디스크(305)와 접촉되어 있던 압력판(306)이 분리됨과 동시에 변속기(400)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어 진다.
또한, 운전자가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밟았던 클러치페달(301)을 놓아주게 되며, 마스터실린더에 발생되었던 오일의 압력이 상실되어 릴리스포크 및 릴리스베어링(304)이 원위치로 이동되는 바, 이때 클러치디스크(305)와 서로 분리되어 있던 압력판(306)이 상기 클러치디스크(305)와 접촉됨과 동시에 변속기(400)로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러치조작기구에 의하면, 릴리스베어링(304)이, 이 릴리스베어링(304)의 일측면부에 한정되어 작용하도록 된 릴리스포크(302)에 의해 작동되어져, 상기 릴리스베어링(304)이 변속기입력축(900) 축(F)방향으로 원활히 작동되지 못하고, 상기 릴리스베어링(304)이 변속기입력축(900)에 대해 축(F1)방향으로 작동되므로 클러치페달(301)의 조기마모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기입력축의 외주면에 실린더 및 유압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을 설치함과 더불어 릴리스베어링이 상기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릴리스베어링의 일측 전면에 걸쳐 작동압력이 분포되므로 릴리스베어링의 작동시 측방향힘이 제거되어 클러치페달의 답력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릴리스베어링의 사용수명이 증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조작기구의 개략적인 내부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조작기구로서, 도 2 에 대응되는 내부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페달2 - 릴리스실린더
3 - 연결파이프4 - 유압실린더
5 - 제 1 파이프6 - 오일펌프
7 - 제 2 파이프8 - 제 3 파이프
9 - 오일탱크10 - 제 1 밸브
11 - 릴리스베어링12 - 피스톤
13 - 제 2 밸브14 - 클러치디스크
15 - 압력판16 - 릴리스레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러치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실린더, 변속기입력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릴리스실린더와 연결파이프를 매개로 연결된 유압실린더, 상기 연결파이프와 제 1 파이프를 매개로 연결된 오일펌프, 제 2 파이프를 매개로 일측부가 오일펌프와 연결됨과 더불어 타측부가 제 3 파이프를 매개로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된 오일탱크, 상기 유압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압에 의해 릴리스베어링을 작동시키도록 된 피스톤, 상기 릴리스베어링에 의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를 누르고 있는 압력판을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조작기구의 개략적인 내부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운전석에 설치되어 클러치(300)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1), 이 클러치페달(1)의 작동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실린더(2), 변속기입력축(9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릴리스실린더(2)와 연결파이프(3)를 매개로 연결된 유압실린더(4), 상기 연결파이프(3)의 소정부위에서 제 1 파이프(5)를 매개로 연통된 오일펌프(6), 이 오일펌프(6)와 제 2 파이프(7)를 매개로 일측부가 연통됨과 더불어 타측부가 제 3 파이프(8)를 매개로 상기 유압실린더(4)와 연통된 오일탱크(9), 상기 연결파이프(3)와 유압실린더(4)가 연통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클러치페달(1)의 작동시 유압실린더(4)로 오일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도록 된 제 1 밸브(10), 상기 유압실린더(4)의 내부에 설치되어 클러치페달(1)의 작동시 발생된 유압에 의해 릴리스베어링(11)을 작동시키도록 된 피스톤(12), 상기 유압실린더(4)와 제 3 파이프(8)가 연통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밟았던 클러치페달(1)을 놓아주었을시 유압실린더(4)내의 오일을 오일탱크(9)로 리턴시키기 위해 개방되도록 된 제 2 밸브(13), 상기 릴리스베어링(11)에 의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14)와 압력판(15)을 압착 또는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1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1)을 밟으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오일의 압력에 의해 오일이 릴리스실린더(2)와 연결파이프(3)를 통해 제 1 밸브(10)에 도달되는 바, 이때 제 1 밸브(10)는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펌프(6)에서 동시에 발생된 오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져 오일이 유압실린더(4)로 유입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4)로 유입된 오일의 압력은 피스톤(12)의 일측 단면(K)에 골고루 작용됨과 더불어 이 피스톤(12)에 의해 릴리스베어링(11)의 일측 단면(L)에도 작동압력이 골고루 작용하게 되어 상기 릴리스베어링(11)을 좌측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며, 이 릴리스베어링(11)은 릴리스레버(16)를 작동시키게 되어 클러치디스크(14)와 접촉되어 있던 압력판(15)을 분리시킴으로써 변속기(400)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밟았던 클러치페달(1)을 놓아주게 되면, 클러치디스크(14)와 서로 분리되어 있던 압력판(15)이 재접촉됨과 동시에 릴리스레버(16)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릴리스베어링(11)을 원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피스톤(12)은 릴리스베어링(11)에 의해 유압실린더(4)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제 2 밸브(13)는 유압실린더(4)내에서 압축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내의 오일은 제 3 파이프(8)를 통해 오일탱크(9)로 유입되어 운전자가 클러치페달(1)을 채차 작동시켰을 경우 오일펌프(6)에 의해 상기 제 1 밸브(10)를 매개로 유압실린더(4)로 유입되는 경로를 반복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4)내의 오일압력이 피스톤(12)의 일측면에 골고루 작용되어 상기 피스톤(12)을 작동시키게 되며, 이 피스톤(12)의 작동압력은 릴리스베어링(11)의 일측면에 골고루 분포됨과 더불어 상기 릴리스베어링(11)은 변속기입력축(900)의 축방향으로 원활히 작동되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을 매개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실린더, 변속기입력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릴리스실린더와 연결파이프를 매개로 연결된 유압실린더, 상기 연결파이프와 제 1 파이프를 매개로 연결된 오일펌프, 제 2 파이프를 매개로 일측부가 오일펌프와 연결됨과 더불어 타측부가 제 3 파이프를 매개로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된 오일탱크, 상기 유압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압에 의해 릴리스베어링을 작동시키도록 된 피스톤, 상기 릴리스베어링에 의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를 누르고 있는 압력판을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매개로 작동되는 피스톤에 의해 릴리스베어링의 작동이 변속기입력축의 축방향으로 원활히 작동되므로 압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릴리스베어링의 수명이 증가되어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라이휘일과 변속기입력축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클러치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과,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으로 피스톤과 푸시로드를 작용시켜 릴리스포크를 작동시키도록 된 릴리스실린더와, 상기 릴리스포크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베어링 및, 이 릴리스베어링에 의해 지렛대형식으로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를 누루고 있는 압력판을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실린더(2)와 연결파이프(3)를 매개로 연결되어 변속기입력축(900)의외주면에 설치되도록 된 유압실린더(4), 상기 연결파이프(3)에서 제 1 파이프(5)를 매개로 연통된 오일펌프(6), 이 오일펌프(6)와 제 2 파이프(7)를 매개로 일측부가 연통됨과 더불어 타측부가 제 3 파이프(8)를 매개로 상기 유압실린더(4)와 연통되도록 된 오일탱크(9)와, 상기 연결파이프(3)와 유압실린더(4)가 연통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클러치페달(1)의 작동시 유압실린더(4)로 오일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도록 된 제 1 밸브(10)와, 상기 유압실린더(4)의 내부에 설치되어 클러치페달(1)의 작동시 발생된 유압에 의해 릴리스베어링(11)을 작동시키도록 된 피스톤(12), 상기 유압실린더(4)와 제 3 파이프(8)가 연통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밟았던 클러치페달(1)을 놓아주었을시 유압실린더(4)내의 오일을 오일탱크(9)로 리턴시키기 위해 개방되도록 된 제 2 밸브(13), 상기 릴리스베어링(11)에 의해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14)와 압력판(15)을 압착 또는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KR1019960061823A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KR10019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23A KR100192513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23A KR100192513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44A true KR19980043844A (ko) 1998-09-05
KR100192513B1 KR100192513B1 (ko) 1999-06-15

Family

ID=1948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823A KR100192513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5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251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317B2 (en) Hydraulic clutch assembly
JP2776932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3996063B2 (ja) 切換式変速機
GB2161230A (en) Motorcycle anti-lock braking arrangement
JP2744829B2 (ja) ダイアフラムばねを有する流体圧作動摩擦ディスククラッチを制御する装置
US4354584A (en) Transmission-clutch operating system
JPH0781446A (ja) 車輌の走行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1813142B (zh) 制动结构,尤其是用于液压轮驱动装置的制动结构
KR950002992B1 (ko) 자동변속장치용 전유제어장치
KR100192513B1 (ko) 자동차용 클러치조작기구
JP2007327592A (ja) 産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JP2002514714A (ja) 駆動装置
KR100391669B1 (ko) 자동차용 클러치부스터의 공기배출구 구조
JPH0543296Y2 (ko)
KR100362410B1 (ko) 자동차의브레이크와클러치작동구조
KR100497719B1 (ko) 트랙터용 전륜증속 절환용 클러치
US4642985A (en) Oil pump system in power train
JPH08135774A (ja) ギヤのガタ打ち防止構造
JPS6235621Y2 (ko)
JPS6231737Y2 (ko)
KR100391648B1 (ko) 하이드로릭 피스톤의 편마모 발생 방지기구를 갖춘 클러치부스터
KR100351123B1 (ko) 차량용 클러치 조작기구
KR100435876B1 (ko) 차량용 차동제한장치
KR960000194Y1 (ko) 기계식 인칭콘트롤 밸브를 가지는 유체토오크 콘버터형 지게차의 제동장치
KR200210454Y1 (ko) 자동차의 클러치 조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