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360U -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360U
KR19980043360U KR2019960056473U KR19960056473U KR19980043360U KR 19980043360 U KR19980043360 U KR 19980043360U KR 2019960056473 U KR2019960056473 U KR 2019960056473U KR 19960056473 U KR19960056473 U KR 19960056473U KR 19980043360 U KR19980043360 U KR 199800433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stopper
ceiling crane
wir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귀주
나승일
김성래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6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360U/ko
Publication of KR19980043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36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물측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하부후크(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스프링(50)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상하 이동하게 하는 몸체(10); 상기 하부후크(20)의 상단부에 너트부재(34)를 매개로 연결되어 몸체(10)의 상부측으로 위치하며, 상하이동하면서 몸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4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된 스토퍼(30); 다수개의 연결나사(60)를 매개로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중앙부에는 베어링부재(82)를 매개로 천정크레인측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상부후크(80)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와이어로프 연결대(70);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40)가 스토퍼(30)에 의하여 동작하면 와이어로프 연결대(70)에 장착된 경광등(76)과 부져(78)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서, 천정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줄걸이된 중량물을 적정개소로 이송하는 경우 그 와이어로프에 과다한 인장력이 걸리는 경우를 감지하도록 된 청전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으로 중량물을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가 절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초과하여 사용되어지는 경우 또는 주변설비와의 충돌 등에 의하여 와이어로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그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경보로서 알려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된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설비에는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천정크레인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천정크레인의 후크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고, 그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중량물을 줄걸이한 후 권상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권상하여 적정장소로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주변설비와의 간섭에 의하여 충돌하는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에는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와이어로프가 견딜 수 있는 부하를 초과하도록 하여 그 와이어로프가 절단되는 것이며, 또한 와이어로프가 견딜 수 있는 부하를 초과하는 중량물을 이송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크레인 운전자 또는 중량물의 와이어로프 줄걸이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중량물의 거동을 감시하여 충돌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통상적으로 이러한 천정크레인 작업은 그러한 감시가 매우 곤란하고, 충돌을 예상하여 천정크레인의 상승 등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이미 때가 늦어 충돌이 발생하게 되며, 중량물의 무게를 천정크레인에 의한 이송작업을 위하여 별개로 수행하는 것 또한 매우 번거로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어서, 대형 설비사고에 의한 장치의 가동효율의 저하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와이어로프로 줄걸이하여 권상하고 이송하는 경우에 그 중량물이 와이어로프가 견딜 수 있는 부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와, 주변설비와의 충돌발생시 그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로프의 절손을 방지하고 따라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며 또한 설비의 가동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된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권상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하부후크
30 ... 스토퍼
40 ... 리미트스위치
50 ... 스프링
60 ... 연결나사
70 ... 와이어로프연결대
78 ... 부져
80 ... 상부후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중량물측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하부후크를 내부에 수용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상하 이동하게 하는 몸체; 상기 하부후크의 상단부에 너트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몸체의 상부측으로 위치하며, 상하이동하면서 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된 스토퍼; 다수개의 연결나사를 매개로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중앙부에는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천정크레인측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상부후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와이어로프 연결대;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스토퍼에 의하여 동작하면 와이어로프 연결대에 장착된 경광등과 부져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서, 천정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줄걸이된 중량물을 적정개소로 이송하는 경우 그 와이어로프에 과다한 인장력이 걸리는 경우를 감지하도록 된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로서, 상하로 관통구멍(12)을 형성한 몸체(10)를 가지며, 이러한 몸체(10)의 관통구멍(12)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하부후크(20)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후크(20)는 그 상단부에 나사산(22)을 형성하여 적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상의 스토퍼(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을 통하여 너트부재(34)로서 체결됨으로서 그 스토퍼(30)에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30)는 몸체(10)의 상단부에 얹힐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일측단부는 하부측으로 적정길이 절곡되어 몸체(10)의 상단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절곡된 내측과 몸체(10) 사이에 적정한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간측 몸체(10)의 상부면에 리미트스위치(40)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스토퍼(30)의 상하이동시 그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러한 스토퍼(30)의 이동에 간섭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관통구멍(12)의 상부측은 보다 내경이 확대된 스프링수용구멍(14)을 형성하고, 이러한 스프링수용구멍(14)에 수용되는 코일형 스프링(50)은 스토퍼(30)에 상부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30)의 상부면 일측에는 온/오프 스위치(36)를 장착함으로서 본 장치가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수직구멍(16)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구멍(16)에는 양측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연결나사(60)의 하단부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나사(60)의 위치설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여 스토퍼(3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게 하면 좋다(즉, 상기 연결나사(60)의 위치가 스토퍼(30)의 장변측 양단부의 각각에 근접하여 설치됨으로서 스토퍼(30)의 상하 이동공간을 마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나사(60)의 상단부는 대략의 사각판재형상으로 된 와이어로프 연결대(70)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관통구멍(72)을 통하여 너트부재(74)와 나사결합됨으로서 와이어로프 연결대(70)가 연결나사(60)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베어링부재(82)와 너트부재(84)를 매개로 상부후크(80)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연결대(84)의 일측 단부는 절곡되어 그 부분에 경광등(76)과 부져(78)를 각각 장착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는 하부후크(20)의 대략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하단부가 수용되는 후크수용홈(18)이 형성된다.
몰론, 상기 리미트스위치, 경광등, 부져 및 온/오프 스위치등은 별도의 제어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기를 공급받거나 제어신호를 서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를 갖추어 와이어로프와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천정크레인의 후크(110)에 와이어로프(120)를 연결하여 그 와이어로프(120)가 본 고안의 상부후크(80)에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본 고안의 하부후크(20)에 와이어로프(130)를 이용하여 중량물(140)을 줄걸이에 의하여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140)을 상부측으로 권상하게 되면,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스프링(50)은 중량물(140)의 자중에 의하여 수축되어지고 따라서 몸체(10)의 상부면측으로 스토퍼(30)가 하강하고, 이때 상기 스프링(50)은 그 탄성력이 와이어로프(120)(130)가 견딜 수 있는 인장력에 부합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중량물(140)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20)(1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50)은 중량물(140)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에는 스토퍼(30)가 리미트스위치(40)를 동작시켜 제어부에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게 하고, 따라서 제어부는 경과등(76)과 부져(78)에 신호를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함으로서 작업자는 중량물(140)의 무게가 와이어로프(120)(130)가 견딜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하였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그에 부합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도록 하여 와이어로프(120)(130)가 절손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140)의 무게가 스프링(50)의 수축에 의해 스토퍼(30)가 리미트스위치(40)를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즉 중량물(140)의 무게가 적정한 경우에는 천정크레인을 계속 작동하여 중량물(140)을 권상하여 임의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140)이 권상되는 경로상이나, 이동중의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주변설비의 구조물(150)(152)에 그 중량물(140)이 충돌하게 되는 경우, 이때에는 통상 그 충돌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돌력은 와이어로프(120)(130)를 인장시키도록 작용하게, 따라서 상기 와이어로프(120)(1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증가시켜 중량물(140)의 무게에 의하여 수축하여 있던 스프링(50)을 더 수축하게 하며, 이는 스토퍼(30)를 몸체(10)측으로 접근시켜 상기한 동작에 의하여 경광등(76)과 부져(78)가 동작하고, 이에 작업자는 천정크레인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충돌에 의한 와이어로프(120)(130)의 절손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에 의하면,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에 줄걸이한 후 적정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 중량물의 무게가 와이어로프가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중량물의 이동시에 그 중량물이 다른 주변설비에 충돌하여 와이어로프가 적정인장력을 초과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경보함으로서 작업자는 그에 따른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로프절손 등의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실용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중량물측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하부후크(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스프링(50)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상하 이동하게 하는 몸체(10);
    상기 하부후크(20)의 상단부에 너트부재(34)를 매개로 연결되어 몸체(10)의 상부측으로 위치하며, 상하이동하면서 몸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4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된 스토퍼(30);
    다수개의 연결나사(60)를 매개로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중앙부에는 베어링부재(82)를 매개로 천정크레인측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상부후크(80)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와이어로프 연결대(70);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40)가 스토퍼(30)에 의하여 동작하면 와이어로프 연결대(70)에 장착된 경광등(76)과 부져(78)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서, 천정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줄걸이된 중량물을 적정개소로 이송하는 경우 그 와이어로프에 과다한 인장력이 걸리는 경우를 감지하도록 된 청전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KR2019960056473U 1996-12-24 1996-12-24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KR199800433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473U KR19980043360U (ko) 1996-12-24 1996-12-24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473U KR19980043360U (ko) 1996-12-24 1996-12-24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360U true KR19980043360U (ko) 1998-09-25

Family

ID=5399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473U KR19980043360U (ko) 1996-12-24 1996-12-24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36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08B1 (ko) 2006-05-19 2007-05-02 김성식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
KR101849723B1 (ko) * 2018-01-04 2018-04-18 (주) 주연물산 와이어 형태의 폐금속 재생을 위한 중간 처리공정 및 처리장치
KR102660909B1 (ko) 2024-02-14 2024-04-24 조병록 크레인용 과부하 방지 자동 제어 및 권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08B1 (ko) 2006-05-19 2007-05-02 김성식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
KR101849723B1 (ko) * 2018-01-04 2018-04-18 (주) 주연물산 와이어 형태의 폐금속 재생을 위한 중간 처리공정 및 처리장치
KR102660909B1 (ko) 2024-02-14 2024-04-24 조병록 크레인용 과부하 방지 자동 제어 및 권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1751A1 (en) Method for raising and/or lowering a load-handling element of a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of a crane, an dlifting device therefor
US7389972B2 (en) Lifting system with overload protection circuit
KR19980043360U (ko)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과대부하 감지장치
DE69707258D1 (de) Gerät zum Anbringen von Deckplatten
KR101254767B1 (ko)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로프 탈선 감지장치
KR20060035704A (ko) 길이 가변형 와이어슬링
US9527702B2 (en) Hoist pull-limiting device
KR102195815B1 (ko) 중량물의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리프팅 장치
JPH08295487A (ja) 天井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ガイド装置
US5090507A (en) Load limiting apparatus for a hoist
KR200201338Y1 (ko) 크레인용 훅 보조장치
KR200270189Y1 (ko) 와이어 로우프 기울림 확인장치
KR101819705B1 (ko) 크레인용 중추 스트라이커
KR100711808B1 (ko)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
US4340792A (en) Pendant control protector
JPH0673071U (ja) ワイヤーロープの点検装置
KR970006569Y1 (ko) 천정기중의 과권 비상용 안전장치
KR0132745Y1 (ko)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KR102334708B1 (ko) 단축 제매기용 인양장치
CN215439355U (zh) 一种起重设备防斜拉歪吊装置
JPH07291579A (ja) 搬送装置及び継電装置
SU1595781A1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673072U (ja) ワイヤーロープの点検装置
KR200289768Y1 (ko) 과부하 예지가 내장된 레버호이스트
SU1062170A1 (ru) Рым-бол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