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45Y1 -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45Y1
KR0132745Y1 KR2019960010829U KR19960010829U KR0132745Y1 KR 0132745 Y1 KR0132745 Y1 KR 0132745Y1 KR 2019960010829 U KR2019960010829 U KR 2019960010829U KR 19960010829 U KR19960010829 U KR 19960010829U KR 0132745 Y1 KR0132745 Y1 KR 0132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rod
wire rope
drum
spring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276U (ko
Inventor
조성배
심재우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2019960010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45Y1/ko
Publication of KR970062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고가의 전자식 감응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고장 발생률이 높고 비용이 커다란 부담이 되었는데 본 고안은 크레인 본체에 연결된 하중검출기와 와이어로프 사이에 걸려 있는 부하 상태에 따르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와이어로프의 과풀림시 윈치드럼의 구동이 멈추도록 하는 자동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하중검출기와 직렬로 연결된 아이 너트 및 텐션로드와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드럼과 상기한 텐션로드와 드럼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압축 스프링 및 제동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가 바람직하며 후크(103)가 지면에 닿아 와이어로프(104)가 느슨해지면 스프링(11)의 탄반력으로 텐션로드의 헤드(52)가 제동 스위치(10)를 오프시켜 윈치드럼(105)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a)는 드럼볼트에 부하가 걸려 제동스위치가 온(ON) 상태.
(b)는 훅크가 지면에 닿아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진 상태로서, 제동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동스위치 연결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제어수단 110 : 제동스위치
120 : 드럼 121 : 드럼외통
122 : 드럼막이 125 : 더스트시일
130 : 스프링 140 : 드럼볼트
150 : 텐션로드 160 : 아이볼트
201 : 하중검출기 202 : 크레인 본체
203 : 훅크 204 : 와이어로프
205 : 윈치드럼 206 : 부움
본 고안은 크레인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권상로프의 과풀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로프의 과풀림시 훅크 및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부하상태를 감지하여 윈치드럼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대형 공사현장 또는 공장, 부두 등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런데, 크레인 작업시 중량물을 내려놓을 때 조작자가 조작의 실수나 방심에 의하여 중량물이 이미 지면에 도착한 후에도 하강동작을 계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되면 와이어로프의 정렬이 흐트러져 와이어로프에 손상을 입히는가 하면 후크를 상승시키기 위해 윈치드럼에 되감기 작업을 할 때 와이어로프의 부정렬에 의한 급격한 충격이나 와이어로프의 엉킴 또는 꼬임으로 윈치드럼의 정속운전이 파괴되어 커다란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방지를 위해 종래에는 고가의 전자식 감응장치에 의한 과풀림 안전장치를 적용하고 있으나, 여러 외부 조건에 따라 고장 발생률이 높고 또한 그 비용이 커다란 부담이 되어 장비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안정되고 안전한 크레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크레인 장비의 운전 중 와어이로프에 작용되는 하중의 변화를 감지하여 와이어로프의 과풀림시 장비의 작동을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전원차단수단을 응용한 기계식의,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윈치드럼의 구동제어부에 있어서, 크레인 본체에 연결된 하중검출기와 와이어로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중검출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아이 너트 및 상기 아이 너트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이동되는 텐션로드와; 상기 텐션로드를 탄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와이어로프의 부하상태에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과; 상기 텐션로드의 전방에 설치되어, 텐션로드의 탄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동스위치와; 상기 스프링 및 텐션로드의 일측과 제동스위치를 내설하고, 일측에 와이어로프로 연결 결합되는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제어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a)는 드럼볼트 즉 와이어에 부하가 걸려 제동스위치가 온(ON) 상태를, (b)는 훅크가 지면에 닿아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진 상태로서, 제동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윈치드럼 구동제어부에 있어서, 크레인 본체(202)에 연결된 하중검출기(201)와 와이어로프(204) 사이에 설치되고, 후크(203) 및 와이어로프(204)에 걸려있는 부하 상태에 따르는 인장력에 의하여 신축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과풀림시 윈치드럼(205)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기 위한 자동제어수단(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제어수단(100)은, 상기 하중검출기(201)와 직렬로 연결되는 아이 너트(160) 및 상기 아이 너트(16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되는 텐션로드(150)와; 상기 텐션로드(150)를 탄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와이어로프(204)의 부하상태에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텐션로드(150)의 전방에 설치되어, 텐션로드(130)의 탄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동스위치(110)와; 상기 스프링(130) 및 텐션로드(150)의 일측과 제동스위치(110)를 내설하고, 일측에 와이어로프(204)로 연결 결합되는 드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로드(150)는 상기 아이 너트(160)와 나합되는 나사부(151)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는 단턱헤드(152)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130)에 의한 탄동으로 제동스위치(110)를 온(ON),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럼(120)은 드럼외통(121)과 드럼막이(1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외통(121)은 일측이 와이어로프(204)에 연결된 드럼볼트(140)와 일체로 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1b)을 형성하고, 상기 제동스위치(110)를 내설하기 위한 공간(121a)을 구비하며, 주면 일측에는 케이블 통공(121c)을 형성하며, 드럼막이(122)와 결합부 내주면에 암나사(121d)를 형성한다.
상기 드럼막이(122)는 상기 드럼볼트(140)와 대향하여, 상기 텐션로드(150)의 슬라이드 통공(122a)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130)의 탄지턱(122b), 상기 텐션로드의 헤드부 걸림턱(122c) 및 더스트 시일 요홈(122d)을 형성하고 드럼외통(121)과 결합부 외주면에 숫나사(122f)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동스위치(110)는 스프링(130)에 의하여 탄동되는 텐션로드(150)와의 접촉에 의하여 오프(OFF)되고 윈치드럼(205)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서는 밀려나는 텐션로드 헤드(152)와의 접촉에 의해 윈치드럼(205)의 구동을 차단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25는 더스트시일이며, 127은 케이블 통공마개이고, 153은 멈출링이며, 112는 제동스위치 고정구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161은 풀림방지핀이며, 206은 크레인의 부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제동스위치 연결 개략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크(203)에 연결된 와이어로프(204)의 일단은 윈치드럼(205)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자동제어수단(100)을 포함하는 본 고안과 하중검출기(201)를 직렬로 연결하여 크레인 본체(202)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로프(204)에 결착되어 있는 드럼(120)에는 훅크(203)에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훅크(203) 자체와 와이어로프(204)의 하중 등으로 인해 제2도 (a)에 도시된 A방향으로 규정된 장력이 항상 걸려 있다.
한편 드럼(120)과 대향하고 있는 텐션로드(150)는 아이 너트(160)와 하중검출기(201)를 직렬로 거쳐 결국 크레인 본체(20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도 (a)에서 도시한 B방향으로 장력이 언제나 걸려 있다.
그리하여 드럼막이(122)와 텐션로드(150) 사이에 탄지된 스프링(130)에는 항상 압력이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훅크(203)에 부하가 전혀 걸려 있지 않은 때나, 중량물을 걸었을 때나 테션로드의 헤드부(152)와 제동스위치(11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와이어로프(204)에 규정된 일정 무부하 상태에서는 서로 당기는 상기 A,B방향의 장력과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 제동스위치(110)와의 일정 간격이 유지토록 조정되어지다가, 부하를 걸었을 때는 와이어로프(204)의 증가 장력에 의해 텐션로드(150)와 제동스위치(110)와의 간격은 더욱 벌어지고 윈치드럼(205)은 계속 작동된다.
한편, 훅크(203)가 지면에 닿아 와이어로프(204)가 느슨해지면 규정된 무부하 장력보다 장력이 감소하고 스프링(130)이 신장되어 밀어내게 되므로, 텐션로드의 헤드(152)가 제동스위치(110)를 쳐서 오프(OFF)시키고, 케이블(113)을 통해 윈치드럼(205)의 풀림 회전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서 과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작자가 계속 하강작동을 하여도 안전하게 과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 때에 하강 작동은 차단되지만, 다시 상승조작을 하여 로프를 상승할 경우는 상승스위치 조작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즉 윈치드럼 모터의 정,역회전 작동으로 인하여 상승 및 하강하는 크레인의 후크를 지면에 내려놓을 시, 실수나 방심에 의해 중량물이 이미 지면에 닿은 후에도 윈치드럼의 풀림회전 작동이 계속되어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진 정도가 되면 본 고안인 기계식의 과풀림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윈치드럼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하게 되어, 와이어로프의 과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써 와이어로프의 과풀림을 자동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엉킴 또는 꼬임을 방지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크레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종래의 전자식 감응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고장발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긴 경제적으로 매우 유익한 기술이다.

Claims (3)

  1.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윈치드럼 구동제어부에 있어서, 크레인 본체(202)에 연결된 하중검출기(201)와 와이어로프(20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중검출기(201)와 직렬로 연결되는 아이 너트(160) 및 상기 아이 너트(16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스프링(130)의 탄력에 의하여 이동되는 텐션로드(150)와; 상기 텐션로드(150)를 탄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와이어로프(204)의 부하상태에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텐션로드(150)의 전방에 설치되어, 텐션로드(130)의 탄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동스위치(110)와; 상기 스프링(130) 및 텐션로드(150)의 일측과 제동스위치(110)를 내설하고, 일측에 와이어로프(204)로 연결 결합되는 드럼(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제어수단(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스위치(110)는 스프링(130)에 탄지된 텐션로드(150)와의 접촉에 의하여 윈치드럼(205)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수단(100)의 드럼(120)은 일측이 와이어로프(204)에 연결된 드럼볼트(140)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130) 및 텐션로드(150)의 일측과 제동스위치(110)를 내설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드럼외통(121)과; 상기 드럼볼트(140)와 대향하여, 상기 텐션로드(150)의 슬라이드 통공(122a)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130)의 탄지턱(122b) 및 더스트시일요홈(122c)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드럼막이(122)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KR2019960010829U 1996-05-04 1996-05-04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KR0132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829U KR0132745Y1 (ko) 1996-05-04 1996-05-04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829U KR0132745Y1 (ko) 1996-05-04 1996-05-04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76U KR970062276U (ko) 1997-12-10
KR0132745Y1 true KR0132745Y1 (ko) 1998-12-01

Family

ID=1945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829U KR0132745Y1 (ko) 1996-05-04 1996-05-04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76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79020A1 (en) Cable slack and guid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lift device
US20070012641A1 (en) Safety device against overturning crane
US4170308A (en) Hydraulic function disconnect means
CN108995767B (zh) 一种绞车
US4462570A (en) Hoist overload limiter
SI24997A (sl) Vitel z varnostnim mehanizmom za izklop navijanja vrvi
CN109131745B (zh) 一种应急释放装置
KR0132745Y1 (ko) 크레인의 권상로프 과풀림 안전장치
SI24996A (sl) Mehansko-hidravlični sistem z varnostno napravo izklopa navijanja žične vrvi vitla pri konstantni ali spremenljivi vlečni sili
EP0661232B1 (en) A lifting device
JPS6254756B2 (ko)
CN212864010U (zh) 堆垛机用松绳和过载保护检测组件
CN212740558U (zh) 一种钻机井架起放监测装置
US5129485A (en) Home elevator load control
KR101250922B1 (ko) 크레인 및 권상장치용 과부하 방지장치
US1438674A (en) Sheave attachment
SI25933A2 (sl) Neskončno vrtljiv simetrični škripec z mehanizmom za zaustavitev navijanja vrvi na boben vitla in vitel z omenjenim škripcem
KR100506682B1 (ko) 양중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0374049B1 (ko) 윈치의 로프 텐션장치
KR200316703Y1 (ko) 양중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CN221093488U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起重结构
CN214527845U (zh) 保护装置和提升机
CN216512591U (zh) 钢丝绳松动检测机构和卷扬机
KR970001060Y1 (ko)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RU2366605C1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с ограничителем грузоподъем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