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060Y1 -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 Google Patents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60Y1
KR970001060Y1 KR2019930025049U KR930025049U KR970001060Y1 KR 970001060 Y1 KR970001060 Y1 KR 970001060Y1 KR 2019930025049 U KR2019930025049 U KR 2019930025049U KR 930025049 U KR930025049 U KR 930025049U KR 970001060 Y1 KR970001060 Y1 KR 970001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ylindrical pipe
cage
rope pulley
b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274U (ko
Inventor
조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5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060Y1/ko
Publication of KR950014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제1도는 기계실내에 기어레스권상기가 설치된 정면도.
제2도는 종래장치에 적용되는 핸들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프풀리 11 : 보울트체결공
12 : 원통형파이프 13, 14 : 보울트
19 : 베이스 20 : 힌지플레이트
22 : 고정플레이트 23 : 돌리개
24 : 핸들
본 고안은 기어레스(Gearless)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 수동상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큰 불평형(不平衡)하중을 갖는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에 긴급상황(갑작스런 정전이나 안전사고)발생시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고속운행추세에 따라 일반기어를 이용한 권상기로는 감속비의 한계가 있어 실현불가능하게 되므로 모터축에 직접 로프풀리를 고정하여 고속운행을 실현하는 기어레스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기어용권상기는 케이지와 웨이트(Weight)의 불평형하중이 감속기를 거치므로 인해 해당감속비만큼 감소되므로 긴급상황발생시 모터축을 손쉽게 회전시켜 케이지를 상승시켰지만,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는 로프풀리를 체결한 모터축이 불평형하중을 직접받게 되므로 기어용권상기에 사용되는 케이지의 수동상승장치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따라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운행중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를 강구하여야 된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상기(1)의 모터축(2)에 체결홈(3)이 형성되어 있고 모터축(2)을 회전시키는 핸들(4)에는 보울트(5)가 결합되는 스크류체결공(6)을 가진 보스(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스(7)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봉(8)이 형성되어 있어 모터축(2)의 회전시 돌출봉(8)에 레버(9)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중 긴급상황이 발생되어 케이지(도시는 생략함)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권상기(1)의 모터축(2)에 핸들(4)의 보스(7)를 끼워 보울트(5)와 체결홈(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5)를 체결하여 이들을 일체화 시킨다.
그후 권상기(1)의 브레이크를 푼다음 돌출봉(8)에 끼워진 레버(9)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로프(도시는 생략함)가 감겨져 케이지가 상승되는데, 이때 레버(9)를 회전시키는 힘은 정격하중시 작용되는 불평형하중으로 인해 모터축(2)에 작용하는 토오크(Torque)를 넘어설 수 있도록 레버(9)를 역으로 돌려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불평형하중이 크므로 인해 레버(9)를 역으로 돌리는 힘이 커져야 되었으므로 이를 위해서는 결국 레버의 길이가 길어져 작업반경이 커지게 되었고, 이에따라 한정된 기계실의 크기에 적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좁은공간에서 적은 힘으로도 불평형하중이 크게 작용되는 케이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로프풀리의 측면에 다수개의 보울트체결공을 형성하고 원통형파이프의 양단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된 한쌍의 보울트를 나사결합하여 일측의 보울트끝단을 로프풀리에 연결하고 다른일단의 보울트는 베이스에 형성된 힌지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원통형파이프를 회전시킴에 따라 보울트가 조여지거나, 풀어져 로프풀리가 회전하도록 된 기어리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도시한 첨부된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로프풀리(10)의 일측면에 다수개(약 5~8개 정도)의 보울트체결공(11)을 형성하고 원통형파이프(12)의 양단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된 한쌍의 보울트(13)(14)를 나사결합하는데, 원통형파이프(12)의 양단에는 상기 보울트(13)(14)와 대응되는 너트(15)(16)가 고정된다.
상기 원통형파이프(12)에 나사결합되는 보울트(13)(14)는 상호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있으면 되므로 상하방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을 안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보울트(13)(14)중 상측에 결합되는 보울트(13)에는 보스(17)를 고정하고 하측에 결합되는 보울트(14)에는 체결구멍(18)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어레스권상기가 설치되는 베이스(19)에 보울트(14)의 일단을 힌지결합하기 위해 힌지플레이트(20)를 고정하여 보울트(14)의 일단을 핀(21)으로 결합하고 로프풀리(10)가 위치된 직하방의 베이스(19)에는 고정플레이트(22)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2)를 베이스(19)에 설치하는 이유는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시키지 않을때 일단의 보울트(13)를 체결하여 비사용시 본 고안장치를 보관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통형파이프(12)의 둘레에 돌리개(23)를 고정하여 갈고리형상의 핸들(24)로 원통형파이프(12)를 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의 정상적인 운행시에는 수동상승장치를 사용할필요가 없게되므로 제3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보울트(13)에 고정된 보스(17)와 고정플레이트(22)의 구멍을 일치시킨다음 보울트(25)로 체결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긴급상황이 발생되어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고정플레이트(22)에서 일측의 보울트925)를 분리하여 회동시킨 다음 보스(17)의 구멍을 로프풀리(10)에 형성된 어느하나의 보울트체결공(11)과 일치시킨 후 제3도의 실선과 같이 보울트(25)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계실의 브레이크를 풀어주면 로프풀리(10)에 걸리는 불평형하중이 한쌍의 보울트(13)(14)와 원통형파이프(12)에 걸리게된다.
그후 갈고리형상으로된 핸들(24)을 원통형파이프(12)의 둘레에 고정된 돌리개(23)에 끼우고 회전시키면 원통형파이프(12)가 회전되어 상기 원통형파이프(12)에 나사결합된 한쌍의 보울트(13)(14)가 잠기거나, 풀리게 되므로 결국 로프풀리(10)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프(26)를 감아올리게 되고, 이에따라 로프(26)의 일단에 고정된 케이지가 점진적으로 상승된다.
이때 힌지플레이트(20)에 핀(21)으로 결합된 보울트(14)는 로프풀리(10)의 회전에 따라 회동운동을 한다.
이와같이 원통형파이프(12)에 나사결합된 보울트(13)(14)가 완전히 감기거나 풀릴때까지 회전시켜 케이지를 상승시키고 난 후에는 풀어놓았던 기계실의 브레이크를 다시 잡아 자중에 의해 케이지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 다음 로프풀리(10)와 결합된 보울트(25)를 푼 후 다음에 위치된 보울트체결공(11)에 보울트(25)를 결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하므로서 케이지를 원하는 위치까지 수동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장치는 로프풀리(10)와 베이스(19)사이에 비교적 길이가 짧은 원통형파이프(12)와 한쌍의 보울트(13)(14)를 연결하여 원통형파이프(12)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공간이 좁은 기계실에서 적은 힘으로도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3)

  1. 로프풀리(10)의 측면에 다수개의 보울트체결공(11)을 형성하고 원통형파이프(12)의 양단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된 한쌍의 보울트(13)(14)를 나사결합하여 일측의 보울트끝단을 로프풀리(10)에 연결하고 다른일단의 보울트는 베이스(19)에 형성된 힌지플레이트(2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원통형파이프(12)를 회전시킴에 따라 보울트(13)(14)가 조여지거나, 풀어져 로프풀리(10)가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파이프(12)의 둘레에 돌리개(23)를 고정하여 갈고리형상의 핸들(24)로 원통형파이프(12)를 회전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로프풀리(10)가 위치된 직하방의 베이스(19)에 고정플레이트(22)를 설치하여 비사용시 일측의 보울트끝단을 고정플레이트(22)에 체결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KR2019930025049U 1993-11-25 1993-11-25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KR970001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049U KR970001060Y1 (ko) 1993-11-25 1993-11-25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049U KR970001060Y1 (ko) 1993-11-25 1993-11-25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274U KR950014274U (ko) 1995-06-16
KR970001060Y1 true KR970001060Y1 (ko) 1997-02-17

Family

ID=1936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049U KR970001060Y1 (ko) 1993-11-25 1993-11-25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0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274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4760A (en) Anchor hoist with manual or motor drive
US3048371A (en) Electrically operated winch for a crane
GB2196929A (en) Hoist
KR970001060Y1 (ko) 기어레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수동상승장치
US4576363A (en) Lever-operated hoist or puller
US3165297A (en) Hoisting and pulling apparatus
US3666239A (en) Winch
EP0631973A1 (en) Manual chain block
US20220380182A1 (en) Arrangement for Aligning a Raised Load
JP2857507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の張力調整装置
US4301979A (en) Winch
US3611825A (en) Driving device for chains
CN112096047B (zh) 附着式升降脚手架
US5076544A (en) Connecting apparatus of a hoist drum
EP0131380B1 (en) Hoist
CN113896119A (zh) 一种旋转机构用锁紧装置以及浮吊旋转机构
CN215666807U (zh) 一种塔机钢丝绳放气装置
US5402986A (en) Positive drive winch
CN113148880A (zh) 一种塔机钢丝绳放气装置
CN221093488U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起重结构
CN216580894U (zh) 单辊筒液压锚机
CN212893635U (zh) 建筑领域用的卷扬机
SU1756262A2 (ru) Двухбарабанна лебедка
CN220334560U (zh) 电动控制钢丝绳旋转及制动完全释放旋转应力的松绳器
CN215516476U (zh) 绞磨的机械制动装置自复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