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213A -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213A
KR19980043213A KR1019960060996A KR19960060996A KR19980043213A KR 19980043213 A KR19980043213 A KR 19980043213A KR 1019960060996 A KR1019960060996 A KR 1019960060996A KR 19960060996 A KR19960060996 A KR 19960060996A KR 19980043213 A KR19980043213 A KR 1998004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function
conditional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최정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6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213A/ko
Publication of KR1998004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213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통화 전환 기능 보유자가 부재중이거나 통화중일 경우 또 다른 가입자가 기능 보유자에게 호를 시도시 기능 보유자가 등록한 착신 전환지로 호를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CDMA 디지털 이동망에서도 가능토록 하며, 기존의 PSTN망과 아날로그망과의 연동이 가능토록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는 단계와, 착신 가입자가 무응답이거나 통화중일 경우 착식 통화 전환 기능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식 가입자가 착신 통화 전환 기능 등록자이며,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수행하여 착신 전환 안내 방송 송출 후, 착신 전환지로 호 셋업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도 1은 일반적인 CDMA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부 착신 통환 전환 방법중 착신 무응답일 경우의 동작 설명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중 통화중일 경우의 동작 설명도
도 3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중 착신 무응답일 경우의 동작 플로우 챠트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중 통화중일 경우의 동작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동국2:기지국
3:제어국4:교환국
5:위치 등록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통화 전환 가능 보유자가 부재중이거나 통화중일 경우 또 다른 가입자가 기능 보유자에게 호를 시도시 기능 보유자가 등록한 착신 전환지로 호를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은 단말기의 파워 오프시, 통화중일 경우, 부재중일 경우 등 이동 가입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이동 가입자의 페이거(삐삐)로 전환되어 기록되거나, VMS(Voice Mail System:음성 사서함 시스템)로 전환되어 발신 가입자가 음성으로 메시지를 남길 수도 있으며, 다른 단말기나 고정 전환기로 호를 전환시킬 수 있는 기능이다.
호가 전환되는 착신전환지는 기능 보유자가 자기의 단말기로 활성화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통화 전환 기능에는 조건부 착신 통화 전원 기능과 무조건 착신 통화 기능이 있으며, 기존의 PSTN망에서는 고정 가입자에 한해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며, 고정 가입자가 무조건일 경우 다른 고정 가입자에게 호가 전환되고, 조건부일 경우 통화중일 경우나 부재중일 경우 다른 고정 가입자에게 호가 전환된다.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은 기존의 PSTN망과 CDMA 디지털 이동망에서도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기능이며,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은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등록된 이동 가입자에게만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은 기능 등록된 가입자가 자기의 단말기로 기능을 활성화하여 제공 받으며, 서비스 제공을 일시 중단하려면 다시 비활성화시키면 된다.
또한,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과 무조건 착신 통화 기능이 모두 등록되어 있을 경우 가입자가 자기의 단말기로 무조건만 활성화시키거나, 조건부만 활성화시키거나, 모두 비활성시킬 수 있으나 두가지 기능을 모두 활성화시킬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CDMA 디지털 이동망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토록 하며, 기존의 PSTN망과 아날로그 이동망과의 연동이 가능토록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은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등록된 가입자가 자기의 단말기로 *72를 입력하고 착신 전환될 전화번호의 센드 키(Send Key)를 입력하여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을 비활성화시키려면 *73과 센드 키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은 착신 가입자가 무응답일 경우, 통화중일 경우, 페이징 무 응답(Paging No Response)의 경우일 때 기능을 수행하며, 착신 전환자는 페이거, 유·무선 가입자가 모두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 근접한 기지국과 통신을 하는 이동국(1), 이동국(1)으로부터 들어오는 음성신호를 받아 변/복조를 거친 후, E1선로를 통하여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기지국(2), 기지국(2)에서 들어온 음성신호를 PCM코드로 전환하여 교환국(4)에 보내는 제어국(3) 및 위치 등록기(5)로 구성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이를 착신 무응답일 경우와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Busy)일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착신 무응답일 경우의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도 2 (가) 및 도 3 (가)와 함께 설명한다.
임의의 가입자(A)가 조건부 착신 전환 기능 보유자(B)에게 호를 시도한다(S1).
호 셋업이 성공하여 착신 가입자(B)에게 링이 송출된다.
착신 가입자(B)가 응답을 하면 통화를 하게 되며, 착신 가입자(B)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가입자일 경우에 링 송출 후, 일정시간(180초)안에 응답하지 않으면 착신 부재중 안내방송 송출 후, 호가 절단되며, 일정시간 안에 응답이 있으면 통화하게 된다(S2-S5).
착신 가입자(B)가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등록 및 활성화되어 있는 가입자일 경우에는 링 송출 후, 일정시간(15초)안에 응답하지 않으면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수행한다(S6).
일반 호처리 블록(Mobil Call Control:이하, MCC라 칭함)에서 일정시간(15초) 동안 착신 가입자가 무응답이면 착신호 통화 전환을 하기 위한 호처리 블록(Mobil Call Forwarding:이하, MCFW라 칭함)으로 착신 전환 서비스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MCC로부터 착신 전환 요구 신호를 수신 받은 MCFW는 발신 가입자(A)에게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7).
그리고 착신 전환지(C)로 호 셋업을 시작한다(S8).
호 셋업이 성공하면 최초 발신 가입자(A)와 착신 전환지(C)가 통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의 착신 통화 전환기능을 도 2 (나) 및 도 3 (나)와 함께 설명한다.
가입자(A)가 조건부 착신전환 기능 보유자(B)에게로 호를 시도한다(S11).
이때, 착신인 기능 보유자(B)가 임의의 다른 가입자(D)와 통화중인 상태일 경우(S12) 조건부 착신 전환 기능 보유자(B)에게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거나 기능 보유자가 아닐 경우 비지 톤(Busy Tone)이 송출되고 호가 절단되며, 통화중이 아닐 경우 통화하게 된다(S13-S15).
조건부 착신 전환 기능 보유자(B)에게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발신 MCC프로세스에서 MCFW로 착신 전환 서비스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수행한다(S16).
착신 전환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받은 MCFW는 발신 가입자(A)에게 착신 전환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17).
그리고 착신 전환지(C)로 호 셋업을 시작한다(S18).
호 셋업이 성공하면 최초 발신 가입자(A)와 착신 전환지(C)가 통화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은 사용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임의의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착신 가입자가 무응답일 경우 착신 통화 전환 가능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 가입자가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기능 등록자이며,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 링송출 후 일정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착신 전환 안내 방송 송출 후, 착신 전환지로 호 셋업을 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가입자이면 링 송출 후 일정 시간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부재중 안내방송 송출후, 호가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3. 임의의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 통화 전환 기능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 가입자가 착신 통화 전환 기능 등록자일 경우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을 수행하여 착신 전환 안내 방송 송출 후, 착신 전환지로 호 셋업을 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 가입자가 착신 통화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거나 착신 통화 전환 기능 보유자가 아닐 경우 비지 톤이 송출되고 호가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KR1019960060996A 1996-12-02 1996-12-02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KR19980043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996A KR19980043213A (ko) 1996-12-02 1996-12-02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996A KR19980043213A (ko) 1996-12-02 1996-12-02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213A true KR19980043213A (ko) 1998-09-05

Family

ID=6647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996A KR19980043213A (ko) 1996-12-02 1996-12-02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2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70B1 (ko) * 1998-12-29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70B1 (ko) * 1998-12-29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0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coming directory number when multiple directory numbers are assigned to one wireless device
JP3194571B2 (ja) 電話システムの発呼者を被呼者に接続する方法
EP095963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ming call rejection
JPH05153255A (ja) 通信システム内で用いられる信号通報処理装置及び方法
EP0604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point to telepoint calling between pager equipped handsets
JPH0865749A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H10506244A (ja) セルラ電話機並びに音声チャンネルを発信元電話機との間に音声通信を設立することなく開設するための関連する方法
EP1044555A1 (e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during call establishment
EP0876043A2 (en) Enhanced voice mai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t
KR20060105597A (ko)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동작 방법
US8116443B1 (en) Automatic callback and caller ID method and system
KR20030025046A (ko) 전화기의 부재중 착신 전화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제공하는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321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조건부 착신 통화 전환 방법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1998004321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조건 착신 통화 전환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JP200120407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式および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KR100251721B1 (ko) 착신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씨티-2착신정합교환시스템및그제어방법
JP4183147B2 (ja) 通信端末、制御方法
JPH0964983A (ja) Isdn中継線による付加情報転送サービス方法
KR100574354B1 (ko)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KR98000706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20020068436A (ko)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번호에 따른 착신전환방법
KR20040008839A (ko) 사설 교환망을 통해 통화중인 단말에 대한 공중망 착신 호처리 방법
KR10054786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착신호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