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458U -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458U
KR19980042458U KR2019960055562U KR19960055562U KR19980042458U KR 19980042458 U KR19980042458 U KR 19980042458U KR 2019960055562 U KR2019960055562 U KR 2019960055562U KR 19960055562 U KR19960055562 U KR 19960055562U KR 19980042458 U KR19980042458 U KR 19980042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idle roll
guide plate
holder
ro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7171Y1 (ko
Inventor
송병호
이충곤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5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1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4Loop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재의 생산을 위하여 그 선재에 상하로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이를 진행경로상의 좌우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안내판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재를 안내하는 안내판(10)(10')은 설비의 프레임(20)상에 선재의 진입측에 보울트부재(70)를 중심으로 수평회전가능하고 선재의 출측에 설치되는 보울트부재(71)는 상기 보울트부재(70)에 대한 원호형상의 구멍(12)에 끼워지며, 안내판(10)(10') 외측의 상하에 고정형성된 브라켓(13)에는 축(32)이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축(32)에는 중공원통형 홀더(30)와, 상기 홀더(3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막대형상의 아이들롤 지지대(40)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홀더(30)의 하부 외측에는 안내판(10)과 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된 암나사형성부재(60)(62)에 나사결합된 나사축(64)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판(66)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40)의 선재 출측 단부에는 아이들롤(50)이 수직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40)의 홀더(30) 좌우측에 형성되어 그 아이들롤 지지대(4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42)에는 그 선단부가 안내판(10)에 접촉하도록 된 조절나사(44)(45)가 각각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본 고안은 선재를 생산하기 위한 선재압연설비에서 선재에 발생되는 장력이 생산된 선재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 선재의 이송경로를 곡선화하도록 된 루퍼(Loop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재의 생산을 위하여 그 선재에 상하로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이를 진행경로상의 좌우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안내판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직한 지지롤을 설치하여 선재의 이탈을 긁힘없이 방지함으로서 선재 루프에 의한 경로를 적정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재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긁힘등의 불량요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도록 된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재압연이란, 가열로를 통과한 소재인 빌렛트(Billet)를 직경이 5.5mm-13mm 정도인 선재로 압연하여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선재의 생산과정은 압연을 거치면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신되고 반면에 직경방향으로는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압연을 위한 스탠드와 스탠드 사이에서 선재에 장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따라서 선재가 압연과정에서 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력으로 인하여 선재의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선재에 가해지는 장력발생조건을 적절하게 제거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장치를 루퍼(Looper)라고 한다.
이는 선재의 경로를 상하로 변화시켜 장력을 제어하는 업(Up) 루퍼, 언더(Under) 루퍼 및, 선재의 경로를 수평면상에서 좌우로 변화시켜 장력을 제어하는 사이드(side) 루퍼가 있으며, 본 고안은 선재압연기에서 중간사상을 위한 업루퍼에 대한 것이다.
상기 업루퍼에 대한 대략의 설비가 도 1에 도시되는바, 이는 선재(140)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110)에 의하여 일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루핑이 필요한 적정개소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그 선재의 경로를 상부측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상하승강지지롤(130)이 설치되며, 상기 상하승강지지롤(130)에 의하여 상승하는 선재(140)를 상부측에서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루퍼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롤(120)(122)이 상기 상하승강지지롤(130)의 선재(140) 이동에 대한 전방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하승강지지롤(130)의 상하승강정도에 따라서 선재(140)에는 적절한 루퍼가 형성되어 그에 가해지던 장력을 압연에 적합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상하승강지지롤(13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경로가 변화하는 선재(140)가 수평상에서 좌우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안내장치가 상기 상하승강지지롤(130)의 후방측으로 설치되는바, 이러한 종래의 안내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재(140)의 이동방향에 대한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안내판(210)(210')을 가지며, 상기 안내판(210)(210')은 상하로 수직하게 적정한 정도(즉, 선재(140)가 업루퍼를 위하여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추어 설비의 프레임(220)상에 보울트부재(230) 등을 매개로 고정되어지고, 또한 상기 안내판(210)(210')의 선재(140) 입측 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그 사이로 진입하는 선재(1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내장치(200)에 있어서는 선재(14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210)(210')이 설비의 프레임(2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어서 선재(140)에 좌우방향으로의 경로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안내판(210)(210')의 내표면에 마찰되어 긁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선재(140)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안내판(210)(210')을 파손시켜 업루퍼를 위한 안정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즉, 선재생산에 대한 생산성 저하 및 제품품질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재의 압연 발생시에 발생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연신과 그에 따른 장력발생을 압연에 적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그 선재의 이동경로를 상부측으로 변화시키는 업루퍼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선재를 안내하는 안내장치의 안내판과 선재가 서로 마찰에 의하여 긁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업루퍼 설비의 안정된 운용이 가능하고 생산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업루퍼 설비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선재 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에 갖추어지는 선재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안내판11:절곡면
12:원호형 구멍13:브라켓
20:프레임30:홀더
32:축34:브라켓
40:아이들롤 지지대42:연결대
44,45:조절나사50:아이들롤
60,62:암나사형성부재64:나사축
70,71:보울트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상하방향으로 적정한 높이를 가지며 선재의 이동에 대한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된 안내판을 가지는 선재의 업루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은 설비의 프레임상에 선재의 진입측에 보울트부재를 중심으로 수평회전가능하게 선재의 출측에 설치되는 보울트부재는 상기 보울트부재에 대한 원호형상의 구멍에 끼워지며, 안내판 외측의 상하에 고정형성된 브라켓에는 축이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축에는 중공원통형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막대형상의 아이들롤 지지대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부 외측에는 안내판과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암나사형성부재에 나사결합된 나사축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의 선재 출측 단부에는 아이들롤이 수직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의 홀더 좌우측에 형성되어 그 아이들롤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에는 그 선단부가 안내판에 접촉하도록 된 조절나사가 각각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재의 업루퍼설비의 상하승강지지롤(130) 후방측에 설치되어 선재의 좌우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선재가 안정적으로 압연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장치(1)는, 선재(140)의 이동방향에 대한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안내판(10)(10')을 가지며, 상기 안내판(10)(10')은 상하로 수직하게 적정한 정도(즉, 선재(140)가 업루퍼를 위하여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추어 설비의 프레임(20)상에 보울트부재(70) 등을 매개로 장착되어지고, 또한 상기 안내판(10)(10')의 선재(140) 입측 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그 사이로 진입하는 선재(1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대략의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안내판(10)(10')(이러한 안내판(10)(10') 구조는 서로 대칭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안내판(1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의 하단부에 서로의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서 프레임(20)상에 놓여지고 보울트부재(70)(71)가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절곡면(11)을 형성하며, 이러한 절곡면(11)은 보울트부재(71)가 체결되는 부위에 다른 보울트부재(70)가 체결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구멍(12)을 형성함으로서 안내판(10)이 보울트부재(7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10)의 수직부 외표면에는 상하에 브라켓(13)이 형성되고, 이러한 브라켓(13)에는 대략의 중곡원통형으로 된 홀더(Holder)(30)가 회전축(3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또한 그 회전축(32)에는 홀더(30)의 상하부측에 아이들롤 지지대(40)의 대략의 중앙부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40)는 서로 수직한 연결대(42)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선재 배출부측 단부에는 선재와의 접촉시 공회전하면서 그 선재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아이들롤(50)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며, 홀더(30)에 대한 좌우측에 위치하는 연결대(42)의 대략의 중앙부에는 안내판(10)측으로 향하여 전후진되도록 조절나사(44)(45)가 각각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고,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44)(45)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아이들롤 지지대(40)가 축(32)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서 아이들롤(50)의 위치를 도 4에 도시한 실선과 점선이 나타내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30)의 하부측에는, 안내판(10)의 절곡면(11)에 설치된 암나사형성부재(60)와, 프레임(20)에 설치된 암나사형성부재(62)에 각각 나사결합으로 체결됨으로서 안내판(10)측으로 가까워지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된, 나사축(64)의 선단부의 원판(66)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브라켓(34)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64)의 타단부에는 핸들(68)을 갖춤으로서 그 나사축(64)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장치는 선재가 안내판(10)(10') 사이로 통과하고, 업루퍼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그 선재가 일정폭 내의 공간에서 유지하도록 안내하게 되는바, 우선 나사축(64)을 핸들(68)에 의하여 회전시켜 그 선단부에 연결된 홀더(30)를 밀게 되면 안내판(10)(10')은 보울트부재(70)를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선재배출부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계속하여 조절나사(44)를 그 선단부가 안내판(1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조절나사(45)는 그 선단부가 안내판(10)을 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이들롤지지대(40)는 아이들롤(5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축(32)을 중심으로 더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안내판(10)(10')이 선재 출측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접근하는 상태로 그 위치가 설정되고, 아이들롤(50)은 상기한 상태에 있는 안내판(10)(10')의 출측 단부의 내표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서 선재가 진입하여 좌우방향으로 치우지는 경우에 아이들롤(50)이 그와 접촉하여 공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선재는 물론 안내판(10)(10')이 파손되지 않아 설비의 운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또한 선재의 품질을 양호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에 의하면, 업루퍼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선재의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재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안내판이 선재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접근하도록 하고, 그 출측 단부에는 안내판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되어 공회전하도록 아이들롤을 설치함으로서 선재가 안내판에 접촉하지 않고 아이들롤에 접촉하여 서로의 파손이 방지되며, 따라서 선재의 업루퍼 설비의 가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그 가동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선재에 마찰에 의한 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 품질을 향상시키는 실용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상하방향으로 적정한 높이를 가지며 선재의 이동에 대한 좌우측에 서로 대칭하도록된 안내판을 가지는 선재의 업루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0)(10')은 설비의 프레임(20)상에 선재의 진입측에 보울트부재(70)를 중심으로 수평회전가능하고 선재의 출측에 설치되는 보울트부재(71)는 상기 보울트부재(70)에 대한 원호형상의 구멍(12)에 끼워지며, 안내판(10)(10') 외측의 상하에 고정형성된 브라켓(13)에는 축(32)이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축(32)에는 중공원통형 홀더(30)와, 상기 홀더(3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막대형상의 아이들롤 지지대(40)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홀더(30)의 하부 외측에는 안내판(10)과 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된 암나사형성부재(60)(62)에 나사결합된 나사축(64)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판(66)이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40)의 선재 출측 단부에는 아이들롤(50)이 수직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롤 지지대(40)의 홀더(30) 좌우측에 형성되어 그 아이들롤 지지대(4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42)에는 그 선단부가 안내판(10)에 접촉하도록 된 조절나사(44)(45)가 각각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KR2019960055562U 1996-12-24 1996-12-24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KR200187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562U KR200187171Y1 (ko) 1996-12-24 1996-12-24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562U KR200187171Y1 (ko) 1996-12-24 1996-12-24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58U true KR19980042458U (ko) 1998-09-25
KR200187171Y1 KR200187171Y1 (ko) 2000-07-01

Family

ID=1948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562U KR200187171Y1 (ko) 1996-12-24 1996-12-24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1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30B1 (ko) * 2001-09-14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0812154B1 (ko) * 2001-11-13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루퍼형상 자동제어장치
KR2011007733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30B1 (ko) * 2001-09-14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0812154B1 (ko) * 2001-11-13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루퍼형상 자동제어장치
KR2011007733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171Y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7171Y1 (ko)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KR100258660B1 (ko) 조강재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77563A (ko) 조정가능한하강장치
US5709119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controlled formation of rolling stock loops
JPH07204725A (ja) 棒線材の圧延ローラーガイド
KR20040080760A (ko) 통판성을 향상시킨 열연소재 가이드장치
KR101118289B1 (ko) 경사롤러형 사이드가이드 장치
KR20060018302A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JP2854205B2 (ja) 棒材巻取装置用の巻取材横送り装置
KR200155911Y1 (ko) 선재설비의 사이드루퍼 긁힘 방지장치
KR20040026873A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가이드
CN212953188U (zh) 一种段差机的可调式支架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CN113042694B (zh) 一种高可控性球化喂丝设备
CN214391658U (zh) 一种锡丝拉伸机
CN219541346U (zh) 一种可调节式的出钢辊道导向装置
KR102379572B1 (ko) 업 루퍼 장치
KR19990010262U (ko) 선재압연의 중간 사상에 사용되는 푸쉬암 롤러 조정장치
US2752798A (en) Take-up mechanism
KR20040092873A (ko)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KR200155912Y1 (ko) 선재설비의 자동루퍼 제어장치
US2949723A (en) Apparatus for curling thermoplastic threads
CN115090688A (zh) 一种规避立活套内料型抖动的控制方法
KR100506346B1 (ko) 바-인 코일 핀치롤 입구 가이드 제어장치
SU7514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дотвращени распушивани рулон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