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873A -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873A
KR20040092873A KR1020030027296A KR20030027296A KR20040092873A KR 20040092873 A KR20040092873 A KR 20040092873A KR 1020030027296 A KR1020030027296 A KR 1020030027296A KR 20030027296 A KR20030027296 A KR 20030027296A KR 20040092873 A KR20040092873 A KR 2004009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
deck
tension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용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873A/ko
Publication of KR2004009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4Loop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어용접기를 거친 후 진행하는 스트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장력 스트립의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데크 상에 설치되어 스트립 하부에 놓여지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 상부에 중앙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 이 작동바의 일측 선단에 스트립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 바로 밑에 놓여지는 감지롤, 상기 작동바 선단과 수평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감지롤을 스트립 하부에 가압하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 타측 선단 밑에 위치하여 작동바에 의해 눌려지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스트립의 처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데크 하부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트립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고정롤과, 이 고정롤 위쪽에서 스트립 전면에 위치하는 구동롤, 이 구동롤의 회전축에 설치된 브라켓에 연결되어 구동롤을 스트립에 가압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스트립의 장력을 유지시켜 처짐을 보상하기 위한 처짐보상부를 포함하는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droop of strip}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제조라인상에 설치되어 스트립을 연속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력이 없는 상태의 박판 스트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장력 스트립의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트립 생산공정에서 예컨데, 스테인레스 박판을 생산하기 위한 광휘소둔라인의 경우 연속적인 작업을 위해 선행코일과 후행코일을 연결하게 된다.
즉, 광휘소둔라인의 입측에는 시어용접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선행코일의 작업이 끝나게 되면 후행코일이 진입하여 선행코일의 끝단과 후행코일의 선단을 바르게 절단한 후 용접으로 연결하여 계속 라인을 진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광휘소둔라인의 입측을 도시한 도면으로, 스트립은 시어용접기(100)를 거쳐 디프렉트롤(110)을 통과한 후 다수개의 서포트롤(120)에 지지되어 광휘소둔로 전의 탈지설비로 진입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선,후행 코일의 스트립 끝단과 선단을 연결한 후 급작스런 스트립 진행으로 스트립이 처지거나 일측으로 쏠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즉, 선,후행코일의 스트립(150) 연결시 상기 디프렉트롤(110)에는 누름롤(111)이 스트립을 밀착하고 있어서 선행코일 스트립의 장력을 유지하게 되는 데, 선,후행코일의 스트립 끝단과 선단을 절단하고 시어용접기(100)로 용접 한 후 스트립 진행을 위해 상기 누름롤(111)을 디프렉트롤(110)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시어용접기와 디프렉트롤 사이에서 원활한 용접을 위해 루핑되어 있던 스트립(150)이 갑자기 진행되면서 스트립 처짐과 쏠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이 디프렉트롤에서 일측으로 쏠려 진행하는 경우 스트립의 파단이나 심한 경우 절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스트립이 처짐에 따라 스트립 하부가 설비에 마찰되면서 스트립 표면에 마찰흠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어용접기를 거친 후 진행하는 스트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장력 스트립의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어용접기를 거친 후 스트립 진행시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장력 스트립의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의 일부 구성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용접기 후단에서 스트립이 처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평부재 11 : 작동바
12 : 감지롤 13,34 : 스프링
14 : 로드셀 17 : 투광기
18 : 수광기 20 : 고정롤
21 : 구동롤 22 : 구동실린더
30 : 아이들롤 31 : 댄스롤
40 : 베이스부재 42 : 밀착롤
43 : 작동실린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립이 진행하는 서프트롤 사이에 위치하여 스트립의 처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이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스트립의 장력을 유지시켜 처짐을 보상하기 위한 처짐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는 스트립 하부에 위치하여 스트립 처짐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짐보상부는 스트립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트립이 일측으로 쏠린 경우 이를 바로 잡기 위한 교정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의 일부 구성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는 광휘소둔로라인을 예로 설명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페이오프릴로부터 풀려나온 스트립은 라인을 따라 시어용접기(100)를 통과한 후 디프렉트롤(110)과 상부의 스티어링롤(140) 사이의 수직구간을 거치고 다수개의 서포트롤(120)이 설치된 수평구간을 지나 광휘소둔로 입측에 설치된 탈지설비로 보내지게 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상기 수평구간의 데크(160) 상에 설치되어 스트립(150) 처짐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수직구간의 서포트롤(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의 스트립 처짐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스트립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처짐보상부 및 상기 데크(16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롤(140)을 회동시켜 스트립의 쏠림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짐보상부는 상기 데크(16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짐보상부 작동에 의한 스트립 가압력을 적절하게 완충시켜주기 위한 텐션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따라서 디프렉트롤(110)에 밀착되어 있던 누름롤(111)이 디프렉트롤(110)로부터 개방되면서 스트립에 장력이 해제되면 스트립(150)이 처지게 되고 이는 곧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되어 이를 확인한 컨트롤러의 출력신호에 따라 처짐보상부가 제어작동되어 스트립을 눌러줌으로써 스트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검출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60) 상에 설치되어 스트립 하부에 놓여지는 수평부재(10)와, 수평부재(10) 상부에 중앙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11), 이 작동바(11)의 일측 선단에 스트립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 바로 밑에 놓여지는 감지롤(12), 상기 작동바(11) 선단과 수평부재(1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감지롤(12)을 스트립 하부에 가압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3), 상기 수평부재(1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11) 타측 선단 밑에 위치하여 작동바(11)에 의해 눌려지는 로드셀(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립(150)의 장력이 풀리게 되면 탄성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감지롤(12)이 밀려올라가면서 작동바(11)가 회동되어 작동바(11) 선단이 로드셀(14)을 누르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15)는 수평부재(10)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11)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스트립의 쏠림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수평부재(10)에 연장되어 스트립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구조물(16)과, 이 프레임구조물(16)에 스트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향설치되는 투광기(17)와 수광기(18)를 포함한다.
이에 투광기(17)로부터 발사된 빛은 수광기(18)에 검출되고 이 수광기(18)의검출신호를 통해 스트립의 쏠림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짐보상부는 데크(160) 하부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직구간을 통과하는 스트립(150)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고정롤(20)과, 고정롤(20) 위쪽에서 스트립 전면에 위치하는 구동롤(21), 이 구동롤(21)의 회전축에 설치된 브라켓(23)에 연결되어 구동롤(21)을 스트립에 가압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22)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22)가 신장작동되면 구동롤(21)이 스트립 전면을 누르게 되고 스트립은 고정롤(20)과 구동롤(21)에 의해 엇갈린 상태로 휘어져 진행하게 되어 휘어진 양만큼의 길이가 당겨져 처진 스트립을 팽팽하게 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수단은 구동롤(21)의 작동에 의해 너무 심하게 텐션이 걸려 스트립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구간에서 스트립(150)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아이들롤(30)과, 이 아이들롤(30) 사이에서 스트립 상부에 놓여져 스트립에 루프를 가하는 댄스롤(31), 이 댄스롤(31)의 축선단에 수직설치되는 가이드바(32), 상기 데크(160)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더(33), 사기 가이드바에 끼워져 가이드홀더와 댄스롤(31)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지지스프링(3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아이들롤(30)과 댄스롤(31)에 의해 스트립(150)이 루프진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구동롤(21)이 스트립을 눌러 스트립에 급격한 텐션이 걸리는 경우, 상기 지지스프링(34)에 의해 댄스롤(31)이 상하 유동되면서 스트립에 걸린 장력을 적당히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교정부를 살펴보면 스티어링롤(140)을 회동시킴으로써 스트립의 쏠림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160)상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부에는 스티어링롤(140)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40), 이 베이스부재(40)에 설치되어 스티어링롤(140)을 향하는 밀착실린더(41), 이 밀착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티어링롤(140)에 밀착되는 밀착롤(42), 상기 데크(16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40)에 연결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부재(40)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43)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선코일이 모두 풀려나가면 후코일의 스트립을 라인으로 진행시켜 선코일의 스트립 후단(150)과 후코일의 스트립 선단(151)을 시어용접기(100)를 통해 절단한 후 용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트립 절단 후 용접위치로 스트립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용접기(100)와 디프렉트롤(110)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은 루프를 형성하게 되는 데, 용접이 완료된 후 스트립 진행을 위해 시어용접기(100)의 클램프가 개방되고 디프렉트롤(110)에 스트립을 밀착시키고 있던 누름롤(111)이 후진작동되면 루프져 있던 스트립(150)이 급작스럽게 전진되면서 스트립의 처짐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스트립이 처지게 되면 본 장치가 가동되어 스트립의 장력을 원상태로 회복시키게 된다.
즉, 스트립(150)이 처지게 되면 데크(160) 상에 설치되어 있던 검출부에 스트립의 처짐상태가 검출되게 되는 데, 스트립 하단에는 감지롤(12)이 접하고 있어서 상기와 같이 스트립(150)이 처지게 되면 스트립의 자중에 의해 감지롤(12)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 감지롤(12)이 설치된 작동바(11)는 중앙의 힌지축을 기점으로 회동되고 상기 작동바(11) 하단에 놓여진 로드셀(14)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로드셀(14)의 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러는 스트립의 처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트립의 장력이 회복되면 감지롤(12)과 수평부재(1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탄성스프링(1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로드셀(14)은 원위치로 복귀되어 장력이 걸려있는 스트립 하부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스트립이 처짐이 검출되면 컨트롤러는 처짐보상부의 구동실린더(22)에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실린더(22)를 신장작동시키게 된다.
구동실린더(22)의 신장작동에 따라 구동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롤(21)이 고정롤(20) 쪽으로 이동되어 스트립을 누르게 되고, 스트립은 고정롤(20)과 구동롤(21)에 의해 엇갈린 상태로 휘어져 진행하게 되어 휘어진 양만큼의 길이가 당겨져 처진 스트립을 팽팽하게 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롤(21)의 진행으로 스트립에 기준치 이상의 장력이 부가된 경우 댄스롤(31)이 지지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스트립에 걸린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시어용접기(100)에 의한 스트립 용접후 스트립을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립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에는 본 장치의 교정부의 작동을 통해 스트립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즉, 스트립은 수광기(18)와 투광기(17) 사이를 통과하게 되므로 스트립이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수광기(18)를 스트립에 의한 빛의 차단을 통해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 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러는 스트립이 어느쪽으로 쏠렸는지를 연산하여 작동실린더(43)를 신축작동시키게 된다.
작동실린더(43)가 작동함에 따라 작동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부재(40)가 데크(160)와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에 베이스부재(40)에 설치된 스티어링롤(140)이 회동되어 스트립과의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스티어링롤(140)에 걸리는 스트립 양 측단의 텐션이 달라지게 되고 스트립은 스티어링롤(140)의 좌우로 이동되어 일측 쏠림현상이 해소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에 의하면, 스트립 진행과정에서 스트립이 처지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함으로써 스트립의 처짐을 방지할 있게 된다.
또한, 스트립 처짐에 의한 스트립의 표면 마찰흠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립 진행과정에서 스트립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트립의 파단을 방지하고 원활한 라인진행을 이룰 수 있다.

Claims (3)

  1. 데크 상에 설치되어 스트립 하부에 놓여지는 수평부재와, 이 수평부재 상부에 중앙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 이 작동바의 일측 선단에 스트립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 바로 밑에 놓여지는 감지롤, 상기 작동바 선단과 수평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감지롤을 스트립 하부에 가압하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 타측 선단 밑에 위치하여 작동바에 의해 눌려지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스트립의 처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데크 하부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트립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고정롤과, 이 고정롤 위쪽에서 스트립 전면에 위치하는 구동롤, 이 구동롤의 회전축에 설치된 브라켓에 연결되어 구동롤을 스트립에 가압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스트립의 장력을 유지시켜 처짐을 보상하기 위한 처짐보상부를 포함하는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립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아이들롤과, 이 아이들롤 사이에서 스트립 상부에 놓여져 스트립에 루프를 가하는 댄스롤, 이 댄스롤의 축선단에 수직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데크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더, 사기 가이드바에 끼워져 가이드홀더와 댄스롤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여, 스트립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트립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구조물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향배치되는 투광기와 수광기, 데크상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부에는 스티어링롤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데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광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스트립이 일측으로 쏠린 경우 이를 바로 잡기 위한 교정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KR1020030027296A 2003-04-29 2003-04-29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KR20040092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96A KR20040092873A (ko) 2003-04-29 2003-04-29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96A KR20040092873A (ko) 2003-04-29 2003-04-29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73A true KR20040092873A (ko) 2004-11-04

Family

ID=3737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96A KR20040092873A (ko) 2003-04-29 2003-04-29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8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82B1 (ko) * 2006-12-29 2008-09-0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속 투입라인 장치
KR20170088249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그 장치
CN114044396A (zh) * 2021-10-28 2022-02-15 张家港扬子江冷轧板有限公司 钢带转向夹送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82B1 (ko) * 2006-12-29 2008-09-0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속 투입라인 장치
KR20170088249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그 장치
CN114044396A (zh) * 2021-10-28 2022-02-15 张家港扬子江冷轧板有限公司 钢带转向夹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444B1 (ko) 연속주조 스트립의 압연장치와 압연방법
US4598849A (en) Web guiding and decurling apparatus
RU239116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от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на навивочную оправку
US5478027A (en) Web unwinding apparatus and method
MXPA02002177A (es) Aparato y metodo para enrollar material de hoja comprimible.
US5209418A (en) Web unwin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92873A (ko) 무장력 스트립 처짐 방지장치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CA1317327C (en) Apparatus for correctly feeding continuous strips with a shaped side outline to blanking machines
JP6311340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媒体の弛み量及び蛇行の把握方法
JPS61277559A (ja) シート材積重ね機械
JPS61255714A (ja) 圧延装置
KR200168893Y1 (ko) 강판 연결부의 센터링 장치
US5622330A (en) Self-adjusting feed stock accumulator system
US3610494A (en) Strip steering roll assembly
JP3111760U (ja) 高速プレスの薄板用コイル材供給装置
JPH05213502A (ja) 薄ウエブの蛇行修正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75038A (ko) 스트립 사행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44331B1 (ko) 소재 상향 제어 장치
KR200299443Y1 (ko) 밍크담요 제직기의 원사공급용 장력 자동조절장치
JPH08197138A (ja) 金属帯の蛇行制御装置
KR20050017273A (ko)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US5794317A (en) Non-marking spreader for tubular knitted fabric
KR100515616B1 (ko) 스트립 텐션 조절장치
KR100761740B1 (ko) 스트립 센터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