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335A -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335A
KR20110077335A KR1020090133875A KR20090133875A KR20110077335A KR 20110077335 A KR20110077335 A KR 20110077335A KR 1020090133875 A KR1020090133875 A KR 1020090133875A KR 20090133875 A KR20090133875 A KR 20090133875A KR 20110077335 A KR20110077335 A KR 2011007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wire rod
roller
shaf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878B1 (ko
Inventor
김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8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와, 정상 압연되는 소재의 불량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크롭 블레이드와 코블 발생 시 소재를 절단하여 스크랩처리하기 위한 쵸핑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로터리 절단기와, 상기 압연기에서 나온 소재를 크롭 블레이드 또는 쵸핑 블레이드로 안내하는 디플렉터를 구비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양측에 구비된 안내벽과, 상기 각 안내벽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각 회전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 지지홀더와, 상기 각 롤러 지지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함으로써 디플렉터의 동작 시 소재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소재, 압연, 압연기, 디플렉터, 절단기, 블레이드

Description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Deflector of Apparatus Rolling Wire Rod}
본 발명은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플렉터에서 소재에 추진력을 제공하고 소재의 마찰도 방지할 수 있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압연은 정사각형 빌레트를 소재로 초기에 박스형 공형압연을 거친 후 타원(Oval)과 라운드(Round)형상의 공형압연 공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소정의 라운드형상 선재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면이 160x160mm인 빌레트 소재를 가열로에서 빌레트의 종류에 따라서 선재압연이 가능한 940~1200℃로 가열한 후 압연을 수행한다.
이러한 압연과정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압연, 사상압연의 연속 압연을 거쳐 직경이 약 5.5~42mm인 선재제품을 생산하게 되고, 이후 냉각, 권취, 열처리, 제품검사, 평량 및 제품을 창고에 적재하는 등의 일련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선재압연의 초기과정에 있어서, 박스형 공형압연 후 타원의 공형압연과 라운드형상의 공형압연을 거치는 동안 소재의 선단부(Top) 및 후단부(Tail)에는 압연과 과냉 등으로 인한 형상불량 또는 흠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불량부분으로 인하여 소재가 다음 압연기로 치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소재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절단하게 된다.
한편 생산 라인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소재의 전체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에는 소재를 전량 잘게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재 전량을 절단한 것을 코블 스크랩(Cobble Scrap)이라 한다.
선재 압연장치에는 이와 같이 압연소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가 설치된다.
도 2는 조압연 단계에서 소재를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터리 절단기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절단기(10)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2)를 가지는 2개의 회전체(11a,11b)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2개의 회전체(11a,11b) 사이에 소재(1)가 위치한 상태에서 2개의 회전체(11a,11b)가 회전하여 2개의 블레이드(12) 사이에 소재(1)가 삽입되면 소재(1)는 절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절단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크롭 블레이드(Crop Blade: 12a)는 상부 회전체(11a)와 하부 회전체(11b)에 각각 한 개씩 부착되어 회전체(11a,11b)가 1회전할 때 1번의 블레이드 맞물림이 일어나게 된다.
쵸핑 블레이드(Chopping Blade:12b)는 상부 회전체(11a)와 하부 회전체(11b)에 각각 크롭 블레이드(12a)와 나란히 붙은 2개의 블레이드가 더 부착됨으로 회전체(11a,11b)가 1회전할 때 3번의 블레이드 맞물림이 일어나게 되어 소재(1)가 잘게 잘려지게 된다.
즉, 크롭 블레이드(12a)는 일반적으로 소재(1)가 정상 압연될 때 소재(1)의 선단 및 후단만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생산 라인에 장애가 발생하여 소재(1)의 쵸핑이 필요할 경우 길게 이어진 소재(1)를 1번 절단하여 소재(1)가 쵸핑 라인으로 이동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상술한 로터리 절단기(1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절단기(10)가 소재(1)의 선단부분을 절단할 경우 소재(1)가 압연기(18)를 지날 타이밍에 가동을 시작하며, 파이프 타입의 출구 가이드(19)를 지난 다음 일자 형태로 놓여진 디플렉터(Deflector:14) 통과하게 된다.
이때 압연기(18)에서 소재(1)를 방출하는 추진력으로 소재(1)는 로터리 절단기(10)의 맞물림 포지션에 위치하게 된 후 절단되며, 절단을 이룬 크롭 블레이드(12a)는 회전하게 되어 다시 벌어지게 된다.
그 후 절단된 소재(1)는 블레이드(12)의 간섭 없이 로터리 절단기(10)를 통과하여 입구가 넓고 출구는 좁은 사각 판넬가이드(23)로 진행한 후 다음 압연기로 안내된다.
한편 디플렉터(14)는 공압 실린더(15)를 구비하며 입구측에는 디플렉터의 회전 시 회전축이 되는 핀(17)이 배치되고, 출구측에는 레일 베이스(16)에 형성된 안내홈(16a)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16a)을 따라 움직이는 돌기(미도시)을 구비한다.
소재(1)의 쵸핑(Chopping) 작업이 필요할 경우 운전자가 신호를 투입하게 되면 로터리 절단기(10)를 지나는 소재(1)를 크롭 블레이드(12a)가 먼저 절단하도록 지연 시간을 부여해준 뒤 디플렉터(14)가 쵸핑 라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공압 실린더(15)가 디플렉터(14)를 밀어 주면 디플렉터(14)는 핀(1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디플렉터(14)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는 레일 베이스(16)에 형성된 안내홈(16a)에 안내됨으로써 디플렉터(14)의 회전 방향이 안내된다.
회전축이 되는 핀(17)을 중심으로 회전한 디플렉터(14)는 이동하는 소재(1)를 쵸핑 블레이드(12b)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안내하게 되고 쵸핑 블레이드(15b)는 불량이 발생한 소재(1) 전량을 잘게 절단하여 처리하게 된다.
도 5는 선재 압연장치의 라인에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 압연 진행 중인 소재(1)를 잘게 절단하여 처리하기 위해 쵸핑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디플렉터(14)가 소재(1)를 밀어낼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쵸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로터리 절단기(1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디플렉터(14)가 핀(17)을 중심으로 회전한 경우 로터리 절단기(10)의 전방에 위치한 압 연기(18) 출구에 위치한 출구 가이드(19)의 내측에서 소재(1)가 휨에 따라 마찰(A)이 발생하여 소재(1)가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디플렉터(14)에도 소재(1)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마찰(B,C)이 발생하여 쵸핑 작업을 이룰 때 소재(1)가 ‘나’와 같은 찍힘 상태로 압연될 앞쪽 소재에 붙어 이동되어 다음 압연기를 통과 중에 일부가 떨어짐으로써 압연기에 장애를 유발시킨다.
또한 ‘가’와 같이 이상 상태로 잘려진 크롭이 디플렉터(14) 내부에 잔존하면서 2개의 소재가 함께 이동하여 쵸핑 블레이드(12b)에 동시에 진입하게 되면 쵸핑 블레이드(12b)와 로터리 절단기(1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소재(1)가 절곡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 가운데 절단해야 할 소재 끝 부분이 압연기(18)를 벗어날 상황에선 소재(1)의 추진력이 적으므로 디플렉터(14)에 걸쳐진 소재(1)는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플렉터(14)에 걸쳐진 소재(1)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쵸핑 블레이드(12b)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선재 압연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킨 후 무겁고, 고열인 소재를 갈고리로 인출해주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쵸핑 작업을 위해 디플렉터의 회전 시 소재가 디플렉터와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재에 추진력을 제공함으로써 선재가 잘못된 길이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와, 정상 압연되는 소재의 불량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크롭 블레이드와 코블 발생 시 소재를 절단하여 스크랩처리하기 위한 쵸핑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절단기와, 상기 압연기에서 나온 소재를 크롭 블레이드 또는 쵸핑 블레이드로 안내하는 디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양측에 구비된 안내벽과, 상기 각 안내벽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각 회전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 지지홀더와, 상기 각 롤러 지지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출입하는 샤프트와, 상기 홀에서 상기 샤프트를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각 샤프트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로켓과,이웃하는 2개의 이중 스프로켓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하나의 샤프트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연기에서 압연된 소재가 상기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양측 회전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축을 구비하는 메인 작동바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일측은 상기 메인 작동바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보조 작동바와, 일측은 상기 메인 작동바의 단부에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공압 실린더에서 출입하는 구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에 의하면, 디플렉터가 쵸핑 라인으로 소재를 안내하기 위해 회전하더라도 소재가 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재가 디플렉터 등과 큰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소재가 롤러와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소재에 추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소재가 잘못된 길이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선재 압연장치 및 상기 선재 압연장치에 구비되는 디플렉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선재 압연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종래의 선재 압연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기(18)와, 정상 압연되는 소재의 불량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크롭 블레이드(12a)와 코블 발생 시 소재(1)를 절단하여 스크랩처리하기 위한 쵸핑 블레이드(12b)를 구비하는 절단기(10)와, 상기 압연기(18)에서 나온 소재(1)를 크롭 블레이드(12a) 또는 쵸핑 블레이드(12b)로 안내하는 디플렉터(14)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에 구비되는 디플렉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디플렉터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만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플렉터(14)는 양측에 구비된 안내벽(14a,14b)과, 상기 각 안내벽(14a,14b)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36)와, 상기 각 회전 플레이트(36)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 지지홀더(37)와, 상기 각 롤러 지지홀더(3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41)를 구비한다.
회전 플레이트(36)를 안내벽(14a,14b)에 힌지 결합시키기 위해 안내벽(14a,14b)에는 지지 브라켓(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21)에 회전 플레이트(36)의 일측이 위치한 상태에서 핀(40)이 회전 플레이트(36)의 일측을 관통함으로써 회전 플레이트(36)는 지지 브라켓(21)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36)에는 롤러(41)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지지홀더(37)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 지지홀더(37)는 회전 플레이트(36)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38-1)에 체결 핀(38)을 체결함으로써 쉽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지지홀더(37)는 사각 형태의 인서트 블록(50)과, 상기 인서트 블록(50)의 내부에 내장되는 오일리스 부싱(51)과, 후술할 롤러(41)의 샤프트(33)를 고정하는 너트(5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롤러 지지홀더(37)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41)는 소재(1)의 굵기와 같은 공형(Groove)을 가진다.
이와 같은 롤러(41)를 롤러 지지홀더(37)에 조립하기 쉽도록 롤러(41)의 내부에 형성된 홀(37-1)을 출입하는 샤프트(33)와, 상기 홀(37-1)에서 상기 샤프트(33)를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스프링(39)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3)를 누른 상태에서 롤러(41)를 롤러 지지홀더(37)에 위치시키고 샤프트(33)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샤프트(33)가 롤러 지지홀더(37)에 형성된 오일리스 부싱(51) 내부로 삽입된 후 너트(52)에 의해 고정되므로 롤러(41)를 롤러 지지홀더(37)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36)에 설치되는 롤러(41)를 구비함으로써 디플렉 터(14)가 쵸핑 라인으로 선재를 안내하기 위해 회전하더라도 소재(1)가 디플렉터(14)에 큰 마찰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 회전 플레이트(36)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롤러(41)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9)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29)는 상기 롤러(41)의 샤프트(33)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로켓(30)과, 이웃하는 2개의 이중 스프로켓(30)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31)과, 하나의 샤프트(33)와 체인(31)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압연기(18)에서 압연된 소재(1)가 상기 복수개의 롤러(41)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29)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양측 회전 플레이트(36)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간격 조절 수단(42)을 구비한다.
도 8은 디플렉터(14)에 구비되는 양측 회전 플레이트(36)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간격 조절 수단(42)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 수단(42)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36)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축(48)을 구비하는 메인 작동바(47)와, 상기 회전축(48)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일측은 상기 메인 작동바(47)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36)와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보조 작동바(46)와, 일측은 상기 메인 작동바(47)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공압 실린더(45)에서 출입하는 구동바(49)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선재 압연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생산 라인에 장애가 발생 시 발생된 상황의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연 진행 중인 소재(1)를 잘라 없애기 위해 운전자가 로터리 절단기(10)에 절단 신호를 넣게 된다. 이때 로터리 절단기(10)는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정상 작업된 소재(1)는 상, 하 크롭 블레이드(12a)가 서로 맞물리면서 1번의 절단이 이루어져 긴 소재(1)가 2등분된다.
로터리 절단기(1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이어지는 동작은 디플렉터(14)를 쵸핑(Chopping) 라인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공압 실린더(15)가 작동하게 되어 1번의 절단으로 분할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소재(1)는 쵸핑 블레이드(12b)에 의해 잘게 잘려지게 된다.
공형을 가지는 복수개의 롤러(41)는 디플렉터(14)가 쵸핑 라인으로 전환 시 직경이 굵은 소재(1)가 출구 가이드(19) 내측 및 디플렉터(14)에 마찰없이 진행하도록 한다.
한편 분할되어 잘게 잘려질 소재(1)가 전방에 위치한 압연기(18)를 벗어나면 열간 소재(1)가 발하는 빛을 감지하여 소재(1)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오프(Off)된다. 이와 같은 오프 신호는 도 8의 공압 실린더(45)로 보내지게 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45)가 오프 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구동바(49)를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바(49)가 공압 실린더(45)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메인 작동바(4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 작동바(46)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36)는 핀(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양측 회전 플레이트(3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는 양측 회전 플레이트(36)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핀칭(Pinching)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오프 신호가 모터(35)로 보내지면 모터(35)가 동작하게 되고, 모터(35)의 동력은 복수개의 이중 스프로켓(30) 및 체인 (31)에 의해 3개의 공형 롤러(41)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롤러(41)가 디플렉터(14) 내부의 소재(1)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추진력이 소멸된 후단부 소재(1)를 쵸핑 블레이드(12b)의 맞물림 지점까지 완전히 이동시킬 수 있어 디플렉터(14) 내부에 소재(1)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쵸핑 블레이드(12b)로 절단해야 할 소재(1)가 완전히 소진되면, 운전자는 디플렉터(14)의 위치를 원위치 시키기 위해 리셋(reset)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연속 운전되는 로터리 절단기(10)는 회전을 멈추고, 모터(35)에 인가되는 전원도 끊어지게 된다. 또한 공압 실린더(45)는 구동바(49)를 외측으로 밀어 내게 되어 한쌍의 회전 플레이트(36)는 평행한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디플렉터(14)는 회전축이 되는 핀(17)을 중심으로 레일 베이스(16)에 형성된 안내홈(16a)을 따라 회전하여 원상 복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선재 압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설치되는 로터리 절단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절단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디플렉터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디플렉터가 쵸핑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소재를 밀어낼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에 설치되는 디플랙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한쌍의 안내벽을 제거한 디플렉터의 사시도.
도 8은 간격 조절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선재 압연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로터리 절단기 11a,b: 회전체
12a: 크롭 블레이드 12b: 쵸핑 블레이드
14: 디플렉터 14a,b: 안내벽
18: 압연기 29: 구동장치
30: 이중 스프로켓 31: 체인
33: 샤프트 35: 모터
36: 회전 플레이트 37: 롤러 지지홀더
37-1: 홀 39: 탄성스프링
41: 롤러 42: 간격 조절 수단
45: 공압실린더 46: 보조 작동바
47: 메인 작동바 48: 회전축
49: 구동바

Claims (6)

  1.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양측에 구비된 안내벽과, 상기 각 안내벽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각 회전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 지지홀더와, 상기 각 롤러 지지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출입하는 샤프트와,
    상기 홀에서 상기 샤프트를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롤러 지지홀더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각 샤프트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로켓과,
    이웃하는 2개의 이중 스프로켓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하나의 샤프트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5. 제 3항에 있어서,
    압연기에서 압연된 소재가 상기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양측 회전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축을 구비하는 메인 작동바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일측은 상기 메인 작동바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보조 작동바와,
    일측은 상기 메인 작동바의 단부에 힌지결합 되고 타측은 공압 실린더에서 출입하는 구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KR1020090133875A 2009-12-30 2009-12-30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KR10163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75A KR101630878B1 (ko) 2009-12-30 2009-12-30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75A KR101630878B1 (ko) 2009-12-30 2009-12-30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335A true KR20110077335A (ko) 2011-07-07
KR101630878B1 KR101630878B1 (ko) 2016-06-16

Family

ID=4491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875A KR101630878B1 (ko) 2009-12-30 2009-12-30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4954A (zh) * 2014-09-28 2015-02-04 内蒙古中拓铝业股份有限公司 热轧生产线上的多功能导尺装置
KR101594685B1 (ko) * 2014-08-25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안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58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KR20020000246A (ko) * 2000-06-21 2002-01-05 이구택 선재사상압연의 입구가이드롤러장치
KR20020034446A (ko) * 2000-11-01 2002-05-09 이구택 사이드 가이드롤 갭 조정장치
KR20030054597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크롭의 다점낙하위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58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선재설비의 업루퍼장치
KR20020000246A (ko) * 2000-06-21 2002-01-05 이구택 선재사상압연의 입구가이드롤러장치
KR20020034446A (ko) * 2000-11-01 2002-05-09 이구택 사이드 가이드롤 갭 조정장치
KR20030054597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크롭의 다점낙하위치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85B1 (ko) * 2014-08-25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안내장치
CN104324954A (zh) * 2014-09-28 2015-02-04 内蒙古中拓铝业股份有限公司 热轧生产线上的多功能导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878B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7335A (ko) 선재 압연장치의 디플렉터
JP6279729B2 (ja) 圧延機エッジャ
US3246553A (en) Scrap chopper
EP0553930B1 (en) Bar receiving and discharging device
JP2013086195A (ja) 金属材料の剪断設備及び剪断方法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UA79184C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hot-rolling strips using reversible steckel rolling frame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JP4980742B2 (ja) 棒材用搬送装置
KR101160068B1 (ko) 압연 스트립을 횡방향으로 분할하는 장치
JP5411482B2 (ja) 切断装置
JP4117252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切断装置
JP4927692B2 (ja) 鍛造素材搬送装置
KR101091333B1 (ko) 압연소재 가이드장치
US773561A (en) Shearing mechanism for cutting ingots.
JP2006110684A (ja) フライングシャー
KR100802047B1 (ko) 스트립 절단면 중앙부 버 발생방법 및 스트립 절단면중앙부 버 제거장치
KR100905589B1 (ko) 콘베어 벨트 교환시 접힘 방지용 가이드장치
KR101750653B1 (ko) 다중 띠톱 커팅 장치
KR100782752B1 (ko)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KR20190069155A (ko) 스크랩 안내장치
JP2002087837A (ja) 直管ガラスの取り出し装置
KR20100002527U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 장력 유지장치
KR101010637B1 (ko)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표면부 갭 형성장치
KR20100025903A (ko) 압연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