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155A - 스크랩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랩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155A
KR20190069155A KR1020170169577A KR20170169577A KR20190069155A KR 20190069155 A KR20190069155 A KR 20190069155A KR 1020170169577 A KR1020170169577 A KR 1020170169577A KR 20170169577 A KR20170169577 A KR 20170169577A KR 20190069155 A KR20190069155 A KR 2019006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guide plate
holes
rotation axis
discharg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954B1 (ko
Inventor
정용걸
최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9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9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절단기의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절단기에서 절단된 스크랩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틈새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크랩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함으로써 회전체의 파손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는 스크랩 절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크랩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구멍을 갖고 스크랩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되며, 복수의 구멍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스크랩과 접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양단을 회전 지지하는 테이블 프레임을 포함하며, 스크랩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복수의 구멍과 회전체 사이의 틈새만 개구된다.

Description

스크랩 안내장치{SCRAP GUIDE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 공정에서 생산되는 코일(Coil)의 상부(Top)와 하부(Tale)의 불량소재 부분은 절단기를 통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Cutting)한다. 절단된 스트립(Strip)의 잔편은 절단기의 후단에 있는 유도 테이블(Table)에 안내되어 스크랩 컨베이어(Scrap Conveyor)를 통해 스크랩 박스(Scrap Box)로 이송된다.
이때 절단된 스크랩이 떨어지면서 유도 테이블의 롤러(Roller) 및 플레이트(Plate)에 낙하 충격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롤러 샤프트(Roller Shaft) 절손 및 베어링(Bearing) 파손, 플레이트 변형이 발생된다. 그리고 플레이트와 롤러 사이의 구조적인 틈새로 인해 스크랩 끼임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시로 라인 가동 중에 잔편 수거를 별도로 실시함으로써 협소공간 작업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반복적인 수리작업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절단기로부터 절단된 스크랩이 플레이트와 롤러 사이의 틈새로 끼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스크랩 안내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절단기의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절단기에서 절단된 스크랩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틈새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크랩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함으로써 회전체의 파손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는 스크랩 절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크랩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구멍을 갖고 스크랩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되며, 복수의 구멍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스크랩과 접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양단을 회전 지지하는 테이블 프레임을 포함하며, 스크랩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복수의 구멍과 회전체 사이의 틈새만 개구된다.
복수의 구멍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과 가이드 플레이트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구멍은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따라 길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구멍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 그리고 제1 회전축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각각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의 양단에 축결합되어 테이블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랩 절단부는 어닐링 피클링 라인에 적용되는 이중 절단 전단기(DCS)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스크랩 전달부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경사진 스크랩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스크랩의 끼임 틈새를 감소함으로써 스크랩의 끼임 발생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조업중단을 예방함으로써 전체적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랩의 배출 경로에 배치되는 회전축의 배열을 센터 유도형으로 구현함으로써 스크랩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중심방향으로 안내되어 보다 안전한 배출 경로를 유지하여 스크랩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회전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회전체(222)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는 가이드 플레이트(210), 회전축(220), 그리고 테이블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코일의 설정부분을 절단하는 스크랩 절단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크랩 절단부(10)로부터 절단된 스크랩(S)의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스크랩 절단부(10)는 소둔 및 산세처리를 할 수 있는 어닐링 피클링 라인(APL ; Annealing & Pickling Line)에 적용되는 이중 절단 전단기(DCS)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복수의 구멍(212)을 갖고 스크랩(S)의 배출을 안내하는 평판(210)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구멍(212)이 가공되므로 별도의 결합공정이 불필요하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랩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복수의 구멍(212)과 회전체(222) 사이의 틈새(212a)만 개구된다. 여기서, 복수의 구멍(212)과 회전체(222) 사이의 틈새(212a)는 스크랩(S) 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 절단부(10)로부터 절단된 스크랩(S)이 가이드 플레이트(210)에서 복수의 구멍(212)과 회전체(222) 사이의 틈새(212a)로 끼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고 보다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복수의 구멍(212)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과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구멍(212)은 스크랩(S)의 배출 경로를 따라 길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222)의 노출부분을 좀 더 길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스크랩(S)의 배출 경로를 따라 회전체(222)와 복수의 구멍(212) 사이의 틈새(2112a)를 작게 유지시켜 스크랩(S)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회전체(222)와 복수의 구멍(212) 사이의 틈새(2112a)가 크거나 넓게 벌어진 상태이면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설치된 회전체(222)의 잦은 파손과 설치된 회전체(222)의 이탈 및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22)와 복수의 구멍(212) 사이의 틈새(2112a)가 필요 이상 넓게 형성되는 경우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스크랩(S) 걸림이 자주 발생되어 조업부하를 가중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한 조치 작업시 협소공간과 더불어 컨베이어 내에서 돌발 조치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 또한 높으며 잦은 파손과 변형으로 인한 정비 비용이 많이 발생될 수 있다.
회전축(220)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하측에서 스크랩(S)의 배출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되며, 복수의 구멍(212)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스크랩(S)과 접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체(222)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20)의 양단(224)에 축결합되어 테이블 프레임(230)에 회전 지지되는 베어링(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체(222)는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구멍(212)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222)는 회전축(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222)는 회전축(220)과 보다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회전축(220)의 회전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 스크랩(S)의 배출 동력으로 전달할 수 있다.
테이블 프레임(230)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축(220)의 양단(224)을 회전 지지한다. 테이블 프레임(230)은 가이드 플레이트(210)와 회전축(22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기능을 한다. 테이블 프레임(230)은 회전축(220)의 양단(224) 결합을 회전 지지하는 지지부(232)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는 회전체(22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모터 등과 같이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를 회전축(220)과 연결하면,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220)의 회전 방향이나 속도를 조절하면서 스크랩(S)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스크랩(S)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를 이용하여 구동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는 로드셀과 같은 하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스크랩(S)이 가이드 플레이트(210)로 공급되어 배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플레이트(210)가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센서부에 스크랩(S)의 하중이 감지되면, 스크랩(S)이 저장박스로 배출되지 못하고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걸쳐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구동부를 구동시켜 스크랩(S)을 저장박스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는 1자형 셸(Shell)형 롤러 대신 회전체(222)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축(220)을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배치하고 회전체(222)의 일부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구멍(212)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한다.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팁 타입(Tip Type)에서 일체형 타입으로 개선하고, 가이드 플레이트(210)와 회전축(220) 및 회전체(222)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구조적 틈새를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크랩(S)의 낌 방지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랩(S)이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낙하시 충격에 취약했던 롤러에서 발생된 롤 넥 및 베어링 파손, 롤(Roll)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축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안내장치는 가이드 플레이트(210a)를 스크랩(S)의 배출 경로를 기준으로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은 제1 회전축(220a)과 제2 회전축(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220a)은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인 제1 구역에 배치된다. 제2 회전축(220b)은 제1 회전축(220a)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인 제2 구역에 배치된다. 제1 회전축(220a)과 제2 회전축(220b)은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중심을 향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각각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중심에는 지지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240)는 제1 지지대(240a)와 제2 지지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240a)는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각각의 제1 회전축(220a)을 지지한다. 제2 지지대(240b)는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제1 지지대(240a)와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제2 회전축(220b)을 지지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220a)과 제2 회전축이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제1 회전축(220a)과 제2 회전축(220b)에 각각 형성된 회전체(222a, 222b)의 회전방향이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중심을 향하게 구동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222a, 222b)의 회전방향이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중심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스크랩(S)의 배출 경로를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S)이 가이드 플레이트(210a)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랩(S)의 안전하고 확실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스크랩 절단부 210 ; 가이드 플레이트
220 ; 회전축 222 ; 회전체
220a ; 제1 회전축 220b ; 제2 회전축

Claims (8)

  1. 스크랩 절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랩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스크랩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되며,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스크랩과 접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회전 지지하는 테이블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랩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구멍과 상기 회전체 사이의 틈새만 개구된 스크랩 안내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스크랩 안내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스크랩의 배출 경로를 따라 길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랩 안내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구멍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스크랩 안내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스크랩 안내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크랩 안내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테이블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스크랩 안내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랩 전달부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경사진 스크랩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스크랩 안내장치.
KR1020170169577A 2017-12-11 2017-12-11 스크랩 안내장치 KR10208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77A KR102081954B1 (ko) 2017-12-11 2017-12-11 스크랩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77A KR102081954B1 (ko) 2017-12-11 2017-12-11 스크랩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55A true KR20190069155A (ko) 2019-06-19
KR102081954B1 KR102081954B1 (ko) 2020-04-28

Family

ID=6710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577A KR102081954B1 (ko) 2017-12-11 2017-12-11 스크랩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9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971A (ko) * 2002-11-26 2004-06-05 (주)나이테산기개발 합성수지판재의 절단면 자동 가공장치
KR20150078131A (ko) * 2013-12-30 2015-07-08 김민아 금속판재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971A (ko) * 2002-11-26 2004-06-05 (주)나이테산기개발 합성수지판재의 절단면 자동 가공장치
KR20150078131A (ko) * 2013-12-30 2015-07-08 김민아 금속판재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954B1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575B1 (ko) 금속판 절단장치
JP5605726B2 (ja) ガラス板の切断装置
JP2013086192A (ja) 厚鋼板剪断により生じたスクラップ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KR20160013097A (ko) 금속 제품을 밴딩하기 위한 기계 및 그 밴딩 방법
KR20100101633A (ko) 드럼 전단 장치
KR20190069155A (ko) 스크랩 안내장치
JP5918890B1 (ja) 金属切粉破断搬送装置
CN207643220U (zh) 一种用于瓦楞纸生产线的新型切割装置
JP2013082522A (ja) 用紙加工装置の制御方法
KR20190078249A (ko) 스크랩 가이드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랩 슈트 시스템
JP4485242B2 (ja) 破砕処理装置
KR100750221B1 (ko) 시트고무 샘플링장치
JP7338277B2 (ja) 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JP2007055765A (ja) 用紙加工装置
JP2009101268A (ja) 破砕処理装置
JP7480959B2 (ja) スクラップ処理装置及びスクラップ処理方法
KR101424439B1 (ko)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 장치
CN215743946U (zh) 单轴破碎机的动作机构
KR200251278Y1 (ko) 변형소재 이송 콘베어의 높낮이 조정장치
JP6109717B2 (ja) 切り粉破砕装置、および切り粉破砕刃
CN213437503U (zh) 一种分条机及其电机
KR200316454Y1 (ko) 로터리식 글라스울 슬리터의 구동장치
KR20110000416A (ko) 회전 칼날 및 이를 사용한 크롭 전단기
JP2006341351A (ja) 帯状金属板のせん断装置
JP2007276228A (ja) ゴム材料の混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