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96U -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96U
KR19980042096U KR2019960055192U KR19960055192U KR19980042096U KR 19980042096 U KR19980042096 U KR 19980042096U KR 2019960055192 U KR2019960055192 U KR 2019960055192U KR 19960055192 U KR19960055192 U KR 19960055192U KR 19980042096 U KR19980042096 U KR 199800420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adrest
guide rail
passenger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5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096U/ko
Publication of KR19980042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9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백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치 시트는 시트 백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측면 일측까지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헤드레스트에 고정되는 이동 수단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시트 백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전방 시트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방 시트에 탑승객이 없는 경우 후방 시트 탑승객에게 충분한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백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후방 시트의 승객에게 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상측으로 세워져 승객의 등을 받쳐 지지하는 시트 백과,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 고정되어 머리를 받치는 헤드 레스트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시트는 시트 쿠션의 하부가 자동차의 저부 구조물인 플로어 패널에 지지되는 구조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시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머리를 받침으로써 장시간 여행시 승객의 피로를 덜고, 또한 사고시 승객의 머리가 뒤로 젖혀져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봉에 의해 시트 백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고, 승객의 신장에 맞추어 사요될 수 있도록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 시트는 전방 시트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도, 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의해 후방 시트에 탑승한 승객이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간혹,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뽑아버린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전방 시트에 승객이 탑승할 때의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전방 시트에 탑승하는 승객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전방 시트에 탑승객이 없을 경우 후방 시트의 승객에게 충분한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트 백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에서 가이드 레일 및 이동 수단을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2B는 도 2A를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 쿠션2 ; 시트 백
3 ; 헤드레스트4 ; 가이드 레일
5 ; 봉6 ; 스프링
7 ; 고정볼8 ; 오목부
9 ; 돌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상면 일측으로부터 측면 일측까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상측으로 세워져 승객의 등을 받쳐 지지하는 시트 백; 시트 백의 상단에 설치되며 승객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헤드 레스트; 및 헤드레스트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요시 헤드레스트가 이동수단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수 있으므로, 전방 시트에 탑승객이 있는 경우에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의 상부에 위치되어 탑승객의 머리를 받칠 수 있으며, 전방 시트에 탑승객이 없을 경우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의 측부에 위치되어 후방 시트 탑승객에게 충분한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고안에 따른 시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는 크게 시트 쿠션(1), 시트 백(1) 및 헤드레스트(3)로 구성되며, 시트 백(1)에는 시트 백(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측면 일측까지 가이드 레일(4)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4)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좁고 긴 홈 형태를 가진다. 또한, 각 상단부가 헤드레스트(3)에 고정되어 헤드레스트(3)를 지지하며, 각 하단부는 가이드 레일(4)에 수용되어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봉(5)이 제공된다. 또한, 봉(5)의 내부에는 스프링(6)이 설치되고, 스프링(6)의 하부에는 고정볼(7)이 설치되어 스프링(6)의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지지된다. 또한, 봉(5)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봉(5)이 가이드 레일(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9)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4)의 시트 백(1) 상측 저면에는 헤드레스트(3)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오목부(8)가 이동수단인 한 쌍의 봉(5)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오목부(8)에 고정볼(7)이 각각 수용되면 스프링(6)의 탄성에 의해 고정볼(7)은 오목부(8)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승객이 전방 시트에 탑승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3)를 시트 백(1)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볼(7)이 오목부(8)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레스트(3)를 고정시켜 탑승객의 머리를 받침으로써,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반면에, 후방 시트 탑승객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볼(7)이 오목부(8)로부터 이탈되도록 헤드레스트(3)를 시트 백(1) 외측으로 잡아당겨, 헤드레스트(3)가 시트 백(1)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의해, 전방 시트 탑승객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전방 시트 탑승객이 없는 경우에 후방 시트 탑승객에 대하여 충분한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조수석의 헤드레스트가 전방시트의 측부, 즉,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박스 상부 공간에 위치되면, 어린이가 후방 시트에 탑승하였을 경우 전방 시트쪽으로 몸을 내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상면 일측으로부터 측면 일측까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상측으로 세워져 승객의 등을 받쳐 지지하는 시트 백;
    시트 백의 상단에 설치되며 승객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헤드 레스트; 및
    헤드레스트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좁고 긴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수단은 상단부가 헤드레스트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가이드레일의 홈에 수용되는 한 쌍의 봉이며, 상기 각 봉 및 봉이 고정된 헤드레스트가 가이드 레일의 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봉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스프링의 하부에는 고정볼이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 레일 저면에 접촉되도록 하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시트 백 상측 저면에는 상기 고정볼을 수용하는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2019960055192U 1996-12-24 1996-12-24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420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92U KR19980042096U (ko) 1996-12-24 1996-12-24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92U KR19980042096U (ko) 1996-12-24 1996-12-24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96U true KR19980042096U (ko) 1998-09-25

Family

ID=5399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192U KR19980042096U (ko) 1996-12-24 1996-12-24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0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807B2 (en) 2000-05-09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807B2 (en) 2000-05-09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3669B1 (en) A motor car with three front seats side by side
KR19980042096U (ko)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56588A (ko) 이동식 헤드 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200147887Y1 (ko) 장애자용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KR19980022805U (ko)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KR10049450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서브머린 방지장치
KR100516584B1 (ko) 자동차의 리어 센터 헤드 레스트
KR0145969B1 (ko) 출몰식 차량용 헤드레스트
KR820002614Y1 (ko) 승용이동차에 있어서의 좌석 부착장치
KR0159338B1 (ko) 트럭용 헤드레스트 설치구조
KR100341905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KR01387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17555A (ko) 보조시트가 내장된 자동차용 프론트시트
KR19980045236U (ko) 버스의 암레스트
KR19980039456U (ko) 슬라이드식 요추받침구가 설치된 자동차의 시트백
KR19980052308U (ko) 시트의 이동식 헤드레스트
KR19980054287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53242U (ko) 보조 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KR19980029690U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90035662A (ko) 내장형 리어 센터 헤드레스트
KR19980018621U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중앙 탑승객을 위한 헤드 레스트
KR19990025381U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80034708U (ko) 낙하 방지기구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