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38A - 벨트용 항장체 및 전동벨트 - Google Patents

벨트용 항장체 및 전동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38A
KR19980042038A KR1019970057652A KR19970057652A KR19980042038A KR 19980042038 A KR19980042038 A KR 19980042038A KR 1019970057652 A KR1019970057652 A KR 1019970057652A KR 19970057652 A KR19970057652 A KR 19970057652A KR 19980042038 A KR19980042038 A KR 1998004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xtension body
rubber
strength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우찌유우지
나카시마에이지로오
Original Assignee
사사베쇼오고
반도카가쿠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사베쇼오고, 반도카가쿠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사베쇼오고
Publication of KR1998004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필라멘트지름이 5∼8㎛인 고강력 유리섬유(7)의 섬유다발을 여러개 모아, RFL액에 담근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하연을 행함으로써 자승(子繩)(하연사)(6)을 형성한다. 상기한 자승(6)을 10∼13개 정도 맞춰서 상기한 하연과는 역방향으로 상연을 행함으로써 항장체(2)를 형성한다. 상기한 하연의 꼬임수를 4.0∼6.6회/10㎝로 하고, 상기한 상연의 꼬임수를 8.0∼9.4회/10㎝로 함으로써, 항장체의 형상안정성 내지는 가공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정적인 손상을 작게 해서, 벨트의 내굴곡피로성을 높인다.

Description

벨트용 항장체 및 전동벨트
본 발명은, 각종의 벨트에 매설되는 벨트용 항장체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벨트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타이밍벨트 등의 전동벨트에서는, 강도, 강인성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기위해서,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코드를 항장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다.
상기한 전동벨트의 항장체는, 벨트의 주행에 따라서 굴곡응력을 반복적으로 받아, 그것에 의해 피로를 발생해서 성능이 저하한다. 이 점에 관하여, 일본국 실개평1-111848호 공보에는, 유리섬유로서, 종래의 E유리섬유 대신에 이것보다도 필라멘트지름이 작은 고강력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코드자체를 가는 지름으로 함으로써, 벨트의 내구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고강력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코드의 경우, 확실하게 벨트의 내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지만, 그 인장강도가 종래의 E유리에 비해서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구성 향상의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고강력 유리섬유를 이용한 종래보다도 우수한 벨트용 항장체를 제공하고, 또 이 항장체를 이용한 전동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고강력 유리섬유에 의한 벨트용 항장체에 관해서, 시작·실험·검토를 거쳐, 이하의 점을 발견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는, 고강력 유리섬유를 이용해서 벨트용 항장체를 제작하는 경우라도, 그 때의 섬유의 꼬임에 관해서는 종전의 E유리섬유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양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강도 유리섬유는, E유리섬유와는 다르고, 단지 인장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그 필라멘트지름을 가늘게 할 수 있는 한편, E유리섬유보다도 무르다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강력 유리섬유의 특질에 감안해서 꼬임의 적정화를 꾀함으로써, 항장체, 나아가서는 전동벨트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것이다.
즉, 본 출원의 발명은, 고강력 유리섬유의 섬유다발을 복수개 모아서, 레졸신 및 포말린의 초기 축합물과 고무라텍스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처리액(이하, RFL액이라고 한다.)에 침지한 후에 열처리(가열처리)를 행하고 나서 하연을 실시함으로써 자승이 형성되고, 상기한 자승을 소정 개수 간추려서 상기한 하연과는 역방향으로 상연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벨트용 항장체에 있어서, 상기한 고강력 유리섬유의 필라멘트지름을 5∼8㎛로 하고, 상기한 하연의 꼬임수를 4.0∼6.6회/㎝로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고강력 유리섬유란, 인장강도 300㎏f/㎟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f/㎟ 이상의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SiO2;65%, A1203;25%, MgO;9∼10%를 함유하고(그 밖의 금속산화물(Na20, K20, Fe203, Zr203등)은 l%미만), 인장강도가 437㎏f/㎟인 고강력 유리, SiO2;65%, A1203;24.2%, CaO<0.1%, MgO;10.l%를 함유하고, 인장강도가 400㎏f/㎟의 고강력 유리섬유, SiO2;52∼56%, A1203;28∼32%, CaO;9∼12%, Na20+K20<0.1%, Y203그밖의 것을 7%미만의 비율로 함유하고, 인장강도가 430㎏f/㎟의 고강력 유리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강력 유리섬유의 필라멘트지름을 5∼8㎛로 한 것은, 상기한 유리섬유는 고강도이기 때문에, 지름을 가늘게 하더라도 종래의 E유리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강력이 얻어져서, 오히려 가는 지름으로 함으로써 내굴곡피로성의 향상이 기대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항장체는, 상기한 하연의 꼬임수가 4.0∼6.6회/10㎝이기 때문에, 상기한 항장체의 형상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정적인 손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즉, 이 하연의 꼬임수가 4.0회/10㎝보다도 적으면, 꼬임이 풀리는 듯한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그 후의 가공이 어렵게 되어, 형상안정성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이 하연의 꼬임수가 6.6회/10㎝보다도 많아지면, 취성 재료인 고강력 유리섬유에 과대한 왜곡을 주게 되고, 그것에 의해 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응력이 커져 손상을 받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한 항장체는, 이것을 구성하는 하연사, 즉 자승의 개수가 10∼13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항장체의 선의 지름이 굵지않도록 하면서, 벨트강력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자승의 개수가 10개 미만이 되면, 항장체의 내굴곡피로성의 향상의 면에서는 유리하게 되지만, 벨트강력이 저하한다. 한편, 자승의 개수가 13개를 넘으면, 반대로 내굴곡피로성의 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상연수에 대해서는, 이것을 8.0∼9.4회/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동벨트의 강력의 확보 및 형상안정성의 확보의 면에서 유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8.0회/10㎝미만에서는 실의 매듭이 나쁘게 되어, 이와 같은 항장체를 이용한 벨트를 주행시키면, 각 하연사의 자유도가 크기 때문에, 항장체의 형상의 안정성이 나쁘고 수명이 짧다. 9.4회/10㎝보다도 많아지면, 항장체의 강력이 크게 저하하여, 벨트에 필요강력을 주는 것이 어렵게 된다.
상기한 하연사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을 400∼600개의 필라멘트에 의해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항장체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피하고, 굴곡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다.
항장체의 총 필라멘트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을 4000∼8000개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총 필라멘트개수가 4000개 미만이면 충분한 강력을 얻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그 개수가 8000개를 넘으면, 유리코드의 표면왜곡이 커져 쉽게 구부러지는 것에 대해서 불리하여 진다.
또한, 상기한 RFL액에 관해서, 그 라텍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스틸렌-부타디엔-비닐필리딘 삼원공중합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스테르, 니트릴고무, 수소화 니트릴고무, 에피크롤히드린고무, SBR, 클로로플렌고무, 염소화 부타디엔고무, 올레핀비닐에스테르공중합체, 천연고무 등을 단독 또는 그들로부터 적절히 선택한 2종이상의 것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RFL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한 항장체를 배치하는 전동벨트의 접착고무가 H-NBR과 같은 난접착성의 고무인 경우는, 상기한 상연이 실시된 유리코드를 고무풀에 침지하여,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이 코드의 표면에 고무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고무풀의 주성분인 고무재료로서는, 염화고무, 폴리염화비닐, 클로로플렌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등의 할로겐함유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고무풀용의 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통상, 벤젠, 톨루엔, 키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에테르류,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항장체를 채용하는 전동벨트의 종류에 관하여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한 항장체는, 벨트의 전길이에 걸쳐 벨트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측에 아우터러버가 결합되어 내주측에 인너러버가 결합된다. 엔드레스전동벨트의 항장체로서 채용할 수가 있다. 그와 같은 벨트로서는, 예를 들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벨트폭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늘어서도록 스파이럴형으로 감겨 이루어지는 항장체와, 상기한 항장체의 외주측에 결합한 등(背)고무와, 상기한 항장체의 내주측에 일정 피치로 결합한 다수의 톱날고무를 갖추고 있는 엔드레스의 타이밍전동벨트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출원의 발명에 의하면, 항장체의 형상안정성 내지는 가공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정적인 손상을 작게 하여, 벨트의 내굴곡피로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상연을 위한 자승의 간추림의 개수를 10∼13개로 하고, 상연수를 8.0∼9.4회/10㎝로 하면, 벨트강력을 확보하면서, 그 내굴곡피로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도 1은 전동벨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벨트용 항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벨트용 항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벨트주행시험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하연수와 벨트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하연수와 벨트의 굴곡피로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상연수와 벨트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상연수와 벨트의 굴곡피로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l은, 이 발명에 관한 전동벨트의 한 예인 타이밍벨트(1)를 나타낸다. 이 타이밍벨트(1)는, 벨트길이방향(동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또는 벨트폭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간격을 두어 늘어서듯이 스파이럴형으로 감겨 이루어지는 항장체(2)를 구비하고, 상기한 항장체(2)의 외주측에 벨트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구형상의 등고무(3)가 설치되고, 항장체(2)의 내주측에는 다수의 톱날고무(4,4,…)가 벨트길이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간격을 두어 배설되어 있다. 톱날고무(4,4,…)는, 벨트(l)의 내주면에 설치된 치석(5)에 의해서 덮여지고 있다.
상기한 전동벨트(1)의 고무에는, 수소화 니트릴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고무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치석(5)의, 벨트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실에는 6,6나일론실이, 또한 벨트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실에는 공업용 6,6나일론의 울리가공실이 각각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항장체(2)는, 도 2에 확대해서 나타내듯이, 소요 개수의 자승(하연사)(6,6,…)을 간추려서, 하연과는 역방향으로 소정 꼬임수로 상연을 행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각 자승은, 복수개의 섬유다발을 간추려 소정 꼬임수로 하연을 실시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각 섬유다발은 다수의 유리섬유(7,7,…)를 묶어서 이루어지며 RFL처리액에 침지된 후에 열처리되어 있다. 각 자승(6)의 유리섬유(7,7,…) 사이에는, 상기한 RFL처리액의 고무쪽이 개재하고 있다.
상기한 타이밍벨트는 일반적인 압입법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고, 그 톱날수는 113, 톱날부(4,4,…)의 피치는 8㎜, 벨트폭은 19㎜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각 톱날부(4)는, 벨트길이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이 원호상으로 만곡해서 불룩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항장체(2)에 있어서의 각 자승(5)의 하연수는 4.0∼6.6회/1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연수는 8.0∼9.4회/10㎝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1)
유리섬유로서는, 지름 7㎛의 무알칼리 고강력 유리섬유(인장강도 437㎏f/㎟)를 이용하였다. 이 고강력 유리섬유 200개를 수렴하여 섬유다발로 하고 있다. 이 예의 항장체는, 3개의 섬유다발을 간추려 농도 20중량%의 Vp-SBR(스틸렌부타디엔비닐필리딘 삼원공중합체)계 RFL처리액에 침지하고, 이어서 240℃에서 1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 이것에 꼬임수 5.6회/10㎝의 하연을 실시해서 자승으로 하고, 또 이 자승을 11개 모아서 간추려, 꼬임수 8.0회/10㎝의 상연을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총 섬유개수는 6600개(=200개×3×11)로 되어 있다.
또, 이 항장체의 표면에는, CSM(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클루드MDI(디페닐페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농도 15중량%의 풀고무에 침지한 후, 120℃에서 1분간의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도 3에 나타낸 고무피막(8)을 갖추고 있다. 이 고무피막(8)의 형성은, 벨트본체의 고무가 접착성이 어려운 H-NBR인 점을 고려한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얻어진 항장체를 이용하여 상기한 타이밍벨트(도 1)를 제작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항장체에 의하면, 하연수가 5.6회/10㎝이기 때문이고, 그 형상안정성(보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유리섬유에 과대한 비뚤어짐을 주는 일이 없기 때문이고, 정적인 응력이 작아 손상을 주는 것이 적어진다. 또한, 상연수가 8.0회/10㎝이기 때문에, 항장체의 야무짐이 확보되고, 게다가 강도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2∼12, 비교예1∼7)
상기한 꼬임의 구성(자승을 구성하는 섬유다발의 수/항장체를 구성하는 자승의 개수), 하연수 또는 상연수를 표 1에 나타내듯이 여러가지로 바꾸고, 또는 상기한 실시예1과 같이 하여 항장체를 조제하고, 동일한 타이밍벨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시험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치부벨트에 관해서, 벨트강력(초기강력) 및 굴곡피로성의 각 평가를 하였다.
-굴곡피로시험의 요령-
굴곡피로성능의 평가에는, 도 4에 가리키는 벨트주행시험기를 이용하였다. 이 시험기에서는, 4개의 큰 풀리(31,31)가 동 도면의 상하 좌우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큰 풀리(31,31) 사이에는 지름이 28㎜의 작은 풀리(3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시험은, 이들 풀리(31,32) 사이에 공시벨트(A)를 감아걸고, 웨이트(33)에서 벨트(A)에 80㎏f의 부하를 건 상태에서, 큰 풀리(31)를 5500rpm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벨트(A)가 파단할 때까지 주행시키고, 이 파단에 달하기까지 작은 풀리(32)를 통과한 회수를 굴곡피로수명으로서 구한다, 라는 것이다.
-시험결과-
시험결과는 표 1에 겸해서 나타낸다.
필라멘트지름(㎛) 구성 하연수회/10㎝ 상연수회/10㎝ 벨트강력㎏f 굴곡피로수명×106
실시예1 7 3/11 5.6 8.0 1120 4.5
실시예2 7 2/13 5.6 8.0 920 5.3
실시예3 7 3/13 5.6 8.0 1350 3.2
실시예4 7 3/11 4.0 8.0 1250 4.9
실시예5 7 3/11 6.6 8.0 1180 3.5
실시예6 7 3/11 5.6 7.2 1300 3.3
실시예7 7 3/11 5.6 9.4 1050 5.3
실시예8 7 3/11 5.6 10.4 980 4.3
실시예9 7 3/11 4.0 9.4 1080 5.5
실시예10 7 3/11 6.6 9.4 1050 4.8
실시예11 7 3/11 4.0 10.4 1030 4.8
실시예12 7 3/11 6.6 7.2 1230 3.3
비교예1 7 3/11 8.0 8.0 1150 2.5
비교예2 7 2/13 8.0 8.0 880 2.8
비교예3 7 3/13 8.0 8.0 1320 1.7
비교예4 7 3/11 3.2 8.0 1250 5.1
비교예5 7 3/11 9.2 8.0 1120 2.0
비교예6 7 3/11 3.2 9.4 1120 5.3
비교예7 7 3/11 8.0 9.4 1000 2.8
-시험결과의 고찰-
표 1에 의하면, 실시예1∼12의 각각은 비교예l∼3, 5, 7보다도 벨트강력이 높고 또한 굴곡피로수명의 회수도 각별히 많아지고 있다(비교예4, 6에 대해서는 후술함). 이것은, 실시예의 경우, 하연수가 고강력 유리섬유에 상응한 적정한 것으로 되어 벨트의 내굴곡피로성이 향상하고, 상연수가 고강력 유리섬유에 상응한 적정한 것으로 되어 벨트의 강력과 내굴곡 피로성과의 균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이 점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꼬임의 구성의 영향에 관해서)
실시예l∼3은 서로의 꼬임의 구성만이 다르다. 실시예l과 실시예3과의 비교로부터, 자승의 개수가 많아지면, 벨트강력은 높아지지만, 굴곡피로수명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2와 실시예3과의 비교로부터, 자승을 구성하는 섬유다발의 수가 많아지면, 벨트강력은 높아지지만, 굴곡피로수명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1∼3도 서로의 꼬임의 구성만이 다르지만, 이 꼬임의 구성이 벨트강력 및 굴곡피로수명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는, 실시예1∼3의 경우와 같은 경향에 있고, 이 경향이 일반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1∼3의 각각과 비교예1∼3의 대응하는 각각과는 서로의 꼬임의 수만이 다르다. 이들을 비교하면, 실시예l∼3은 어느것이나 대응하는 비교예1∼3보다도 벨트강력이 높아지고 있음과 동시에, 굴곡피로수명이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와 같이 하연수를 적게 하는 것은, 꼬임의 구성의 여하를 막론하고, 기대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안다. 특히 굴곡피로수명에 관하여는, 실시예1∼3은 대응하는 비교예1∼3의 배가까이 연장되고 있고, 그 향상효과가 현저하다.
(하연수의 영향에 관해서)
실시예1, 4, 5 및 비교예1, 4, 5는, 상연수는 어느것이나 8.0회/10㎝이지만, 서로의 하연수가 다르다. 이들의 시험결과에 따라서 하연수와 벨트강력과의 관계를 그래프화하면 도 5에 나타내는 A(상연수 8.0회)와 같이 되고, 하연수와 굴곡피로수명과의 관계를 그래프화하면 도 6에 나타내는 A(상연수 8.0회)와 같이 된다. 이들의 그래프에 의하면, 하연수가 적어질수록 벨트강력이 높아지고, 또한 굴곡피로수명도 연장되고 있다.
실시예7, 9, 10 및 비교예6, 7도 서로의 하연수가 다르지만, 앞의 각 예와는 다르고, 상연수는 어느것이나 9.4회/10㎝이다. 이들의 시험결과를 그래프화하면 도 5 및 도 6의 각각에 나타내는 B(상연수 9.4회)와 같이 된다. 이 B(상연수 9.4회)의 경우는, 벨트강력이 전체적으로 낮게 되어, 굴곡피로수명이 전체적으로 길게 되어 있지만, 하연수의 변화에 의한 경향은 앞의 A(상연수 8.0회)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하연수가 적어질수록 벨트강력이 높아지고, 또한 굴곡피로수명도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연수를 6.6회 이상으로 하면, 도 6의 A의 그래프와 같이 상연수가 적은 경우라도 굴곡피로수명이 길게 되고, 또한, 도 5의 B의 그래프와 같이 상연수가 많은 경우라도 필요한 벨트강력을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비교예4, 6은, 어느것이나 하연수가 3.2회/10㎝이고, 벨트강력 및 굴곡피로수명의 점에서는 문제없지만, 자승(하연사)의 형상안정성이 나쁘고 가공성에 어려움이 있고, 벨트용 항장체로서 알맞지 않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4, 9는 형상안정성의 점에서의 문제는 보이지 않았다. 이것으로, 하연수는 4.0회/10㎝ 이상으로 하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연수의 영향에 관해서)
실시예1, 6, 7, 8은, 하연수는 모두 5.6회/10㎝이지만, 서로의 상연수가 다르다. 이들의 시험결과에 따라서 상연수와 벨트강력과의 관계를 그래프화하면 도 7에 나타내는 C(하연수 5.6회)와 같이 되고, 상연수와 굴곡피로수명과의 관계를 그래프화하면 도 8에 나타내는 C(하연수 5.6회)와 같이 된다. 이들의 그래프에 의하면, 상연수가 적어질수록 벨트강력이 높아지고 있지만, 굴곡피로수명에 관하여는 특정한 상연수에서 정점이 나와 있다.
실시예4, 9, 11도 서로의 상연수가 다르지만, 하연수는 모두 4.0회/10㎝이다. 이들의 시험결과를 그래프화하면 도 7 및 도 8의 각각에 나타내는 D(하연수 4.0회)와 같이 된다. 이 D(하연수 4.0회)의 경우는, 벨트강력이 전체적으로 높아지고, 굴곡피로수명이 전체적으로 길게 되어 있지만, 상연수의 변화에 의한 경향은 앞의 C(하연수 5.6회)의 경우와 같다.
또, 실시예5, 10, 12는, 모두 하연수가 6.6회/10㎝에서 상연수가 서로 다르다. 이들의 시험결과를 같이 그래프화하면, 도 7 및 도 8의 각각에 E(하연수 6.6회)로 나타내는 특성이 되지만, 상연수의 변화에 있어서의 벨트강력의 변화경향은 앞의 각 예와 같다.
따라서,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상연수가 적어질수록 벨트강력이 높아지고 있지만, 굴곡피로수명에 관하여는 상연수 9.4회/10㎝ 전후에서 정점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연수가 많아지면, 도 7에 도시하듯이 벨트강력이 저하하기 때문이고, 그 상한은 굴곡피로수명에 정점이 나오는 9.4회/10㎝ 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연수의 하한에 관하여는, 굴곡피로수명이 짧게 되는 것을 피하는 관점에서, 8.0회/10㎝ 정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장체의 형상안정성 내지는 가공성을 손상하지 않고, 정적인 손상을 작게 해서, 벨트의 내굴곡피로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상연을 위한 자승의 간추림수를 10∼13개로 하고, 상연수를 8.0∼0.4회/10㎝로 하면, 벨트강력을 확보하면서, 그 내굴곡피로성을 향상시키는 데에서 유리하다.

Claims (4)

  1. 고강력 유리섬유의 섬유다발을 복수개 모아서, 레졸신 및 포루말린의 초기 축합물과 고무라텍스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처리액에 침지한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하연을 실시함으로써 자승이 형성되고, 그 자승을 소정 개수 간추려서 상기한 하연과는 역방향으로 상연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벨트용 항장체에 있어서,
    상기한 고강력 유리섬유의 필라멘트지름이 5∼8㎛이고, 상기한 하연의 꼬임수가 4.0∼6.6회/1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항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연이, 상기한 자승을 10∼13개 간추려서 실시되고, 또한 상기한 상연의 꼬임수가 8.0∼9.4회/1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항장체.
  3. 벨트의 전 길이에 걸쳐 벨트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항장체와, 상기한 항장체의 외주측에 결합한 아우터러버와, 상기한 항장체의 내주측에 결합한 인너러버를 갖추고 있는 엔들리스의 전동벨트에 있어서,
    상기한 항장체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되어 있는 벨트용 항장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
  4.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벨트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늘어서 있듯이 스파이럴형으로 감겨서 이루어진 항장체와, 상기한 항장체의 외주측에 결합한 배고무와, 상기한 항장체의 내주측에 일정한 피치로 결합한 다수의 톱날고무를 갖추고 있는 엔들리스의 타이밍전동벨트에 있어서,
    상기한 항장체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되어 있는 벨트용 항장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전동벨트.
KR1019970057652A 1996-11-05 1997-11-03 벨트용 항장체 및 전동벨트 KR19980042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92740 1996-11-05
JP8292740A JPH10141445A (ja) 1996-11-05 1996-11-05 ベルト用抗張体及び伝動ベル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38A true KR19980042038A (ko) 1998-08-17

Family

ID=1778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652A KR19980042038A (ko) 1996-11-05 1997-11-03 벨트용 항장체 및 전동벨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40036A1 (ko)
JP (1) JPH10141445A (ko)
KR (1) KR199800420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289B1 (ko) * 2003-11-26 2006-09-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186A (ja) * 1998-04-20 2000-01-11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
WO2002050441A1 (fr) * 2000-12-20 2002-06-27 Nok-Vibracoustic Co., Ltd Coupleur elastique
SG143143A1 (en) * 2006-12-04 2008-06-27 Inventio Ag Synthetic fiber ro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4853A (ja) * 1984-09-20 1994-07-05 Nippon Glass Fiber Co Ltd 歯付ベルト用ガラス繊維コード
JPS62159827A (ja) * 1985-12-27 1987-07-15 Yunitsuta Kk 歯付きベルト
JPH0544607Y2 (ko) 1988-01-13 1993-11-12
JPH01213478A (ja) * 1988-02-17 1989-08-28 Mitsuboshi Belting Ltd ガラス繊維コ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歯付ベルト
US5378206A (en) * 1990-04-27 1995-01-03 Mitsuboshi Belting Ltd. Toothed belt having twisted core wire
JP3009427B2 (ja) * 1990-06-13 2000-02-14 ユニッタ株式会社 歯付きベルト
JP2869025B2 (ja) * 1995-07-24 1999-03-1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ベルト用抗張体及びベル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289B1 (ko) * 2003-11-26 2006-09-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0036A1 (en) 1998-05-06
JPH10141445A (ja) 199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460B2 (ja) ゴム補強用コード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ゴム製品
KR100909406B1 (ko) 고무 보강용 하이브리드 코드 및 고무 제품
JPH06307500A (ja) 歯付ベルト
CA2074770C (en) Fiber cord and power transmission belt using the same
US5595284A (en) Conveyor belt
US5735763A (en) Tension member for belt and belt including the same
KR19980042038A (ko) 벨트용 항장체 및 전동벨트
JPH0156297B2 (ko)
JP3923818B2 (ja) 動力伝動ベルト
JP2004293754A (ja) 歯付ベルト
JP2869029B2 (ja) 伝動ベルト
EP0777066A2 (en) Tension member for belt,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belt including the same
JPH048947A (ja) 歯付ベルト
JP6945323B2 (ja) 極太ディップコ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10139A (ja) 伝動ベルト
JP2002039275A (ja) 歯付ベルト
JPH11336847A (ja) 伝動ベルト用抗張体及び伝動ベルト
JPH08324737A (ja) コンベヤベルト
JPH1181075A (ja) 補強用繊維コ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ゴム−コード複合体並びにコード処理剤
JP2007147025A (ja) 歯付ベルト
JPH08174708A (ja) ベルト抗張体の製造方法
JPH09126279A (ja) ベルト用抗張体および該抗張体を用いたベルト
JPH09126280A (ja) ベルト用抗張体およびベルト
JP4205526B2 (ja) ゴム補強用合成繊維コード
JPH07138831A (ja) ゴム補強用ガラス繊維コ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伝動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