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748A - 입선반 및 그의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선반 및 그의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748A
KR19980041748A KR1019970022118A KR19970022118A KR19980041748A KR 19980041748 A KR19980041748 A KR 19980041748A KR 1019970022118 A KR1019970022118 A KR 1019970022118A KR 19970022118 A KR19970022118 A KR 19970022118A KR 19980041748 A KR19980041748 A KR 19980041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guide rail
main shaft
bed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247B1 (ko
Inventor
아키라 고쇼
사도루 도가와
게이이찌 미야가와
가스히꼬 오이와
Original Assignee
데지마 고로
히타치 세이기 가브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지마 고로, 히타치 세이기 가브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데지마 고로
Publication of KR1998004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06Turning-machines or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special arrangement of construction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7Arrangements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7/00Metal-working machines, or constructional combinations thereof, built-up from units design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units can form parts of different machines or combinations; Units therefor in so far as the feature of interchangeability is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05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a series disposition of similar wor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선반(立旋盤) 및 그의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축대가 이동하여 공작물을 공급및 배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입선반이며, 가공셀을 구성할 목적으로 주축대 이동형 입선반(1)의 후부베드부(3)와, 수평한 X축 안내면(5)를 연장하여 연장X축안내면(50)이 형성되어 있다. 주축대(31)는 연장 X축 안내면(50)을 이동하여 공작물 저장장치(55)에서 공작물척(44)으로 직접 공작물 또는 소재를 잡는다. 주축대 이동형 입선반(1)은 결합하여 시스템으로 사용한다.

Description

입선반(立旋盤) 및 그의 가공시스템
본 발명은 입선반(立旋盤) 및 이를 결합한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축대(主軸臺)의 주축 축선(軸線)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주축대가 이동 또는 고정하는 타입의 입선반과 이를 조합한 가공시스템이다.
종래, 입선반은 주축대에 구비된 주축의 축선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선반의 일종이다. 주축에 고정된 공작물 척에 공작물이 파지(把持)되어 회전 구동되면서 선삭 가동되는 것이나 이 공작물은 수동 또는 로봇 등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공급 및 배출된다.
본 출원인은 경사형 베드에 이동할 수 있는 주축대를 탑재한 공작기계의 가공시스템을 제안하였다(일본특허공고 평2-46321호 공보). 공작물의 공급 및 배출은 로봇 또는 로더를 장비(裝備)함이 없이 주축대의 주축에 부착된 공작물 척으로 공작물을 공작물 저장(貯藏)장치에서 자동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는 것이다.
이 타입은 베드가 경사형 타입이기 때문에 절삭시 절삭 칩(chip)이 베드위에 체류하여 배출효율이 좋지 않다. 공작기계의 본체인 베드는 축수(軸受)에서 발열, 절삭칩의 열 등에 의하여 열(熱)변형 된다. 이 열 변형에 의해 이송대, 테이블 등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변형하게 되므로, 결과로써 가공 정도(精度)가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상기 절삭 칩의 가열에 의한 베드의 변형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 주축 축선이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워크 스톡커(work stocker)상의 피가공물도 축선을 주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경사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사시 피가공물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피가공물을 경사시키는 수단,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수단등이 필요하고, 이러한 수단을 생략한 워크 스톡커 상에 놓인 자세의 안정성이 결여되어 스므스한 피가공물 수수(授受)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 가공영역의 안내면부와 반송영역의 안내면부를 일체(一體)로 한 베드로 되어있기 때문에, 베드가 대형화로 되어 설치대의 면적의 감소화를 기할 수 없는 동시 강성(剛性)이 별로 필요치 않은 반송(搬送) 영역의 안내면부에 필요 이상의 강성을 부여한 허실부분이 많다. 즉, 이 공작기계로 가공할 수 있는 공작물의 최대 가공 직경(經)에 비하여 공작기계가 대형화되어 스페이스 감소화를 기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일본특허공개 소60-249501호 공보에는 주축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한 주축두부(主軸頭部)에 개폐식 척을 장착한 NC 선반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그러나 이 NC 선반은 문형틀, 횡보(Cross Rail)에 주축두부가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구성이며, 베드 위에 절삭칩이 쌓이거나 베드면에 쿨런트(절삭유제)가 흐르거나 하여, 베드가 열 변형을 일으킨다.
베드가 열변형 했을 경우 피가공물의 가공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아, 베드에 고정된 날공구대의 공구와 주축 두부 사이에 상대적 변위가 일어나 피가공물의 가공 정도(精度)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또 이 NC 선반 역시 스페이스의 감소화를 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삭(旋削)공작기계는 단체기(單體機)로서 사용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하고 있으나 가공(加工)개수, 가공내용에 따라서 이들을 조합하여 가공하는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다. 공작물의 가공 내용에 따라서 복수대의 선삭 공작기계를 조합하여 가공시스템으로 사용하는 대수(臺數), 기계의 배치위치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면 않된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어 있는 입선반은 이러한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 배경의 바탕에서 되어진 것으로 하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체(單體)의 입선반(立旋盤)으로서, 또는 복수의 대수를 임의로 조합하여 선삭 가공시스템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높은 입선반을 제공하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가공셀(Cell)로서 능력이 있으며, 그 위에 간결한 구조의 입선반과 그의 가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봇, 로더 등의 공작물 자동 공급장치를 구비함 없이 공작물을 자동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입선반과 그의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작물의 표·이면(表·裏面)을 1대(臺)로 자동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입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칩의 열에 의해 베드의 열 변형이 생겨도 가공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베드 구조를 구비한 입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낸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을 나타내며, 주축이동형 입선반 2 개를 병렬 배치하고 중앙부에 공작물 저장장치 및 공작물 반전장치를 배치한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가공 시스템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를 나타내며, 주축이동형 입선반 2대를 병렬로 배치하고 그 중앙부에 공작물 저장장치 및 공작물 반전장치를 배치한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를 나타내며, 주축고정형 입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VII-V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나타내며, 실시예 1 의 주축이동형 입선반 및 실시예 5 의 주축고정형 입선반 2 대를 병렬 배치하며 중앙부에 공작물 저장장치를 배치한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이다.
도 9 (a), (b)는 주축대 이동형 선반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며, 공구를 정간격 위치에 배치한 빗형상의 날공구대를 구비한 것이다.
(a)는 측면도이고, (b)는 빗형상의 날공구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축 이동형 입선반,2 : 베드,
3, 83 : 후부베드부, 4, 82 : 전부베드부,
5, 85 : X축안내면,6, 86 : 이동대,
12, 92 : X축 서보모터,15 : 터릿 지지대 부착면,
16. 101 : 터릿 지지대,17, 117 : 터릿,
30, 100 : Z축안내면,31, 96 : 주축대
80 : 주축고정형 입선반,95 : 주축대 부착면,
150 : 빗형상의 날 공구대.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채용한다.
제 1 발명의 입선반은, 수직면이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인 베드와, 상기 수직면에 후기 터릿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터릿지지대 부착면과, 상기 터릿 지지대 부착면에 설치된 터릿지지대와, 상기 터릿지지대에 자유자대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 선회할출(旋回割出)이 가능하게 설치된 터릿(turret)과, 상기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안내레일과, 상기 수평안내레일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수직안내레일을 구비한 이동대와, 상기 수직안내레일 위에 수직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주축대와, 상기 주축대에 축선이 수직방향을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주축과, 상기 주축대에 설치된 상기 주축을 회전 구동하는 주축 모터와, 상기 주축의 상기 터릿과 대향한 측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수수(주고 받는) 및 가공시의 파지하기 위한 공작물 척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발명의 입선반은, 제 1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터릿지지대 부착면은 상기 수직면의 수평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터릿지지대 부착면의 어느 한쪽에 상기 터릿지지대가 부착되어 있으면 된다.
제 3 발명의 입선반은, 제 1 발명 또는 제 1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척으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상기 수평안내레일을 상기 베드의 길이 보다 길게 연장한 연장수평레일을 구비한 것도 된다.
제 4 발명의 입선반은, 제 3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베드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연장수평레일의 근방에 배치된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도 된다.
제 5 발명의 입선반은, 제 4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저장장치는 상기 베드에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제 6 발명의 입선반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적어도 2 대의 상기 입선반을 상기 수평안내레일이 직렬로 되게 배치하고, 또한 2 개의 상기 수평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평안내레일을 가지면 된다.
제 7 발명의 입선반은, 제 6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양 베드사이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연결수평레일의 근방에 배치된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도 된다.
제 8 발명의 입선반은, 제 6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저장장치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 저장장치에 재치된 공작물을 반전하기 위한 공작물반전장치를 구비한 것도 된다.
제 9 발명의 입선반은, 수직면이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인 베드와, 상기 수직면에 후기 주축대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주축대 부착면과, 상기 주축대 부착면에 설치된 주축대와, 상기 주축대에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주축과, 상기 주축대에 설치되는 상기 주축을 구동하기 위한 주축모터와, 상기 주축에 착탈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된 공작물을 잡기 위한 공작물척과, 상기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안내레일과, 상기 수평안내레일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수직안내레일을 구비한 이동대와, 상기 수직안내레일 위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터릿지지대와, 상기 터릿지지대에 회전할 수 있고 선회할출이 가능하게 설치된 터릿(turret)과, 상기 터릿 지지대, 또는 상기 터릿에 설치된 공작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공작물을 잡는 핸드(Hand)로 된다.
제 10 발명의 입선반은 제 9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 부착면은 상기 수직면의 수평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주축대 부착면의 어느 한쪽에 상기 주축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된다.
제 11 발명의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은 제 1 발명의 입선반과 제 9 발명의 입선반으로 되는 입선반 가공시스템으로서, 적어도 2 대의 상기 입선반을 수평안내레일이 직렬로 되게 배치하고, 또한 2 개의 상기 수평안내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평안내레일을 가진 것이다.
제 12 발명의 입선반 가공시스템은 제 9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베드사이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연결수평레일의 근방에 배치된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제 13 발명의 입선반은 제 1 발명 또는 제 9 발명의 입선반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수직면 근방위치에 상기 수직면에 대하여 상기 수평안내레일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되는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터릿지지대의 선회할출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터릿의 작동 폭을 크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 14 발명의 입선반은, 수직면이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인 베드와, 후기(後記)하는 빗형상의 날공구대(날工具臺)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수직면의 수평방향 양단에 배치된 공구대 부착면과, 상기 양단의 공구대 부착면에 고정되어 공구가 직선상으로 배열된 빗형상의 날공구대와, 상기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안내레일과, 상기 공구대 부착면 사이의 상기 베드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구대 부착면에 대하여 상기 수평안내레일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된 평면과, 상기 수평안내레일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수평안내레일을 구비한 이동대와, 상기 수평안내레일 위에 수직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주축대와, 상기 주축대에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주축과, 상기 주축대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을 구동하기 위한 주축모터와, 상기 주축의 상기 터릿과 대향한 측에 설치되고 공작물의 수수(收受) 및 가공시의 파지하기 위한 공작물 척(chuck)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주축이동형 선반(1)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베드(2)는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이다. 베드(2)는 개략하면, 상자형의 후부(後部)배드부(3)와, 이 후부 베드부(3)보다 수직방향의 높이가 낮고 이 후부 베드부(3)의 전부(前部)에 일체로 설치하여 배치된 상자형의 전부(前部)베드부(4)로 구성되어 있다.
후부 베드부(3)의 상면에는 X축방향으로 2 개의 X축안내면(롤 안내기구의 궤도대)(5)가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X축 안내면(5)위에는, 이동대(6)가 X축선 방향으로 복수의 롤의 가이드본체(5a)를 개재(介在)하여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X축 안내면(5)과 롤의 가이드 체(5a)로 직선롤 안내기구를 구성한다. 또 2 개의 X축 안내면(5)이 수평안내레일이 된다. 2개의 X축 안내면(5)의 거의 중간 위치에서 이에 따라 X축선 방향 이송나사(7)가 배치되어 있다. X선방향 이송나사(7)에는 이동대(6)에 고정된 너트(7a)가 끼워져 있다.
X축 방향 이송나사(7)의 일단은 축수(軸受)브라켓(8)내에 설치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같이 X축선 방향 이송나사(7)의 타단부는 베드에 고정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이송나사(7)의 선단에는 이빨을 가진 풀리(9)가 고정되어 있다. 이빨을 가진 풀리(9)는 이빨을 가진 벨트(10)와 맞물려 있다. 이빨을 가진 벨트(10)는 X축서보모터(12)의 출력축에 고정된 이빨을 가진 풀리(11)와 맞물려 있다.
X축서보모터(12)의 출력축에 고정된 이빨을 가진 풀리(11)와 맞물려 있다.
X축서보모터(12)는 후부 베드부(3)내에 형성된 공동(空洞)(13)내에 배치되고 축수부라켓(8)에 고정되어 있다. 결국, X축서보모터(12)는 회전 구동되면, X축서보모터(12)의 출력축의 이빨을 가진 풀리(11), 이빨을 가진 벨트(10), 이빨을 가진 풀리(9), 및 X축 방향 이송나사(7)가 회전 구동된다. 이 X축선 방향 이송나사(7)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대(6)가 X축 안내면(5)위를 이동한다. 이 이동이 터릿(17)의 공구(T)의 X축선 방향의 이송이 된다.
또한, 축수브라켓(8)은 상기 설명에서는 한쪽의 후부 베드부(3)의 측면(51)에 고정되어 있으나 반대측의 측면에도 부착 가능하다. 즉, 축수브라켓(8), X축서보모터(12), 이빨을 가진 풀리(11), 이빨을 가진 벨트(10), 및 이빨을 가진 풀리(9) 등의 X축 이송기구는 타측면(51)에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후부 베드부(3)의 전면 양단에는, 수직면인 터릿지지대 부착면(15)이 형성되어 있다. 터릿지지대 부착면(15)은 터릿(17)이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터릿 지지대(16)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면이다. 어느 한쪽의 터릿 지지대 부착면(15)에 터릿 지지대(16)가 고정되어 있다. 특 터릿 지지대 부착면(15)은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의 공작기계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생산라인, 공장시설 등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사용된다.
터릿 지지대(16)에는 터릿(17)이 X축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할출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터릿(17)에는 공구(T)가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후부 베드부(3)의 전면 중앙부에는 평면(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18)은 수직면 또는 수직면에 가까운 평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략 상자형의 후부 베드부(3)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 절삭칩의 낙하가 스므스 하게 이루어지는 형상이면 이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평면도 된다. 또한, 약간 곡면상으로 되어 있는 것도 좋다. 이 평면(18)은 터릿 지지대 부착면(15)에 대하여 X축 안내면(5)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평면(18)을 형성하므로서 터릿(17)의 동작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후부 베드부(3)의 전부(前部)에는 전부베드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부베드부(4)는 가공시에 배출되는 절삭칩을 받아들이며 도시되지 않은 절삭칩 배출수단(칩 컨베이어)에 의해 베드(2)의 측부, 또는 후부에서 절삭칩을 배출하기 위한 직사각형 입방체의 절삭칩 배출 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절삽칩 배출공간(20)의 상부는 개구(開口)(21)가 형성되어 있다. 가공중에 발생하는 절삭칩은 개구(21)에서 쿨런트(절삭유제)와 함께 절삽칩 배출공간(20)에 직접 낙하한다.
또, 개구(21)의 주위에 낙하된 절삭칩은 개구(21)의 주위에 형성된 경사면(22) 및 경사면(23)에 의해 안내되어 절삽칩 배출공간(20)에 낙하한다. 절삭칩의 배출공간(20)의 밑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며, 이 필터로 절삭칩과 쿨런트가 분리된다. 분리된 쿨런트는 직사각형입방체 공간(24)에 낙하한다. 쿨런트 직사각형입방체 공간(24)내의 쿨런트는 가공부위에 순환 긍급되어 재사용된다.
이동대(6)의 전면에는, X축 안내면(5)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2개의 Z축안내면(30)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Z축안내면(롤의 안내기구 궤도대)(30)위에는 주축대(31)가 Z축선 방향으로 복수의 롤이 가이드본체(도시되지 않음)를 개재하여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2개의 Z축안내면부(30)의 거의 중간위치에서 이에 연(沿)하여 Z축방향 이송나사(32)가 배치되어 있다. Z축방향 이송나사(32)에는 주축대(31)에 고정된 너트(도시되지 않음)가 끼워져 있다. Z축방향 이송나사(32)의 일단은 축수브라켓(33)에 설치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같이 Z축방향 이송나사(32)의 타단(他端)은, 이송대(6)에 고정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Z축방향 이송나사(32)의 선단에는 이빨을 가진 풀리(34)가 고정되어 있다. 이빨을 가진 풀리(34)는 이빨을 가진 벨트(35)와 맞물려 있다. 이빨을 가진 벨트(35)는 Z축서보모터(37)의 출력축에 고정된 이빨을 가진 풀리(36)에 맞물려 있다.
Z축서보모터(37)는 이동대(6)내에 형성된 공동(도시되지 않음)내에 배치되어 있다. 결국 , Z축서보모터(37)가 회전 구동되면, Z축서보모터(37)의 출력축의 이빨을 가진 풀리(36), 이빨을 가진 벨트(35), 이빨을 가진 풀리(34), 및 Z축방향 이송나사(32)가 회전 구동된다. 이 Z축방향 이송나사(32)에는 주축대(31)가 고정된 너트가 끼워져 있어, 이 Z축방향 이송나사(32)의 회전구동에 의해 주축대(31)가 Z축안내면(30) 위를 상하로 이동한다.
주축대(31)에는 Z축선 방향을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주축(40)을 구비하여 공작물을 회전 구동한다. 주축(40)은 주축대(31) 내부에 조합된 빌트-인 모터(Built-in mote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주축(40)의 하부(前部)에는 공작물척(41)을 자유자재로 착탈 분리되게 부착할 수 있다. 공작물척(41)으로서 3 개의 파지편(Adjustable jaws), 또는 4개의 파지편 등이 유체압(유압, 공압)척, 콜릿 척(Collet chuck), 등이 주축대(31)의 상부(42)에 설치된 리테이너에는 빌트-인 모터의 회전속도 등을 검지하는 엔코더가 조립되어 있다. 엔코더, 공작물척(41)등의 구조는 주지의 구조이며 그 상세한 기능의 설명은 생략한다.
주축(40)의 상부(後部)에는 척실린더(43)가 설치되어 있다. 척실린더(43)는 공작물 파지용의 파지편(44)이 구동하여 공작물을 해방하기 위한 구동용 실린더이다. 척실린더(43)의 상부에는 로터리죠인트(45)가 탑재되어 있다. 로터리죠인트(45)는 회전하고 있는 척실린더(43)에 유압 유니트에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접속구(연手)이며, 외주부(外周部)가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규제(回轉規制)부재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주축(40)이 회전할 때 로터리죠인트(45), 축부측은 회전하나 외주부측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후부 베드부(3)의 후부에는 NC장치(도시되지 않음), 프로그램 컨트롤러 등을 탑재한 제어판(46)이 배치되어 있다.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동작)
상기 실시예 1 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NC 장치를 기동(起動)하고, X축서보모터(12)를 구동하여 이동대(6)를 이동시키어 공작물척(41)을 공작물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가공하고저 하는 공작물을 공작물척(41)에 척실린더(43)를 구동시키어 잡게 한다. 다음에 선삭가공이 개시된다. NC장치는 터릿(17)을 선회할출시키어 소망하는 공구(T)를 인출한다.
X축서보모터(12)가 회전구동되면, X축서보모터(12)의 출력축의 이빨을 가진 풀리(11), 이빨을 가진 벨트(10), 이빨을 가진 풀리(9),및 X축방향 이송나사(7)가 회전구동된다. 이 X축방향 이송나사(7)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대(6)가 X축안내면(5) 위를 이동한다. 이 같이, Z축서보모터(37)의 구동에 의해 Z축방향 이송나사(32)가 회전구동되어, 주축대(31)가 Z축 안내면(30)위를 이동한다.
X축서보모터(12) 및 Z축서보모터(37)의 제어에 의해 직선이동, 직선보간(補間), 원호(圓弧) 보간하여 공구의 경로와 속도를 제어하는 동시, 주축(4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소망의 선삭가공을 공구에 의해 행한다. 가공중에 발생하는 절삭칩, 쿨런트는 절삭칩의 배출공간(20)으로 낙하한다. 이 절삭칩, 쿨런트에서 발생되는 절삭열(熱)은 전부(前部)베드부(4), 후부(後夫)베드부(3)를 가열한다.
또, 공작물과 공구(T)와의 절삭점 근방에는 쿨런트를 공급하여 공작물 및 공구날끝을 냉각하기 때문에 쿨런트의 온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이 절삭칩 및 쿨런트에서 발생된 열은 터릿 지지대 부착면(15), 평면(18) 등을 가열한다. 그러나 후부 베드부(3)는 거의 상자형으로 되어 있어 다음과 같이 열변형 된다.
후부 베드부(3) 및 X축안내면은 평면보기(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가열된 부분이 가운데(중앙부)가 되는 블록형으로 미소량 열변형되나, 공구는 도 2 의 지면(紙面)에 대하여 직교방향(X축방향)에서 부터 가공하기 때문에 상기 열변형이 공작물의 가공 정도(精度)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 도 2 와 같이 측면보기(측면에서 본 상태)에서는 터릿 지지대(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주축대(31)측이 반전하는 것과 같이 열변형되나, 공구는 도 2 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X축방향)에서부터 가공하기 때문에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다. 이와 같이 열변형이 생기더라도 공작물의 가공정밀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나타낸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정면도이다. 상기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베드(2)위의 X축안내면(5)은, 후부 베드부(3)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축대(31)는 X축안내면(5)을 넘어 이동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의 주축이동형 입선반(1)은 X축안내면(5)을 배드(2)에서 연장하여 주축대(31)를 베드(2)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한 공작물의 공급 및 배출을 주축대(31)의 공작물척(44)으로 직접 행하도록 한 것이다.
후부 베드부(3)에는 수평인 X축안내면(5)을 연장하기 위한 연장X축안내레일(50)이 배치되어 있다. 연장X축안내레일(50)은 지지대(52)위에 지지되어 있고, 이 지지대(52)는 후부 베드부(3)의 측면(51)의 연장레일 부착면(53)에 고정되어 있다.
연장레일 부착면(53)은 지지대(52)를 자유자재로 착설 분리할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한 부착면이며, 베드부(3)의 반대측의 타측면(51)에도 형성되어 있다. 연장레일 부착면(53)은 보울트용 나사구멍(도시되지 않음)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X축안내레일(50) 및 그 지지대(52)는 기계본체의 베드(2)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설치한 것이어서, 그의 베드(2)보다는 정도(精度), 강성(剛性)이 낮아도 된다. 또한, 베드(2)의 측면에는 공작물 공급 및 배출을 위한 공작물 저장장치(55)가 배치 및 고정되어 있다. 공작물 저장장치(55)는 미가공의 소재, 가공을 마친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체인(도시되지 않음)으로 연결된 팔레트에 소재(M), 공작물(W)을 탑재하기 위한 것이다. 공작물 저장장치(55)의 구조와 기능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고 평2-53337호 공보, 일본국공개특허공고 평5-19284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고, 소재(M), 또는 공작물(W)을 팔레트(58)위에 1 개 단위로 평적(平積)하고 또한 복수개로 단적(段積)하고 있다. 공작물 저장장치(55)의 본체(56)는 후부 베드부(3)의 측면(51)에 보울트(도시되지 않음)등의 고정수단으로 자유자재로 착설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체(56)의 상면(57)에는 복수의 팔레트(58)가 탑재되며, 이 팔레트(58)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팔레트(58)위에는 가공을 마친 공작물(W), 또는 소재(M)가 탑재된다. 팔레트(58)의 하면에는 복수개(예컨데 3개, 또는 4 개)의 캐스터(59)가 설치되어 있다. 캐스터(Caster)(59)는 팔레트(58)를 상면(57)에서 전동(轉動)하기 위한 것이다.
팔레트(58)를 연결하여 구동하고 있는 체인은 이들의 이빨이 맞물림된 스프로켓으로 구동된다. 스프로켓은 구동모터로 구동되며, 팔레트(58)를 공작물 또는 소재를 공급, 또는 배출위치에 그 위치를 결정한다. 주축대(31)를 연장X축레일(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어 소재(M)를 공작물척(44)으로 잡고 가공완료후, 다시 공작물(W)을 비어 있는 팔레트에 되돌린다.
본 실시예 2 의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주축대(31)가 이동하여 공작물 공급 및 배출을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공작물 저장장치(55)가 공작물 저장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공작물을 공작기계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공작의 가공셀을 구성한다.
[실시예 3]
도 4 는 상기 주축이동형 입선반(1)을 2대 병렬로 배치하고 중앙부에 공작물 저장 장치(55) 및 공작물 반전장치(60)를 배치한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이나. 2대의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후부 베드부(3) 사이에는 수평한 X축안내면(5)을 연장하고, 또한 연결하기 위해 연결X축안내레일(61)이 배치되어 있다.
연결X축안내레일(61)은 지지대(62)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62)는 후부 베드부(3)의 측면(51)에 보울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 주축이동형 입선반(1)은 주축대(31)를 연결X축안내레일(61) 위를 이동 가능하며, 공작물(W), 또는 소재(M)의 공급 및 배출을 주축대(31)의 공작물척(44)으로 직접 할 수 있다. 2대의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사이에는 공작물 저장장치(55)의 본체(63)에 배치되어 있다. 공작물 반전장치(60)는 팔레트(58)위에 탑재되어 있는 공작물(W)을 잡고 반전하기 위한 것이다.
소재(M)는, 공작물척(44)으로 파지되어 있어 한쪽 밖에 선삭 가공할 수 없다. 이 같은 때의 일단부의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W)은 공작물 저장장치(55)의 팔레트(58)위에 탑재된다. 공작물 반전장치(60)의 핸드(65)는 공작물(W)을 잡기 위한 것이다. 핸드(65)는 진퇴암(ARM)(66)의 선단에 탑재되어 있다.
진퇴암(66)은, 진퇴암 구동장치(67)에 의해 진퇴암 축선방향의 진퇴운동, 상하운동, 수직출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운동 또는 진퇴암(6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운동을 한다. 즉, 핸드(65)를 팔레트(58) 위의 공작물(W)을 잡을 수 있는 위치와, 팔레트(58)가 본체(63)위를 이동할 때 공작물(W)과 간섭하지 않는 진퇴 위치 사이에서의 진퇴운동, 공작물(W)에 의해 핸드(65)의 잡음(파지)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하운동, 핸드(65)가 잡은 공작물(W)의 표·이면을 반전하는 선회운동을 한다.
2대의 주축이동형 입선반(1)에 의한 선삭가공은 평행하여 같은 내용의 기계가공 운전방법도 되고, 한쪽에서 전(前)공정의 가공을 하고, 공작물 반전장치(60)로 이를 반전하여 타측을 후(後) 공정의 가공을 하는 운전 방법도 된다.
[실시예 4]
도 5 는 상기 주축이동형 입선반(1)을 2대 병렬로 배치하고 이 중앙부에 공작물 저장장치(55), 및 상부에 공작물 반전장치(70)를 배치한 주축이동형 입선반의 가공 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공작물 반전장치(60)는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중앙부에 배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의 공작물 반전장치(70)는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상부에 배치된 것이다.
2대의 주축이동형 입선반(1)사이에는 레일(72)이 배치되어 있다. 레일(72)의 양단에는 베드(2)에서 세워진 지주(71)로 지지되어 있다. 레일(72)위에는 핸드장치(73)가 상하 실린더(74) 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핸드장치(73)의 선단에는 공작물(W), 또는 소재(M)를 파지하는 파지편(74)이 구비되어 있다. 공작물(W) 또는 소재(M)를 반전할 때는 상하 실린더(74)를 구동하여 핸드장치(73)를 상하로 작동한다.
핸드장치(73)의 공작물(W)의 반전기능에 대하여는 상기 공작물 반전장치(60)와 같다. 2대의 주축이동형 입선반을 연결하고 있는 지지대(62)의 상면(62a)에 공작물 저장장치(55)의 팔레트(58), 체인(도시되지 않음),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배치하고 있다. 이 공작물 저장장치(55)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5]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를 나타낸 주축고정형 입선반 (80)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VII-V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주축이동형 입선반(80)의 베드(81)는 주축 고정형 입선반(80)의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이다. 배드(81)의 구성은 상기한 주축이동형 입선반(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전부베드부(82) 및 후부 베드부(83)으로 된다.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부 베드부(83)의 상면에는 X축 방향으로 2 개의 X축안내면(85)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X축안내면(85)위에는 이동대(86)가 X축방향으로 복수개의 롤가이드본체(85a) 를 개재하여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X축안내면(85)와 롤가이드본체(85a)로서 직선롤 안내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2개의 X축안내면(85)이 거의 중간위치에서 이에 연(沿)하여 X축방향 이송나사(87)가 배치되어 있다.
X축방향 이송나사(87)에는 이동대(86)에 고정된 너트(도시되지 않음)가 끼워져 있다. X축방향 이송나사(87)의 일단은, 후부 베드부(83)의 측면(94)에 고정된 축수브라켓(88)에 내장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같이, X축방향 이송나사(87)의 타단은 후부 베드부(83)에 고정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X축방향 이송나사(87)의 선단에는 이빨을 가진 풀리(89)가 고정되어 있다. 이빨을 가진 풀리(89)는 이빨을 가진 벨트(90)와 맞물려 있다. 이빨을 가진 벨트(90)는 X축서보모터(92)의 출력축에 고정된 이빨을 가진 풀리(91)에 맞물려 있다.
X축서보모터(92)는, 후부 베드부(83) 내에 형성된 공동(93)에 배치되어 있다. 결국, X축서보모터(92)가 회전 구동되면 X축서보모터(92)의 출력축의 이빨을 가진 풀리(91), 이빨을 가진 벨트(90), 이빨을 가진 풀리(89), 및 X축방향 이송나사(87)가 회전구동 된다. 이 X축방향 이송나사(87)는 이동대(86)에 고정된 너트(87a)가 끼워져 있어 X축방향 이송나사(87)의 회전구동에 의해 이동대(86)가 X축안내면(85)를 이동한다.
후부 베드부(83)의 전면의 양단에는 수직면인 주축대 부착면(95)이 형성되어 있다. 주축대부착면(95)은 주축대(96)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면이다. 어느 한쪽의 주축대 부착면(95)에 주축대(96)가 고정되어 있다. 즉, 주축대 부착면(95)은 오른쪽 배치 또는 왼손 배치의 공작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산라인, 공장시설등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주축대(96)에는 Z축선 방향으로 공작물을 회전구동하는 주축(97)을 구비하고 있다. 주축(97)은 주축대(96) 내부에 조립된 빌트-인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주축(97)의 상부에는 공작물척(98)이 자유자재로 착탈 분리되게 부착할 수 있다. 주축대(96)의 내부구조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 1 의 주축대(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대(86)의 전면에는, Z축방향으로 2개의 Z축안내면(100)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Z축안내면(100)위에는 터릿 지지대(101)가 Z축방향으로 직선롤 안내기구를 구성하는 롤가이드본체(도시되지 않음)를 개재하여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2개의 Z축안내면(100)의 거의 중간부에서 이에 연(沿)하여 Z축방향 이송나사(102)가 배치되어 있다. Z축방향 이송나사(102)에는 터릿지지대(101)에 고정된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있다. Z축방향 이송나사(102)의 일단은, 축수브라켓(103)에 내장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같이, Z축방향 이송나사(102)의 타단에는, 이동대(86)에는 고정된 축수(도시되지 않음)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Z축방향 이송나사(102)의 선단에는 이빨을 가진 풀리(104)가 고정되어 있다. 이빨을 가진 풀리(104), 이빨을 가진 벨트(105)와 맞물려 있다. 이빨을 가진 벨트(105)는 Z축서보모터(107)의 출력축에 고정된 이빨을 가진 풀리(106)와 맞물려 있다.
Z축서보모터(107)은 이동대(86)에 형성된 공동내에 배치되어 있다. 결국, Z축서보모터(107)가 회전 구동되면, Z축서보모터(107)의 출력축의 이빨을 가진 풀리(106), 이벨(105), 이빨을 가진 풀리(104) 및 Z축방향 이송나사(102)가 회전하여 구동된다. 이 Z축방향 이송나사(102)에는 터릿 지지대(101)에 고정된 너트가 끼워져 있어 Z축방향 이송나사(102)의 회전구동에 의해 터릿 지지대(101)가 Z축안내면(100)위를 이동한다.
터릿 지지대(101)에는 터릿(117)이 선회할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터릿(117)에는 공구(T)가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터릿(117)의 일면에는 공작물 핸드기구(115)가 부착되어 있다. 공작물 핸드기구(115)는 파지편(1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파지편(116)은 공작물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소재(M) 또는 가공을 마친 공작물(W)을 파지한 다음 공작물척(98)에게 잡게 하거나, 또는 공작물척(98)에 파지된 공작물(W)을 반전하여 재차 공작물척(98)에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터릿 지지대(101)의 하면에는 공작물핸드기구(120)를 부착할 수 있다. (도 6 참조). 이 경우에는 터릿(117)의 일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보다 큰 직경의 공작물에 대응가능한 공작물 핸드기구(120)를 장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공작물 핸드기구(120)는 파지편(121)을 가지고 있고, 이 파지편(121)에 의해 공작물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소재(M), 또는 가공을 마친 공작물(W)을 파지하고, 공작물척(98)에 파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부 베드부(83)의 전면 중앙부에는 평면(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110)은 수직면, 또는 수직면에 가까운 평면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략 상자형의 베드(2)로 형성하는 동시 절삭칩의 낙하가 스무스하게 이루어지는 형상이면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가진 경사진 평면이라도 된다. 또한 약간 곡면상으로 되어도 된다. 이 평면(110)은, 주축 부착면(95)에 대하여 X축안내면(85)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축고정형 입선반(80)의 동작)
실시예 5 의 동작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NC 장치를 작동시키어 이 제어에 의해 가공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터릿 지지대(101)를 이동시키고 공작물핸드기구(120)의 파지편(121)으로 공작물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소재(M)를 잡고 공작물척(98)에 파지시킨다.
다음에 터릿(117)을 선회할출시키어 소망하는 공구(T)를 인출한다. X축서보모터(92)가 회전 구동되면, X축서보모터(92)의 출력축의 이빨을 가진 풀리(91), 이빨을 가진 벨트(90), 이빨을 가진 풀리(89), 및 X축방향 이송나사(87)가 회전 구동된다. 이 X축방향 이송나사(87)의 회전구동에 의해 이동대(86)가 X축안내면(85) 위를 이동한다.
이같이, Z축서보모터(107)의 구동에 의해 Z축방향 이송나사(102)가 회전 구동된다. 터릿 지지대(101)이 Z축안내면(100)위를 이동한다. X축서보모터(92) 및 Z축서보모터(107)의 제어에 의해 직선운동, 직선보간, 원호보간을 하여 소망하는 가공을 한다. 가공중에 배출되는 절삭칩, 쿨런트는 상기한 주축이동형 입선반(1)과 동일하게 처리되므로 베드(81)의 열변형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공작물의 표면을 가공 완료하면, 공작물 핸드기구(120)의 파지편(121)에 의해 공작물척(98)에 잡혀 있는 공작물(W)을 잡고 반전하여 다시 공작물척(98)에 파지시킨다. 재차 X축서보모터(92) 및 Z축서보모터(107)의 제어에 의하여 직선, 이동, 직선보간, 원호보간하여 이면(裏面)을 가공한다. 가공완료하면 공작물 핸드기구(120)에 의해 가공을 마친 공작물(W)을 공작물 저장장치로 배출한다.
[실시예 6]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6 을 나타낸 상기 실시예 1 의 주축이동형 이번반(1) 및 주축고정형 입선반(80)을 2대 병렬로 배치하고 중앙부에는 공작물 저장장치(130)를 배치한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이다.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X축안내면(5)과 주축고정형 입선반(80)의 X축안내면(85)과의 사이에는 X축안내면(5)을 연장하고 또한 연결하는 연결X축안내레일(131)이 배치되어 있다.
연결X축안내레일(131)은 지지대(132)위에 지지되어 있어, 이 지지대(132)는 후부 베드부(83)의 측면(94)에 형성된 연장레일부착면(93)에 보울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주축대(31) 및 주축고정형 입선반(80)의 터릿 지지대(101)는 연결X축안내레일(131)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공작물(W), 또는 소재(M)의 공급 및 배출을 주축대(31)의 공작물척(44), 또는 터릿 지지대(101)의 공작물 핸드기구(120)로 직접 행할 수 있다.
또, 주축이동형 입선반(1) 및 주축고정형 입선반(80)의 사이에는 공작물 저장장치(130)의 본체(133)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133)의 위에는 상기한 공작물 저장장치(130)의 팔레트(58)등이 탑재되어 있다. 주축이동형 입선반(1)으로 상기한 가공을 한다.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W)은 공작물 저장장치(130)로 되돌린다. 다음에, 터릿 지지대(101)에 이동시키어 공작물 핸드기구(120)의 파지편(121)으로 공작물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상기 가공을 마친 공작물(W)을 잡고 공작물척(98)에 파지시킨다.
주축대(31)의 공작물척(44)에서 주축대(96)의 공작물척(98)에 직접 수수(授受)해도 된다. 이 때, 주축대(31)는 X축안내면(5), 연결X축안내레일(131), X축안내면(85)위를 이동한다. 다음에, 터릿(117)을 선회할출시키어 소망하는 공구(T)를 인출하여 상기 동작으로 가공한다. 가공이 완료되면 공작물 핸드기구(115), 또는 공작물 핸드기구(120)에 의해 가공을 마친 공작물(W)을 공작물 저장장치(130)로 배출한다. 결국, 주축이동형 입선반(1) 및 주축공정형 입선반(80)으로 필요한 가공을 한다.
[기타 실시예]
도 9 는 주축이동형 입선반(1)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공구(T)를 직선상으로 1렬 또는 2렬로 배치한 빗형상의 날공구대(150)로 한 것이다. 빗형상의 날공구대(150)는 수직면인 양측의 공구대 부착면(15a)(15a)에 부착된다. 즉, 양측의 공구대 부착면(15a)(15a)에 부착하므로서 베드(2)의 전면인 평면(18)과 빗형상의 날공구대(150)의 사이에 큰 공간(51)을 형성할 수 있어, 절삭칩의 하측의 개구(21)에 스므스하게 낙하할 수 있다. 또 주축이동형 입선반(1)은 X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를 가지고 있어 공구(T)를 한선상에 여러개 나란히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은 터릿 지지대 부착면(15)의 2곳의 어느 한 쪽에, 터릿 지지대(16)가 부착되어 있으나 양측에 부착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 1 의 2개의 X축안내면(5), 및 실시예 5 의 2개의 X축안내면(85)는 수평면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2개의 수평면에 배치해도 된다. X축안내레일, Z축안내레일을 롤러직선 안내기구의 X축안내면, Z축안내면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안내기구를 접동 안내기구로 하고, 접동 안내기구의 X축안내면, Z축안내면이라도 된다. 또 상기 전부베드부(4) 및 전부베드부(82)는 절삭칩, 쿨런트를 받아 처리하는 것이면 공작기계의 본체의 기능상 없어도 된다.
상기 실시예 5의 터릿(117)에 탑재한 핸드기구(115) 및 터릿 지지대(101)에 탑재한 핸드기구(120)는 어느 한쪽에 탑재하면 된다. 양측에 탑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 3 및 4에서는 입선반이 2대이나 2대 이상의 복수대도 된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X축안내면(5)과 연장X축안내레일(50)은 별도의 부품으로 설명하였으나 일체로 형성된 1개의 긴 안내레일도 된다. 후부 베드부(3)에서 오버행하는(Over hang) 부분을 별개 부품의 지지대(52)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5에는 X축레일(85)의 연장 부분은 구비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실시예 2 의 구조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같은 구조의 한쪽 지지구조의 연장X축레일, 및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이면 된다. 이 연장X축레일의 상세한 구조는 상기 실시예 2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입선반은 단체(單體) 입선반으로서, 또는 복수의 대수(臺數)를 조합하여 선삭 가공시스템으로 하여도 사용할 수 있고 유연성이 높다. 또 본 발명의 입선반은 최소의 가공셀로서 기능(機能)하고, 또한 간단한 구조이다. 또 본 발명의 입선반의 가공시스템은 로봇, 로더 등의 공작물 자동 공급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공작물을 자동으로 공급 및 배출한다.
또, 본 발명의 입선반은 공작물의 표·이면을 1 대로 자동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선반의 베드의 구조는 절삭칩의 열에 의해 배드의 열변형이 생기는 경우에도 공작물의 가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Claims (14)

  1. 수직면이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인 베드와,
    상기 수직면에 후기의 터릿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터릿 지지대 부착면과, 상기 터릿 지지대 부착면에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터릿 지지대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고 선회할출할 수 있게 설치된 터릿과, 상기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안내레일과,
    상기 수평안내레일 위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고 수직방향에 수직안내레일을 구비한 이동대와,
    상기 수직안내레일 위에 수직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주축대와,
    상기 주축대에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주축과,
    상기 주축대에 설치된 상기 주축을 회전 구동하는 주축 모터와,
    상기 주축의 상기 터릿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수수 및 가공시의 파지하기 위한 공작물척들을 구비하고 있는 입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릿 지지대 부착면은 상기 수직면의 수평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터릿 지지대 부착면의 어느 한쪽이 상기 터릿 지지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척으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상기 수평 안내레일을 상기 베드의 길이 보다 길에 연장한 연장수평레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베드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연장수평레일의 근방에 배치된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저장장치는 상기 베드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대의 상기 입선반을 상기 수평안내레일이 직렬로 되게 배치하고, 또한 2 개의 상기 수평안내레일 사이에 연결하는 연결수평안내레일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의 가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양 베드사이에 인접하고, 또한 연결수평레일의 근방에 배치된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저장장치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작물 저장장치에 재치된 공작물을 반전시키기 위한 공작물 반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9. 수직면이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인 베드와,
    상기 수직면에 후기의 주축대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주축대 부착면과,
    상기 주축대 부착면에 설치된 주축대와,
    상기 주축대에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주축과,
    상기 주축대에 설치된 상기 주축을 구동하기 위한 주축 모터와,
    상기 주축에 자유자재로 착탈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된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공작물척과,
    상기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안내레일과,
    상기 수평안내레일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수직 안내레일을 구비한 이동대와,
    상기 수직안내레일 위에 수직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터릿 지지대와,
    상기 터릿 지지대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선회할출이 가능하게 설치된 터릿과,
    상기 터릿 지지대 또는 상기 터릿에 설치된 공작물 공급 및 배출을 위한 공작물 핸드기구 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 부착면은 상기 수직면의 수평방향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주축대 부착면의 어느 한쪽에 주축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2대의 상기 입선반을 상기 수평 안내레일이 직렬로 되게 배치하고, 또한 2 개의 수평안내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평안내레일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의 가공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베드사이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연결수평레일의 근방에 배치된 공작물 저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의 가공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수직면 근방위치에 상기 수직면에 대하여 상기 수평안내레일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터릿 지지대에 선회할출이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터릿의 작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14. 수직면이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는 대(臺)인 베드와,
    후기의 빗형상의 날공구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면의 수평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공구대 부착면과,
    상기 양단의 공구대 부착면에 고정되고, 공구가 직선상에 배열된 빗형상의 날공구대와,
    상기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안내레일과,
    상기 공구대 부착면의 사이의 베드에 형성되고, 상기 공구대 부착면에 대하여 상기 수평안내레일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 평면과,
    상기 수평안내레일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수직안내레일을 구비한 이동대와,
    상기 수직안내레일 위에 수직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주축대와,
    상기 주축대에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주축과,
    상기 주축대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을 구동하기 위한 주축모터와,
    상기 주축의 상기 터릿과 대향한 측에 설치되고 공작물의 수수(授授) 및 가공시의 파지를 위한 공작물척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선반.
KR1019970022118A 1996-11-11 1997-05-30 입선반및그의가공시스템 KR100488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23096A JP3802627B2 (ja) 1996-11-11 1996-11-11 立旋盤及びその加工システム
JP96-314230 199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748A true KR19980041748A (ko) 1998-08-17
KR100488247B1 KR100488247B1 (ko) 2005-08-11

Family

ID=1805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118A KR100488247B1 (ko) 1996-11-11 1997-05-30 입선반및그의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02627B2 (ko)
KR (1) KR100488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1657B2 (ja) * 2001-07-02 2011-08-31 森精機興産株式会社 工作物搬送装置および加工システム
JP4651878B2 (ja) * 2001-07-25 2011-03-16 森精機興産株式会社 工作物搬送装置および加工システム
DE102006026184A1 (de) * 2006-05-30 2007-12-06 Index-Werke Gmbh & Co. Kg Hahn & Tessky Drehbearbeitungszentrum
KR20100076007A (ko) * 2007-11-09 2010-07-05 시티즌 마쉬나리 가부시키가이샤 공작 기계
WO2009060580A1 (ja) * 2007-11-09 2009-05-14 Citizen Machinery Co., Ltd. 工作機械
DE102011110202B4 (de) * 2011-08-16 2015-05-13 Emag Holding Gmbh Selbstladende Werkzeugmaschine mit zwei vertikalen Werkstückspindeln
JP6538441B2 (ja) * 2015-06-19 2019-07-03 株式会社Fuji 生産システム
JP6656558B2 (ja) 2015-11-30 2020-03-04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縦型旋盤
CN107877265A (zh) * 2017-12-07 2018-04-06 浙江恒大数控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模组化套件的智能复合机床
JP7086913B2 (ja) * 2019-10-21 2022-06-20 高松機械工業株式会社 加工装置
CN114536012B (zh) * 2022-02-11 2024-01-16 安徽霍仕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阀门阀杆的组合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38001A (ja) 1998-05-26
JP3802627B2 (ja) 2006-07-26
KR100488247B1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427B1 (en) Lathe and a machining system of a lathe
JP5385675B2 (ja) 旋削加工用工作機械
US5704262A (en) Multiple-spindle lathe
EP0028735B1 (en) A machining center equipped with a robot device
USRE37794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holes in crankshafts
KR100488247B1 (ko) 입선반및그의가공시스템
JP2000317750A (ja) 万能工作機械
JP2008183705A (ja) ワークピース処理装置
US5655423A (en) Method of machining workpeices
JPH1190701A (ja) 加工セル
US7008152B2 (en) Machine tool for processing work pieces on at least three axes
JP2006110716A (ja) 多面加工機およびワーク位置決め装置
JP2002178238A (ja) 自動供給排出装置付き工作機械及びその加工方法
JP3772926B2 (ja) 立旋盤及びその加工システム
JP2652075B2 (ja) 三つのワークスピンドルを備えた旋盤
JPH029502A (ja) 複合加工用旋盤
JPH0890302A (ja) 金属工作機械
JP3911441B2 (ja) ワーク受渡し装置
US20230039453A1 (en) A numerically controlled turning center with double turning axis
JPH0798281B2 (ja) ローディング装置
EP3851244B1 (en) A numerically controlled turning center with a gantry structure
JPH0197542A (ja) パレット交換方法
WO2001000359A1 (en) A lathe
US11163295B2 (en) Continuous machining with robotic table tracking of fixture
KR830002271B1 (ko) 로봇 장치를 구비한 기계가공 센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