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58U - 미등점등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미등점등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458U
KR19980041458U KR2019960054551U KR19960054551U KR19980041458U KR 19980041458 U KR19980041458 U KR 19980041458U KR 2019960054551 U KR2019960054551 U KR 2019960054551U KR 19960054551 U KR19960054551 U KR 19960054551U KR 19980041458 U KR19980041458 U KR 19980041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micro control
turned
presen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4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458U/ko
Publication of KR19980041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5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1Alarm devices when the motor is stopped and the lights are 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등점등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등화장치는 전조등 및 차폭등을 위시하여 차실내외에 장착된 여러종류의 등화가 시동스위치의 온오프와 상관없이 그 작동에 개별적으로 작동하여 온오프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스위치의 오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장시간 방지되었을 경우에는 배터리가 전원이 소모되어 완전히 방전되어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도어의 잠김을 감지하는 도어록 감지센서(10)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MCU, 18)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출력단에 릴레이(16)를 매개로 한 비상등(12)이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록 감지센서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출력단에 비상등을 연결시킨 것으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미등의 소등을 비상등의 점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등점등 경보장치
본 고안은 미등점등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등화장치의 켜짐 상태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어의 로킹시 비상등이 점등할 수 있도록 한 미등점등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예시도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등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야간에 운전을 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가시거리 확보 및 안전 주행을 하기 위하여 전조등(1)을 점등시키고, 야간 주행중 앞뒤에서 보았을 때 현 자동차의 존재를 상대편의 차량에게 알려주는 방어적인 입장에서 차폭등(2)을 점등시키며, 그 외에 야간 주행시에는 실내등, 안대등과 같은 각종 등화장치를 사용한다.
상기한 등화장치는 모두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상황에 맞게 작동되어 점등되고, 운전자의 조향핸들 하단부에 위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작동으로 점등과 점멸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컴비네이션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부에 여러가지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스위치의 노브를 돌리면 차폭등(2)이 작동하고 여기서 한번 더 돌리면 전조등(1)이 작동하며,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전체적으로 상하 작동시키면 헤드램프의 하이빔이 점등하고 좌우로 작동시키면 방향지시등이 작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는 시동스위치의 온오프와 관계없이 개별적으로 배터리에 연결되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등화장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시켜 놓을 경우에는 상기한 차량의 전원인 배터리가 방전되어 운전자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등화장치는 전조등(1) 및 차폭등(2)을 위시하여 차실내외에 장착된 여러종류의 등화가 시동스위치의 온오프와 상관없이 그 작동이 개별적으로 작동하여 온오프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스위치의 오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장시간 방지되었을 경우에는 배터리가 전원이 소모되어 완전히 방전되어 다시 사용할 수 없었다.
특히, 배터리의 전원은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다시 충전이 되므로 상기의 방전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스타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시동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등화장치의 켜짐 상태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어의 로킹시 비상등이 점등할 수 있도록 한 미등점등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잠김을 감지하는 도어록 감지센서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출력단에 릴레이를 매개로 한 비상등이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록 감지센서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출력단에 비상등을 연결시킨 것으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미등의 소등을 비상등의 점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등점등 경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등점등 경보장치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록 감지센서12:비상등
14:배터리16:릴레이
18: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MCU)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어의 잠김을 감지하는 도어록 감지센서(10)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MCU, 18)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출력단에 릴레이(16)를 매개로 한 비상등(12)이 연결된 미등점등 경보장치이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등점등 경보장치의 구성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미등점등 경보장치는 도어록 감지센서(10)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출력단에 연결된 비상등(12)의 점등에 의해서 미등이 소등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을 마치고 자동차를 주차시킬 경우에 차실내에서 시동을 끄고 나오면서 도어를 잠그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도어록 감지센서(10)는 상기 운전자가 도어를 잠그는 것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입력단에 송출하며, 상기 송출된 신호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에서 비교판단하여 출력단으로 이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는 미등의 점등여부를 확인하게 되어 미등이 점등되어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단으로 송출하고 미등이 소등되어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출력신호는 릴레이(16)의 일차측 코일을 자화시키고 상기 일차측 코일의 자화에 의해서 이차측 스위치는 온오프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축력단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송출되면 배터리(14)의 전류는 이차측 스위치의 온동작에 의해서 비상등(12)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등점등 경보장치의 흐름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후술되는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미등점등 경보장치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미등의 점등으로 장기간에 걸쳐 이를 방치할 경우 발생하는 배터리(14)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운전자가 야간이나 동틀 새벽녘에 미등을 점등하고 운전을 하다가 운전을 마치고 나서 미등을 소등하지 않고 시동을 끈채 도어의 로킹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어에 장착된 도어록 감지센서(10)에 의해서 이 신호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에 송출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는 미등의 소등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비상등(12)을 점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비상등(12)의 점등으로 미등의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어 배터리(14)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록 감지센서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의 출력단에 비상등을 연결시킨 것으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미등의 소등을 비상등의 점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의 잠김을 감지하는 도어록 감지센서(10)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MCU, 18)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18)의 출력단에 릴레이(16)를 매개로 한 비상등(1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등점등 경보장치.
KR2019960054551U 1996-12-23 1996-12-23 미등점등 경보장치 KR199800414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51U KR19980041458U (ko) 1996-12-23 1996-12-23 미등점등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551U KR19980041458U (ko) 1996-12-23 1996-12-23 미등점등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58U true KR19980041458U (ko) 1998-09-15

Family

ID=5399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551U KR19980041458U (ko) 1996-12-23 1996-12-23 미등점등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4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1458U (ko) 미등점등 경보장치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84363B1 (ko) 차량의 등화장치점등시 도어로크방지시스템
KR19990025395U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KR19980041462U (ko) 등화장치의 사용 표시장치
KR100240408B1 (ko) 자동차의 램프 자동 소등 방법
KR200352271Y1 (ko) 자동차의 미등 켜짐 경보장치
KR100427237B1 (ko) 차량용 다기능 전조등장치
KR0133753B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차폭등 자동 오프 장치
KR100503302B1 (ko) 차량용 램프점등 확인장치
KR100208595B1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감지장치
KR19980026034A (ko) 차폭등 소등 경보장치
KR0125298Y1 (ko) 자동차의 주간등 장치
KR200298861Y1 (ko) 안개등 점등 릴레이
KR19980030804A (ko)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KR19980055235A (ko) 자동차의 미등 점등 경보장치
KR19990041814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90020205A (ko) 충격센서를 이용한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KR19980054174U (ko) 차량의 전조등 및 차폭등 점멸 제어장치
KR19990005094U (ko) 자동차 점등회로의 단선 감지장치
JPS61171635A (ja) コ−ナリングランプ点灯装置
KR19980015124U (ko) 자동차의 미등 및 브레이크등에 의한 후진표시장치
JPS6112447A (ja) コ−ナリングランプ点灯回路
KR20040088235A (ko) 차량의 램프 지시장치
KR19990035002A (ko) 미등 단락시 점등되는 미등 경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