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503U -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503U
KR19980040503U KR2019960053584U KR19960053584U KR19980040503U KR 19980040503 U KR19980040503 U KR 19980040503U KR 2019960053584 U KR2019960053584 U KR 2019960053584U KR 19960053584 U KR19960053584 U KR 19960053584U KR 19980040503 U KR19980040503 U KR 199800405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battery
turned
igni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종석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53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503U/ko
Publication of KR19980040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503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축전지와 연결되어 점화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점등되는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켜, 축전지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는, 점화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점등되는 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전기장치 사이에 상기 점화스위치와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점화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전기장치로 흐르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차단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에 의하면,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점등되는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장치인 미등, 실내등 및 비상등을 온 시킨 상태에서 점화스위치를 오프하게 되는 경우, 전원차단 스위치에 의해 축전지의 전원이 차단되어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본 고안은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와 연결되어 점화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점등되는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켜, 축전지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에는 축전지(Battery)와 충전장치의 2계통이 있다. 엔진이 운전 중에는 충전장치가 각 전기장치의 전원으로 작동하고 있으나, 엔진이 정지하고 있거나 기동할 때에는 충전장치에서 전력을 얻을 수 없어, 필요한 전원을 축전지에 의존하게 된다. 또 축전지는 엔진을 운전하고 있을 때도 충전장치의 출력 부족이나 전압 변동을 보상하고,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일을 한다.
이와 같은 축전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스위치(1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기본적인 전지장치인 미등(11), 실내등(12) 및 비상등(13)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축전지(14)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점화스위치(10)를 온(ON)하게 되더라도 전술한 전기장치가 작동되므로 운전자가 점화스위치(10)를 온/오프하지 않고 기본 전기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기본적인 전기장치인 미등, 실내등 및 비상등을 온 시킨 상태에서, 실수로 차량을 장시간 방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축전지가 점차적으로 방전되어 엔진을 가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전지가 방전됨에 따라 차량을 운행하려면 축전지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축전지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전지에 연결된 기본적인 전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차단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 축전지22: 전원차단 스위치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점화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점등되는 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전기장치 사이에 상기 점화스위치와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점화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전기장치로 흐르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차단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과 효과는,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차단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점화스위치(21)를 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장치와 연결되는 와이어의 중간지점에 스위칭 역할을 할 수 있는 전원차단 스위치(22)를 구비한다. 이 전원차단 스위치(22)는 점화스위치(21)와 병렬로 형성되어 있어, 점화스위치(21)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장치 즉, 미등(23), 실내등(24) 및 비상등(25)의 점등을 스위칭하게 된다.
그리고, 점화스위치(21)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전원차단 스위치(22)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전기장치를 점등시킬 수 있으나, 점화스위치(21)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원차단 스위치(22)를 온 시키지 않으면 미등(23), 실내등(24), 비상등(25) 및 기타 전기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원차단 스위치(22)가 오프된 상태와 점화스위치(21)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기장치가 점등되지 않게 되어, 축전지(20)의 전원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석의 소정부에 형성된 전원차단 스위치(22)를 오프시킨 상태로 차량을 운행중, 운전자가 필요에 의해 사용하던 미등(23)이나 실내등(24) 및 비상등(25)을 실수로 온 시킨 상태에서 점화스위치(21)를 오프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원차단 스위치(22)에 의해 자동으로 축전지(20)의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전기장치의 점등이 중단되므로, 축전지(20)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축전지(20)의 전원을 최소량으로 사용하여 축전지(20)의 방전에 지장이 없는 최소한의 전기장치는, 전원차단 스위치(22)와 별도로 설치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점화스위치(21)가 오프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필요에 의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장치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전원차단 스위치(22)를 온 시킨 후, 필요한 전기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에 의하면,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점등되는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장치인 미등, 실내등 및 비상등을 온 시킨 상태에서 점화스위치를 오프하게 되는 경우, 전원차단 스위치에 의해 축전지의 전원이 차단되어 축전지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장치가 켜진 상태에서도 전원차단 스위치에 의해 축전지의 전원을 차단 및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산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점화스위치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점등되는 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전기장치 사이에 상기 점화스위치와 병렬로 형성되어 상기 점화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전기장치로 흐르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차단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KR2019960053584U 1996-12-21 1996-12-21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KR199800405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584U KR19980040503U (ko) 1996-12-21 1996-12-21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584U KR19980040503U (ko) 1996-12-21 1996-12-21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503U true KR19980040503U (ko) 1998-09-15

Family

ID=5399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584U KR19980040503U (ko) 1996-12-21 1996-12-21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5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9033B2 (ja) 車載ヘッドライト用の放電灯点灯装置
KR100473653B1 (ko) 램프 자동제어회로
KR19980040503U (ko) 차량의 전원차단용 스위치
CN109466432B (zh) 一种驻车灯光系统及车辆
KR200145177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안개등 온/오프 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100391541B1 (ko) 전 사향지 공용의 주간 주행등 제어 시스템
JP2009283250A (ja) 点灯装置
KR100410496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동회로
KR0184545B1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방법
KR19990010567U (ko)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
KR200195825Y1 (ko) 후미동 자동 소등 시스템
KR100372451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장치
KR0128068Y1 (ko) 보조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의 전원장치
KR100223619B1 (ko) 터치식 비상 스위치
KR100187419B1 (ko) 2중 필라멘트부를 갖는 차량램프용 전구의 수명연장회로
KR100316334B1 (ko) 경고등 제어장치
KR200250455Y1 (ko) 안개등작동시스템
KR200144843Y1 (ko) 카오디오의 유도램프 제어회로
KR19980035510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절전장치
JPH072312Y2 (ja) 車両用放電灯の点灯装置
KR19980048231A (ko) 자동차의 라이트 전원장치
KR19990026990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KR19990023752U (ko) 충전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시스템
KR970005914A (ko) 자동차의 전조등(Head Light)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