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447A -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0447A KR19980040447A KR1019960059630A KR19960059630A KR19980040447A KR 19980040447 A KR19980040447 A KR 19980040447A KR 1019960059630 A KR1019960059630 A KR 1019960059630A KR 19960059630 A KR19960059630 A KR 19960059630A KR 19980040447 A KR19980040447 A KR 199800404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vending machine
- chute
- beverage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슈트안에서 컵의 걸림이 있을 때, 그 컵 걸림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는, 판매 동작 개시에 의거하여 컵 공급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컵(6) 안의 음료수를 주입해서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본체 전면부에 설치한 컵 반출구(22)와, 상기 컵 반출구(22)를 개폐하는 판매문(3)과, 자동 판매기 본체안에서 음료의 주입을 받은 상기 컵(6)을 이 음료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컵 반출구(22)까지 이송하여 상기 컵 반출구(22)로부터 자동 판매기 본체의 외부로 보내지는 컵 이송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더하여, 컵 이송 수단에 의한 컵(6)의 이송 경로 도중에 판매가 불가능한 컵을 폐기하는 컵 폐기부(31)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음료 탱크는 판매기내의 상부 위치에 배치하고, 컵은 그 하부에 놓아 음료를 주입해서 판매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종래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음료가 주입된 컵을 투명문을 열고 그 음료 주입 컵을 꺼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컵을 꺼내는 판매구가 상당히 낮은 위치에 있었다. 이 때문에, 고객은 허리를 구부려서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을 꺼내지 않으면 안되어 거북한 자세를 강요당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 한쪽 손으로 문을 열고, 다른 손으로 꺼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그 컵은 판매구내에 탄력성이 있는 컵 파지 부재로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파지 부재로부터 한손으로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컵을 꺼낼 때 컵안의 음료가 가끔씩 업질러져 컵 파지 부재가 불결해지므로, 비위생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컵 슈트안에서 컵의 걸림이 있을 때, 그 컵 걸림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컵식 자동 판매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컵에의 음료 주입과 주입후의 컵 이동 과정을 나타내는 판매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컵 상하 이송 장치로의 이송 직후의 상황을 나타내는 판매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판매부에 컵이 밑에서 위로 떠오르는 상황을 나타내는 판매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컵 낙하시의 이상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흐름도
도 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매부2 : 카운터 테이블부
3 : 판매문4 : 조작 패널
4A : 선택 버튼5 : 컵 유지 장치
6 : 컵7 : 컵 유지부
7A, 7B : 컵 파지 부재8 : 레일
9 : 슬라이더부10 : 음료 주입 노즐
11 : 얼음 배출 호스12 : 컵 상하 이송 장치
13 : 풀리14 : 벨트
15 : 구동 전동기16 : 슬라이더
18 : 코우스터부19 : 안내간
20 : 풀리 지지축21 : 컵 안내 구조
22 : 컵 반출구23 : 컵 낙하 장치
24 : 컵 슈트25 : 컵 홀더
26 : 랙27 : 피니언
28M : 구동 전동기29 : 롤러
30 : 컵 받침대31 : 컵 폐기구
32 : 배수통35 : 롤러 받이부
37 : 축38A, 38B : 작동 레버
39A, 39B : 암40A, 40B : 용수철
41A, 41B : 돌기42 : 캠
43 : 캠 회전용 축44a : 캠 면
45 : 캠 구동 장치46 : 구동 전동기
47 : 감속 기구48 : 구동 기어
49 : 캠 구동 기어50 : 컵 전후 이송 장치
80 : 탄산 가스 노즐81 : 전자 밸브
82 : 분기 배관83 : 탄산 가스 봄베
164 : 컵 반출구165 : 덮개 부재
166 : 판매문167 : 구동축
168 : 감속 기구169 : 전동기
170 : 스프링 핀171 : 나선 절삭부
172 : 개구173 : 먼지
174, 176 : 돌기175 : 핀
177a : 직각면177b : 구배면
178 : 코일 스프링179 : 단일 방향 클러치
180 : 용수철181 : 문 열림 감지기
182 : 차폐판183 : 저지편
184 : 문 닫힘 감지기185 : 볼록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는, 본체 전면부에 설치한 컵 반출구와, 상기 컵 반출구를 개폐하는 판매문과, 자동 판매기 본체안에서 음료의 주입을 받은 상기 컵을 이 음료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컵 반출구까지 이송하여 상기 컵 반출구로부터 자동 판매기 본체의 외부로 보내지는 컵 이송 수단과 탄산수 제조를 위해 카아보네이터와 탄산가스 봄베와, 컵 송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컵이 컵 검지 센서 S를 통과하여 차광되지 않아 펄스의 발생이 없으면, 탄산 가스를 내뿜어서 컵 슈트안에 걸려 있는 컵을 강제적으로 배제시키기 위한 탄산 가스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컵식 자동 판매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판매부(1)는 종래의 직사각형 판매구와는 달리, 가로로 넓게 개방된 카운터 테이블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운터 테이블부(2)의 일부를 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카운터 테이블부(2)에 상품 반출용 컵 반출구를 설치하는 한편, 이 돔 부분의 밑으로 접근하며 동일한 모양의 돔 형상을 하고 있는 판매문(3)을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설치하고, 판매문(3)에는 그 판매문(3)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컵 반출구와 일치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은 이 판매문(3)에 의한 상기 컵 반출구는 폐쇄되고, 판매시에 쌍방 구멍이 일치함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판매부(1)는 종래의 높이의 위치보다도 한단 위쪽의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판매부(4A)는 선택 버튼(4A)을 부착시킨 조작 패널(4)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고,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으며, 컵(6)의 추출에 지장이 없는 높이의 칫수로 옆으로 길게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매부(1)에 음료 주입이 끝난 컵이 솟아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컵, 음료, 얼음 등이 송출되는 공급부는 판매기 안에서 분산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컵식 자동 판매기에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컵의 음료 주입과 주입후의 컵을 컵 상하 이송 장치로 이동시키는 상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또 도 3은 컵 상하 이송 장치에 의해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이 상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또 도 4는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이 판매부로 다가오는 상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5)는 판매 지령에 의해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컵 공급 장치로부터 송출된 컵(6)을 파지하는 개폐식의 컵 파지 부재(7A)(7B)를 갖고 있으며, 또한 컵의 이송 장치로서 작용하기도 하는 컵 유지 장치로서, 이 컵 유지 장치(5)는 자동 판매기의 캐비닛 안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레일(8)에 그 슬라이더부(9)를 자유롭게 활주하도록 설치하며, 자동 판매기의 정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으로 레일(8)을 따라 활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컵 유지 장치(5)가 통상 대기하고 있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위치의 위쪽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료 공급 장치나 제빙기 등이 설치되어 있고, 그들로부터의 음료 주입 노즐(10) 및 얼음 배출 호스(11)가 컵(6)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음료 공급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에 의한 상품 선택 동작에 부합하게 음료를 조합하여 컵 유지 장치(5)가 컵(6)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합한 음료를 음료 주입 노즐(10)를 통해서 컵(6)안으로 주입한다.
이때, 음료 공급 장치는 시럽을 탄산수로 희석시켜서 탄산 음료를 조합하거나 또는 커피 등의 분말 원료를 뜨거운 물로 용해시킴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서는 설탕, 우유를 첨가해서 커피 음료를 조합한다.
마찬가지로 제빙기도 소비자에 의한 상품 선택 동작이 있으면 얼음 배출 호스(11)를 통해서 컵 유지 장치(5)가 유지하고 있는 컵안으로 얼음을 송출한다.
컵에 음료와 얼음이 모두 공급되면, 컵 유지 장치(5)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활주 이동해서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위치로 전진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다.
컵 유지 장치(5)의 정지에 관한 제어는 컵의 이송로상에 배치되어 있는 광학적 위치 센서 등으로 제어한다.
도 4는 컵(6)이 판매부(1)의 카운터 테이블부(2) 위로 나온 상황을 나타내고 있고,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가 들어 있는 컵(6)은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도록해서 판매부(1) 안에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판매문(3)은 개방 동작하여 컵(6)이 나오는 컵 반출구(22)를 개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컵 공급 장치로부터 방출된 컵의 파지 → 컵으로의 음료 주입 → 음료 주입 후, 컵 상하 이송 장치로의 이동 → 컵 상하 이송 장치로의 컵의 이송 → 컵의 상승 동작 → 판매부로의 반출이라고 하는 일련의 판매 동작을 수행하여 컵 음료가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의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판매하는 큰 컵, 작은 컵에 맞게 컵 유지 장치(5)의 컵 파지 부재(7A)(7B)를 파지하는 상태로, 또 컵 받침대(30)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의 위치에 상하로 정해둔다.
소정의 동전이 투입되고 소비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판매 명령이 부여되면, 컵 공급 장치로부터 방출된 캠은 컵 슈트(24)를 통해서 컵 유지 장치(5)에 의해 유지된다.
컵 슈트(24)안에서 걸리거나 컵 유지 장치(5)의 장소에서 컵이 걸리거나 경사지게 되면, 컵 검지 센서 S가 그 상태를 검출해서 판매 정지 또는 컵 파지 부재(7A)(7B)를 약간 개방시켜서 정확히 파지되도록 고정시킨다.
캠 구동 장치(45)가 조금 시동되어서 유지된 후, 컵(6)은 변위해서 음료 주입 노즐(10) 측으로 다가가고, 그 위치에서 제빙기 및 음료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이나 음료를 유지하고 있는 컵(6)으로 받아서 음료 주입이 이루어진다.
음료 주입 후, 구동 장치(9A)에 의해 컵 상하 이송 장치(12)측으로 이동한다.
이동을 종료한 위치에서 컵 상하 이송 장치(12)의 코우스터부(18)가 상승해서 컵(6)의 밑면을 받아서 그 위에 탑재시키는 상태로 하면, 다시 캠 구동 장치(45)가 동작해서 컵 파지 부재(7A)(7B)는 이송 후 캠 구동 장치(45)가 다시 상승 동작을 하고 컵 파지 부재(7A)(7B)가 벌어져 있고 컵(6)은 코우스터부(18) 쪽으로 이송된다.
컵 파지 부재(7A)(7B)는 이송 후 컵 상하 이송 장치(12)가 다시 상승 동작을 하고 코우스터부(18)가 상승한 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해서 다음 판매를 대기한다.
이 코우스터부(18)의 상승 중에 판매문(3)은 이미 개방되고, 컵 반출구(2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컵(6)은 코우스터부(18)의 위에 놓여져 판매부(1)의 중앙밑으로부터 나온다.
컵(6)을 꺼낸 후, 코우스터부(18)는 본래의 위치로 하강하여 다음의 컵 이송을 대기하고, 일련의 판매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음료 주입 후, 컵의 수평 이동, 상승 이동의 일련의 동작의 과정에서 정전 등의 이상이 있어서 정지했을 경우에는 그 복귀후에 강제적으로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을 컵 폐기 위치로 이동시켜서 컵 그대로 낙하해서 폐기시킨다.
다음에, 컵 낙하 장치(23)로부터 방출된 컵(6)이 컵 파지 부재(7A)(7B)에 파지될 때까지 일어나는 이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와 같은 이상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컵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둘째, 컵이 컵 슈트에서 걸려버렸다. 셋째, 컵이 컵 파지부에서 걸려버렸다. 넷째, 컵이 정확히 파지되지 않고 경사나 돌출에 의해 음료가 컵에 잘 들어가지 않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상의 상황을 도 5에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컵 슈트(24) 안에서의 걸림(b의 컵), 컵 유지부(7) 위에서의 걸림(c의 컵), 컵 유지부(7) 안에서의 경사(d의 컵) 등의 이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상이 없으면, 컵 유지부(7) 안에 있는 컵은 직립 상태로 바르게 파지된다(a의 컵).
이들 이상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컵 낙하 장치(23)로부터 낙하한 컵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위치의 바로 상부에 컵 검지 센서 S를 설치하고, 이 센서에 의해, 첫째, 컵의 낙하, 둘째, 컵의 정상적인 유지, 셋째, 컵의 걸림 장소를 식별하여 고장 원인의 상세한 파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컵 검지 센서 S로서는 투과식의 광센서를 사용하고, 발광부 Sa로부터의 광이 수광부 Sb로 투과하는가 차광되는가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검출 출력을 처리해서 판단한다.
도 6은 그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 도면이 흐름도에서 컵 검지 센서 S가 ON되는 때에는 수광부 Sb에 광이 도달하고 있는 투광 상태이며, 센서 S가 OFF되는 때에는 수광부 Sb에 광이 도달하고 있지 않은 차광 상태이다.
컵 송출 후, 센서 S를 구동하고(처리 51), 발광시켜서 수광부 Sb에 투과하는가 차광이 되는가를 살펴 본다.
즉, 센서가 ON인가 아닌가를 보고(판정 52), ON이 되지 않는 OFF이면, 그 상태가 0.4초간 계속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살펴 본다(판정 53). 즉, 판정 52가 NO(센서가 ON이 되지 않음)이고, 판정 53이 YES(0.4초간 OFF 상태로 되어 있음)로 되었을 때에는 명백하게 센서 S 자신의 고장이나, 센서간에 이물질이 끼어있는 이상 상태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판매를 정지한다(처리 54).
판정 52가 YES이면 센서가 정상이기 때문에, 다음에 센서가 OFF 되는가 아닌가를 보고(판정 55), OFF이면 판정 58을 실행하고, OFF 되지 않는 ON 상태이면 그 ON 상태가 1초 동안 계속되고 있는지를 살펴 본다(판정 56).
컵이 센서 S를 정상적으로 통과하면, 센서가 OFF 되어서 판정 55는 YES가 된다. 그러나, 판정 55가 NO이고, 센서가 OFF로 되지 않고, 센서의 ON 상태가 1초 동안이나 계속되면, 판정 56이 YES인 경우에는 컵은 송출되지만 1초 이상 경과해도 센서가 있는 곳까지 낙하하지 않고, 컵 통로의 도중에 걸려 있던가 혹은 전혀 컵이 배출되지 않았던가하는 둘중 한가지의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판매를 정지한다(처리 57).
여기에서, 1초 동안으로 한정한 것은 정상적인 낙하 상태이면, 컵은 1초 이내에 센서 S를 통과할 것이며, 또 도중에 걸려도 그 걸림이 풀려서 1초 이내에 도달하면 정상적인 낙하로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판정 55가 YES로 되면, 다음에 센서가 다시 ON으로 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살펴 보고(판정 58), 센서가 ON으로 되지 않으면, 그 OFF 상태가 1초 동안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살펴 본다(판정 59).
판정 55 및 판정 58이 각각 YES로 되는 경우에는 컵이 정상적으로 낙하하고, 더욱이 컵 유지부(7)에 정상적으로 파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센서 S를 컵(6)이 통과중에 센서가 OFF되고, 통과 종료로서 센서가 ON되는 것으로서 센서로부터는 OFF, ON으로 반전 출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컵(6)이 컵 파지 부재(7A)(7B)에 정상적으로 파지되어서 음료 주입을 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센서 구동 정치(처리 61)를 수행한 후에 음료 판매를 실행한다(처리 62).
그러나, 판정 58이 NO이고, 또 판정 59가 YES로 되는 상황은 컵(6)이 센서 S를 완전히 통과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즉, 컵 유지부(7)의 상부에서 컵(6)이 걸려서 차광하고 있거나 혹은 컵(6)이 경사져 있어 컵 유지부(7)에 정확히 파지 되어 있지 않는 이상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판매를 정지한다(처리 60).
여기에서, 1초 동안으로 한정한 것은 컵 유지부(7)의 곳에서 컵의 걸림이나 컵의 경사짐이 있어도 자연히 그 상태가 1초 이내에 변경되어 정상적인 파지가 수행된다면, 음료 판매를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시키기 위해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컵이 정상적으로 방출되었는지 어떤지의 여부의 판정을 수행함과 더불어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그 이상 장소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이후의 대응을 적절하고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컵 낙하 장치(23)로부터 컵 파지 부재(7A)(7B)에 무사히 방출된 컵(6)은 그 저면이 컵 받침대(30)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이 컵 받침대(30)는 상승 및 하강을 자유롭게 해서 지정된 컵의 크고 작음에 맞게 컵의 높이를 나란히 맞추도록 하고 있다.
또한, 크기가 다른 컵은 각각 컵 낙하 장치(23A 내지 23C)로부터 방출된다.
이상으로부터, 컵의 걸림 장소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컵 유지부(7)에서의 컵의 걸림은 이것을 검출해서 다음 수순에서 정상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7과 같이 컵 슈트(24)로부터 나온 컵(6)이 컵 파지 부재(7A)(7B)로 바르게 들어 가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차광 상태가 되고 컵 검지 센서 S로부터의 신호는 일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컵의 걸림 상태의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컵 파지 부재(7A)(7B)를 개방 동작시킨다.
즉, 캠(42)을 회전 운동시켜서 돌기(41A)(41B)가 캠편(44b)과 맞닿도록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서, 컵(6)은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컵의 걸림 상황으로부터 실선의 정상적인 자세로 컵 받침대(30) 사이에 놓이고, 다시 컵 파지 부재(7A)(7B)에 의해서 직립 상태의 바른 자세로 파지되고, 그 후에 음료가 주입된다.
이상의 제어 동작을 도 9에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의 흐름도에서, 센서 S가 ON이 되는 경우에는 수광부 Sb에 광이 도달하고 있는 투광 상태이며, 센서 S가 OFF로 되는 경우에는 수광부 Sb에 광이 도달하고 있지 않은 차광 상태이다.
컵의 송출 후, 컵 검지 센서 S가 OFF-ON으로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지 아닌지의 여부의 판정을 수행한다(판정 71).
정상적으로 낙하하면, 일단 차광하여 센서가 OFF가 되고, 이어서 곧바로 투광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센서가 ON이 되고, 판정 71은 YES가 되어서 컵 유지 장치(5)에서의 컵의 경사짐이나 걸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대기하고 있던 컵 유지 장치(5)에 컵 파지 동작을 수행시키고(처리 72), 이어서 음료 판매를 수행한다(처리 73).
판정 71이 NO이고, 센서 S가 1초 동안 경과해도 ON이 되지 않는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판정 74), 판정 74가 YES이면 컵(6)이 컵 파지 부재(7A)(7B)에 걸려 있고, 정상적으로 파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플래그의 세트 유무를 살펴 보고(판정 75), 플래그가 없으므로 플래그를 세트하며(처리 76), 다음에 컵 유지 장치(5)를 대기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킨다(처리 77). 이에 의해서, 걸려 있던 컵(6)의 낙하가 다시 가능해지게 되고, 수직의 자세로 낙하하여 컵 받침대(30)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컵 파지 장치(5)를 컵의 수용을 위한 대기 상태로 되돌린다(처리 78).
다음에, 처리 78에 이어서 재차 판정 71을 수행하고, 전술한 처리 79에 의해 컵(6)이 정상적으로 파지되면 판정 71은 YES가 되어 처리 72가 수행되어서 처리 73에서 음료의 판매가 실행되게 된다.
그러나, 처리 77을 수행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컵(6)이 걸려 있을 경우에는 재차 판정 71은 ON이 되고, 그리고 판정 74도 YES가 되어, 판정 75에서는 플래그가 세트된 상태이기 때문에, 판정 75는 YES가 되어, 판매를 정지한다(처리 79).
다음에, 컵이 컵 슈트(24) 내면의 시럽에 의한 불결함 등에 의해 도중에 막혀서 떨어져 내려오지 못하는 경우의 해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컵식 자동 판매기는 탄산 음료도 공급 가능한 것으로서, 탄산수 제조를 위해 카아보네이터(carbonater)와 탄산 가스 봄베(bombe)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컵 송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컵(6)이 컵 검지 센서 S를 통과하여 차광되면, 그 시간안에 검출 펄스가 발생한다. 그러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차광 상태가 일어나지 않고, 검출 펄스가 발생하지 않으면, 컵(6)이 낙하해오지 않아 컵 슈트(24)안에 걸려 있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탄산 가스 CO2를 상기 탄산 가스 노즐(80)로부터 내뿜어서 컵 슈트(24)안에 걸려 있는 컵(6)을 강제적으로 배제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컵 슈트안에서 컵의 걸림이 있을 때, 그 컵 걸림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매 동작의 개시에 의해서 컵을 컵 수납부로부터 계속 내보내고, 이 컵속에 각종 음료를 주입해서 판매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 판매 동작 개시에 의거하여 컵 공급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컵(6) 안의 음료수를 주입해서 판매하는 컵식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본체 전면부에 설치한 컵 반출구(22)와,상기 컵 반출구(22)를 개폐하는 판매문(3)과,자동 판매기 본체안에서 음료의 주입을 받은 상기 컵(6)을 이 음료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컵 반출구(22)까지 이송하여 상기 컵 반출구(22)로부터 자동 판매기 본체의 외부로 보내지는 컵 이송 수단과,탄산수 제조를 위해 카아보네이터와 탄산 가스 봄베와,컵 송출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컵(6)이 컵 검지 센서 S를 통과하여 차광되지 않아 펄스의 발생이 없으면, 탄산 가스 CO2를 내뿜어서 컵 슈트(24)안에 결려 있는 컵(6)을 강제적으로 배제시키기 위한 탄산 가스 노즐(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컵 이송 수단에 의한 컵(6)의 이송 경로 도중에 판매가 불가능한 컵을 폐기하는 컵 폐기부(3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59630A KR19980040447A (ko) | 1996-11-29 | 1996-11-29 |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59630A KR19980040447A (ko) | 1996-11-29 | 1996-11-29 |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0447A true KR19980040447A (ko) | 1998-08-17 |
Family
ID=6648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59630A KR19980040447A (ko) | 1996-11-29 | 1996-11-29 |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4044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8020A (zh) * | 2019-11-25 | 2020-01-21 | 刘林林 | 一种自动饮品机 |
-
1996
- 1996-11-29 KR KR1019960059630A patent/KR199800404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8020A (zh) * | 2019-11-25 | 2020-01-21 | 刘林林 | 一种自动饮品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02012B1 (ko) | 컵식 자동판매기 | |
JPS5844592A (ja) | 分配供給装置 | |
KR101990686B1 (ko) |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 |
US2333118A (en) | Vending machine for bottled goods | |
KR19980040447A (ko) |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
KR19980040444A (ko) | 컵 슈트내의 컵걸림 자동 해제를 위한 자동 판매기 | |
KR19980040443A (ko) | 컵걸림 및 컵기울음의 자동 해제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 | |
KR19980040446A (ko) | 불량 컵 자동 폐기 구조의 자동 판매기 | |
KR19980040401A (ko) | 컵 걸림으로부터의 자동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 판매기 | |
KR19980040349A (ko) | 컵 취출 용이 구조의 자동판매기 | |
KR19980040403A (ko) | 먼지 부착 방지 구조의 자동 판매기 | |
KR19980040442A (ko) | 이상 발생의 검출 및 치유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 | |
JP2962774B2 (ja) | カップ式自動販売機 | |
KR19980040350A (ko) | 판매구의 위생도를 향상시킨 자동판매기 | |
JPH10302139A (ja) | 自動販売機 | |
KR19980040445A (ko) | 판매 대기 시간의 단축 구조의 자동 판매기 | |
KR19980040365A (ko) | 판매문의 안전한 개폐구조의 자동판매기 | |
KR19980040400A (ko) | 위생적인 자동 판매기 | |
JP2895925B2 (ja) |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販売方法 | |
JPH0528360A (ja) | カツプ式自動販売機の容器搬送装置 | |
KR0130496B1 (ko) |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 |
KR19980040366A (ko) | 원료 다단계 증감 구조의 자동판매기 | |
JP2002279520A (ja) | カップ式自動販売機 | |
KR19980040402A (ko) | 컵의 취출이 용이한 구조의 자동 판매기 | |
JPH0458396A (ja) | カップ式自動販売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