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389A -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389A
KR19980039389A KR1019960058410A KR19960058410A KR19980039389A KR 19980039389 A KR19980039389 A KR 19980039389A KR 1019960058410 A KR1019960058410 A KR 1019960058410A KR 19960058410 A KR19960058410 A KR 19960058410A KR 19980039389 A KR19980039389 A KR 19980039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control unit
consumed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진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389A/ko
Publication of KR1998003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389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우선 순위에 따라 자동 제어하고 이를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 자동차는 편의를 위한 각종 전장품이 동시에 다수 구동될 경우 배터리 및 발전기의 소비전력을 초과하여 방전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차량의 각종 전장품들의 스위치 신호(10)와 총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20)의 신호와 엔진의 회전수(30) 및 교류 발전기의 L단자(40)의 신호를 입력하는 컨트롤 유니트(50)가 소비전류를 적분/연산하여 과소비상태를 판단하면,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차량의 각종 전장품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어 차량의 전류가 과소비되는 상태를 경고 및 예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임.

Description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본 발명은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차량이 시동된 후 편의를 위한 각종 전장품이 다수 구동될 경우 발전기의 발전량을 초과하여 배터리 방전의 우려를 초래함에 따라 컨트롤 유니트가 소비전류를 적분하여 과전류 소모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우선순위에 따라 전장품의 작동을 제어하게 하고 동시에 경고 등을 점등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경고 및 방지할 수 있게 한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전장품과 편의시설을 위한 다량의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전류 및 발전기로부터 발전되는 전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 및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엔진의 작동과 함께 구동되는 교류발전기는 엔진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을 하여 L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불량할 경우 혹은 발전되는 전류량이 소모전류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전되는 전력이 배터리에 충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최초 출고되는 고급승용차 및 각종차량은 엔진의 구동 및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필수적인 전장품 외에도 편의시설을 위한 각종 전장품을 차량에 설치하여 필요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편리를 제공한다.
그러나, 차량의 보조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 및 발전기의 발전 전류는 소비전력에 한계가 있어 상기한 각종 전장품이 동시에 다수 구동될 경우 과소비되는 전력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자동차는 편의를 위한 각종 전장품이 동시에 다수 구동될 경우 배터리 및 발전기의 소비전력을 초과하여 방전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이 동시에 다수 구동되어 발전기 및 배터리의 소비전력을 초과할 경우 경고등을 통해 이를 경고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전장품의 구동을 일부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경고 및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각종 전장품들의 스위치 신호 20 : 전류센서
30 : 엔진 회전수(RPM) 40 : 교류 발전기의 L 단자
50 : 컨트롤 유니트 52 : 적분기
54 : 마이컴 62 : 블로어 스위치
60 : 에어컨 스위치 66 : 경고등
64 : R/R 히터(열선) 스위치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각종 전장품들의 스위치 신호(10)와 총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20)의 신호와 엔진 회전수(30) 및 교류 발전기의 L단자(40)의 신호를 입력하는 컨트롤 유니트(50)가 소비전류를 적분/연산하여 과소비상태를 판단하면,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차량의 각종 전장품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어 차량의 전류가 과소비되는 상태를 경고 및 예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 1 과 같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각종 전장품들의 스위치 신호(10)와, 차량의 전체에 소비되는 전류량을 감지하기 위한 전류센서(20)의 신호와, 엔진의 구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엔진 회전수(30)의 신호와, 교류 발전기로부터 발전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교류 발전기의 L단자(40)의 신호를 입력하는 컨트롤 유니트(5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유니트(50)는 입력되는 전류센서(20)의 신호를 적분/연산하여 전류의 과소비 상태를 적분기(52)를 통해 판단할 수 있게 하고, 판단된 신호가 전류의 과소비 상태로 판단되면 우선순위에 따라 각종 전장품을 순차적으로 오프할 수 있게 하는 우선순위가 설정되며, 결정된 우선순위는 출력 제어부(56)에 신호가 출력되어 해당 전장품을 상기 출력 제어부(56)가 제어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유니트(50)는 과소비 전류상태를 판단하며, 이를 경고하기 위해 경고등(66)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자동 오프되는 전장품은 예시된 도 1 과 같이, 에어컨 스위치(60)나 혹은 블로어 스위치(62) 혹은 리어열선(64) 및 오디오등이 될 수 있으며, 결정된 우선 순위에 의해 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각종 전장품들의 스위치 신호(10)는 해당 전장품의 사용여부를 컨트롤 유니트(50)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며, 전류센서(20)의 신호는 현재 소비되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컨트롤 유니트(50)에 입력되며, 엔진 회전수(30)는 엔진의 구동상태를 컨트롤 유니트(50)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교류발전기의 L단자(40)의 신호는 교류발전기가 발전하여 출력하는 전류의 양을 컨트롤 유니트(50)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컨트롤 유니트(50) 내의 적분기(52)는 입력되는 전류센서(20)의 신호를 적분하여 전류의 과소비 상태를 판단하는 작용을 하며, 또한 전류의 소비상태가 과소비 상태일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구동되는 전장품을 오프하기 위하여 컨트롤 유니트(50)에는 각종 전장품을 오프하기 위한 우선순위가 설정된다.
따라서, 결정된 우선순위는 출력 제어부를 통해 해당 전장품을 오프하게 되며, 동시에 경고등(66)이 점등되어 전류의 과소비상태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각종 전장품이 동시에 다수 구동될 경우 과소비상태를 판단하여 이를 경고 등을 통해 경고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전장품을 오프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경고 및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편리를 제공한다.

Claims (3)

  1. 각종센서의 신호 및 교류발전기의 L단자의 신호를 입력하며 소비전력이 과소비상태일 경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각종 전장품을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경고등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 컨트롤 유니트가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니트에 입력되는 각종센서의 신호는 전장품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전장품의 스위치신호와, 현재차량에 소비되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센서의 신호와, 엔진의 구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엔진의 회전수 신호와, 현재 교류 발전기로부터 발전되는 발전전류의 량을 감지하기 위한 교류 발전기의 L단자신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니트는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차량의 과전류 소비상태를 판단하면 각종 전장품을 순차적으로 오프하기 위한 우선순위가 설정되며, 결정된 우선순위는 출력 제어부를 통해 해당 전장품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KR1019960058410A 1996-11-27 1996-11-27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KR19980039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410A KR19980039389A (ko) 1996-11-27 1996-11-27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410A KR19980039389A (ko) 1996-11-27 1996-11-27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389A true KR19980039389A (ko) 1998-08-17

Family

ID=6648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410A KR19980039389A (ko) 1996-11-27 1996-11-27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3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270B1 (ko) * 2000-04-27 2002-08-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 소켓 사용시 자동 부하 조절장치
KR20110074480A (ko) * 2009-12-24 2011-06-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관련 상황 인지가 가능한 서버
KR20190048023A (ko) * 2017-10-30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ips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270B1 (ko) * 2000-04-27 2002-08-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 소켓 사용시 자동 부하 조절장치
KR20110074480A (ko) * 2009-12-24 2011-06-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관련 상황 인지가 가능한 서버
KR20190048023A (ko) * 2017-10-30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ips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9492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distributing electrical energy in a vehicle
KR940006839A (ko) 전기 모터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80039389A (ko) 과전류 소비시 부하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
JP2004276672A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JP2000062523A (ja) 自転車用照明点灯制御装置
KR100254423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컨버터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465400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장치
KR19990052093A (ko) 배터리의 자동 충전 장치
KR100337822B1 (ko) 차량의 전기적 과부하 경보장치
KR200289720Y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970055036A (ko)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JP2001135495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316732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조정기
KR19980084932A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489103B1 (ko) 배터리 전원라인 단선시의 엔진정지 예방장치 및 방법
KR100273558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구동장치
JPS62131844A (ja) 車両用充放電制御装置
KR19980084931A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경고방법 및 장치
KR19980084926A (ko) 차량의 전기적 과부하 경보방법 및 장치
JPS62203598A (ja) 充電発電機用制御装置
KR19980048513A (ko) 자동차의 밧데리 방전차단장치
KR19990002361A (ko) 차량용 충전 시스템
KR19980021916A (ko) 차량용 축전지의 방전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