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585U -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585U
KR19980038585U KR2019960051647U KR19960051647U KR19980038585U KR 19980038585 U KR19980038585 U KR 19980038585U KR 2019960051647 U KR2019960051647 U KR 2019960051647U KR 19960051647 U KR19960051647 U KR 19960051647U KR 19980038585 U KR19980038585 U KR 199800385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panel
panel
rainwater
air inlet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1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585U/ko
Publication of KR19980038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58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 하부에 설치된 카울패널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전방유리창(2)의 하부에 설치된 대시패널(3)에 빗물 배출용 수로가 형성된 한편, 외부의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로에 빗물이 떨어지도록 개구부(5)가 형성된 카울패널(6)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홀(4)에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카울패널(6)에 하방으로 볼록한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7)가 상기 개구부(5)와 상기 공기유입홀(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전방유리창에 흘러내린 빗물이 돌출부에 의해 저지되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 하부에 설치된 카울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유리창에 흘러내린 빗물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유리창은 자동차가 주행시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해주는 한편, 우천시 빗물 등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방유리창의 외부면에 맺힌 빗물은 전방유리창의 외부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고 이 아래로 내려간 빗물은 카울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아래로 떨어져 카울패널의 하부에 설치된 대시패널의 수로를 통해 빗물이 외부로 흘러나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대시패널에는 차실내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기유입홀에 카울패널을 통해 들어온 빗물이 유입되어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도 3에는 종래의 기술 구성에 따라, 카울패널(50)을 통해 대시패널(51)의 공기유입홀(52)로 빗물(53)이 유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전방유리창(미도시함)의 외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은 카울패널(50)에 형성된 개구부(54)를 통과한 후 직접 대시패널(51)로 떨어지는 한편, 그 일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54)의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카울패널(50)의 하부면의 굴곡진 부위를 타고 내려가면서 대시패널(51)의 공기유입홀(52)로 직접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시패널의 공기유입홀로 빗물이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차실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전방유리창의 하부에 설치된 대시패널에 빗물 배출용 수로가 형성된 한편, 외부의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로에 빗물이 떨어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카울패널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홀에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카울패널에 하방으로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와 상기 공기유입홀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차실내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실내에 유입된 빗물에 의해 차실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구가 피해를 입지 않게 하는 한편, 탑승자가 쾌적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전방유리창 하부에 대시패널이 설치된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대시패널에 본 고안에 따른 카울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대시패널에 종래의 카울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차체 2-전방유리창
3-대시패널 4-공기유입홀
5-개구부 6-카울패널
7-돌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전방유리창 하부에 대시패널이 설치된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대시패널에 본 고안에 따른 카울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시된 바에 의하면, 차체(1)의 전방유리창(2)의 하부에 설치된 대시패널(3)에는 미도시한 빗물 배출용 수로가 형성된 한편, 외부의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시패널(3)의 수로에 빗물이 떨어지도록 개구부(5)가 형성된 카울패널(6)이 상기 대시패널(3)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대시패널(3)의 공기유입홀(4)에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카울패널(6)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7)는 상기 개구부(5)와 상기 공기유입홀(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5)의 가장자리를 타고 상기 캉울패널(6)의 하부면을 타고 내려오는 빗물은 상기 돌출부(7)에 의해 저지되어 더 이상 상기 공기유입홀(4) 쪽으로 가지 못하고 바로 아래로 떨어져 대시패널(3)에 형성된 수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에 의하면, 전방유리창을 타고 내려온 빗물이 차실내에 유입되지 않게 하여, 차실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장치를 빗물로부터 보호하고, 탑승자가 쾌적한 승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전방유리창(2)의 하부에 설치된 대시패널(3)에 빗물 배출용 수로가 형성된 한편, 외부의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로에 빗물이 떨어지도록 개구부(5)가 형성된 카울패널(6)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홀(4)에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카울패널(6)에 하방으로 볼록한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7)가 상기 개구부(5)와 상기 공기유입홀(4)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KR2019960051647U 1996-12-19 1996-12-19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KR199800385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647U KR19980038585U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647U KR19980038585U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585U true KR19980038585U (ko) 1998-09-15

Family

ID=5399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647U KR19980038585U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5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377B1 (ko) 차량의 앞부분의 차체구조
KR19980038585U (ko)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KR19980038583U (ko) 자동차 카울패널의 빗물 유입 방지 구조
JPH07117570A (ja) 自動車のドアスピーカー取付部の排水構造
KR200158256Y1 (ko) 누수 방지를 위한 차량의 그로메트
JPS58224863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KR19980028468U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립체
KR200189799Y1 (ko) 자동차 엔진룸 파티션패널의 배수공 방음구조
KR0126602Y1 (ko) 자동차의 대쉬패널 구조
KR19980012938U (ko) 자동차용 상부 대시패널의 빗물 배출장치
KR0137684Y1 (ko) 자동차의 도어바이저
KR960001127Y1 (ko)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KR0127078B1 (ko) 화물차량의 전면부 구조
KR200164790Y1 (ko) 자동차용 바이저의 구조
KR200158464Y1 (ko) 버스용 에어컨 언더덕트의 소음방지구조
JP2005067375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の水切り構造
KR0126603Y1 (ko) 자동차의 워터디플랙터 일체식 까울 구조
KR012833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카울 보강부재
KR100361687B1 (ko) 자동차용도어의사이드웨더스트립
KR19980062295A (ko) 자동차의 룸선바이저구조
KR200148268Y1 (ko) 자동차 도어의 와류방지용 그로메트
JP2000302061A (ja) キャブのフロント構造
KR19980030606U (ko) 자동차 대쉬패널의 드레인 플러그
KR19980041727U (ko) 자동차의 물 흘러넘침 방지용 글래스 몰딩구조
KR19980062803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