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27Y1 -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27Y1
KR960001127Y1 KR2019940004583U KR19940004583U KR960001127Y1 KR 960001127 Y1 KR960001127 Y1 KR 960001127Y1 KR 2019940004583 U KR2019940004583 U KR 2019940004583U KR 19940004583 U KR19940004583 U KR 19940004583U KR 960001127 Y1 KR960001127 Y1 KR 960001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duct
rear bumper
communication port
bod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4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323U (ko
Inventor
노완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4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27Y1/ko
Publication of KR950027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ear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제 1 도는 트렁크 통풍구를 보이는 일반적인 차량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덕트의 조립되는 상태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덕트가 트렁크 통풍구에 장착된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렁크 20 : 리어범퍼
30 : 차체패널 31 : 트렁크 통풍구
40 : 끼움구 100 : 덕트
101 : 입구 102 : 출구
103 : 연통구
본 고안은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리이범퍼와 C차체 사이의 통풍을 이용한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트렁크(10)의 환기를 위하여 리어범퍼(20)가 장착되는 차체패널(30) 부위에 트렁크 통풍구(31)를 형성하고 이 트렁크 통풍구(31)에 고무덮개(41)가 있는 끼움구(40)를 설치하였다. 끼움구(40)의 고무덮개(41)는 리어범퍼(20) 측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상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차량이 주행될 때 리어범퍼(20)와 차체패널(30) 사이의 공기흐름에 따라 트렁크(10) 내의 공기가 빨려나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트렁크 통풍구(31)측 부위의 형상이 복잡하여 와류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끼움구(40)의 고무덮개(41) 하단이 들뜨면서 외부공기가 트렁크(10)쪽으로 역류된다. 그러므로 외부공기가 트렁크(10)로 먼지가 유입되어 지저분해지고 트렁크(10)에 적재된 화물의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할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렁크 통풍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트렁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트렁크 통풍구와 연통되도록 리어범퍼와 차체 패널 사이에 덕트를 설치하는 것을 제시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덕트(100)는 리어범퍼(2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략 4각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입구(101) 및 출구(102)가 있으며 일측면 중간부위에 연통구(103)가 있다. 그리고 이 덕트(100)를 차체패널(3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110)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100)의 입구(101)는 출구(102)에 비해 크고 전체적으로 입구(101)에서 출구(102)측으로 진행할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연통구(103)는 끼움구(40)와 연결되도록 가장자리에 걸림턱(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덕트(100) 구조는 베르누이 정리에 근거한 것으로 설치시 트렁크 통풍구(31)에 끼워진 끼움구(40)에 연통구(103)가 연결되도록 브라켓트(110)를 이용하여 볼트로 차체패널(30)에 조립하면 된다. 이때 연통구(103)의 걸림턱(104)은 끼움구(40)의 단부가 끼워지게 하고 입구(101)가 리어범퍼(20) 중앙부 및 차체패널(30) 중앙부를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덕트(100)를 설치한 후 리어범퍼(20)의 조립을 수행하면 된다.
그리하여 차량주행시 입구(101)측으로 외기가 들어오고 출구(102) 측으로 빠져나간다.
이때 공기속도는 출구(102)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고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
동시에 덕트(100)를 통과하는 외기에 의하여 트렁크(10)내의 공기는 내외부 압력차가 발생되어 급속히 빨려 나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베루누이 정리를 통해서 쉽게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외기가 트렁크 통풍구(31)를 지날때 와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트렁크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은 트렁크 오염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트렁크내의 공기순환이 원활이 이루어져 환기효과가 증대되는 것이다.

Claims (1)

  1. 크기가 작아지는 쪽의 단부에 입구(101)의 가지며, 크기가 커지는 쪽의 단부에 출구(102)를 가지며,
    상기 입구(101)와 상기 출구(102) 사이의 일측면에 연통구(103)를 가지는 덕트(100)를 구비하여 리어범퍼(20)측의 트렁크 통풍구(31)와 상기 연통구(103)가 연통되도록 상기 덕트(100)를 차체패널(30)에 결합하여서 되는 승요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KR2019940004583U 1994-03-09 1994-03-09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KR960001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583U KR960001127Y1 (ko) 1994-03-09 1994-03-09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583U KR960001127Y1 (ko) 1994-03-09 1994-03-09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23U KR950027323U (ko) 1995-10-18
KR960001127Y1 true KR960001127Y1 (ko) 1996-02-07

Family

ID=1937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583U KR960001127Y1 (ko) 1994-03-09 1994-03-09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23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8144A (en) Plenum and wiper module removable for engine service
US4920865A (en) Device for extracting air from an automobile interior
US4152021A (en) Space for aggregates which are arranged in the engine space of a motor vehicle
KR960001127Y1 (ko) 승용차의 트렁크 환기장치
JPS58164415A (ja) 自動車の外気導入構造
JP2001526141A (ja) 動力車両の暖房設備または空調設備用の空気取り入れ装置
JP4284647B2 (ja) 車両の換気構造
JP2005008126A (ja) 車両用換気装置
KR910000339Y1 (ko) 차량용 환기장치
KR0128797Y1 (ko) 자동차용 리어 벤틸레이터
JP3957160B2 (ja) 車室内換気装置
KR0127078B1 (ko) 화물차량의 전면부 구조
KR200145049Y1 (ko) 창문개폐가 불가능한 버스의 환기장치
JP2568575Y2 (ja) 車両用ディストリビュータの換気装置
JPS5918894Y2 (ja) 車輛用カウルベンチレ−タ
JPH0712100Y2 (ja) 自動車の換気装置
KR200188272Y1 (ko) 자동차용 카울의 구조
JPH059210Y2 (ko)
JPS6313044Y2 (ko)
JPS6339130Y2 (ko)
JPH0217922Y2 (ko)
KR0128702B1 (ko) 차량용 챔버의 에어벤트구조
JPS60151117A (ja) ドラフタダクト構造
KR0112633Y1 (ko) 자동차용 에어 벤틸레이터
JPH0592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