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167A -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167A
KR19980038167A KR1019960057039A KR19960057039A KR19980038167A KR 19980038167 A KR19980038167 A KR 19980038167A KR 1019960057039 A KR1019960057039 A KR 1019960057039A KR 19960057039 A KR19960057039 A KR 19960057039A KR 19980038167 A KR19980038167 A KR 1998003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utput shaft
manual transmission
supply structur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167A/ko
Publication of KR1998003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167A/ko

Links

Landscapes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 내 출력축(2)의 오일 가이드 홀(2a)로 오일을 유도하는 오일 퍼넬(6)과, 이 출력축(2) 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7) 이탈방지용 리테이너(8)가 일체화되어 부품의 단순화를 이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의 단순화로 공차관리가 용이해져 오일 가이드 홀(2a)과 오일 퍼넬(6)사이의 간극의 크기를 보다 작게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극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여 오일 퍼넬(6)의 출력축 오일 가이드 홀(2a)로의 오일 안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공정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를 보인 변속기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수동변속기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를 보인 변속기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션 케이스 2 - 출력축
2a - 오일 가이드 홀 6 - 오일 퍼낼
6 - 일체화된 리테이너 7 - 베어링
7a - 아우터 레이스 7b - 인너 레이스
7c - 롤러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 내부의 각 기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축의 오일 퍼넬(Oil Funnel)과 롤러 베어링의 리테이너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부품단순화에 따라 오일 공급구조에 대한 제조원가 및 조립공수를 낮출 수 있으면서, 동시에 조립작업의 단순화에 따라 오일 퍼넬과 출력축 오일 홀 사이 간극에 대한 공차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에는 엔진의 출력을 주행조건에 알맞은 상태로 토크와 회전비로 조정하여 구동바퀴를 구동시키는 추진축에 전달하는 트랜스미션이 장착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은 자동식과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식 트랜스미션은 하우징내부에 크고 작은 다수의 기어가 설치되어, 이들의 기어 조합으로 출력 회전수와 출력 회전토크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이고, 자동식인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은 수동변속장치에서 필요한 클러치와 기어의 조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오일을 힘의 전달매체로써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는 미션 케이스(Mission case) 내부에 나란히 설치된 입력축(Primary shaft)과 출력축(Secondary shaft)에 각각 다수의 기어들이 인접·설치되어, 상기 입력축이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기어비로 조합된 기어에 의하여 출력축에 전달하고, 출력축은 이 힘을 차동장치인 디퍼렌셜 기어(Differential gear)에 전달하여, 휠을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수동변속기의 동력전달 매개체인 입·출력축의 각 기어는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마찰로 인한 기어의 마모나 열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과 냉각작용을 하는 오일이 상기 입·출력축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 트랜스 미션의 입·출력축의 기어에 대한 오일의 공급은 미션 케이스에 고여 있는 오일이 디퍼렌션 기어에 의하여 비산되어 각 기어에 직접 뿌려져 공급되고, 또 비산된 오일 중 미션 하우징에 뿌려진 오일이 모아져 입·출력축의 중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오일 가이드 홀을 통하여 각 기어에 공급되는 두가지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의 제 1 도는 이러한 오일 공급경로를 가진 종래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 도면은 수동변속기의 엔진에 인접한 트랜스 미션의 부분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내에는 항상 일정 수위 이상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이 오일은 엔진의 가동에 따라 미션 케이스(1)의 최하부에 출력축(2)의 단부측 하부에 설치되는 디퍼렌션 기어(미도시)의 회전으로 트랜스 미션 케이스(1)의 상부측으로 비산된다.
이렇게 디퍼렌셜 기어에 의하여 비산된 오일은 각 기어(3)의 저어널부와 슬리이브(4) 마찰면에 직접 뿌려지기도 하고, 또 클러치 케이스(Clutch case)(5)의 벽면을 타고 내려와 출력축 단부에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오일 퍼넬(6)에 의하여 모아져 출력축(2) 중심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일 가이드 홀(2a)로 유입되어 출력축(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오일 홀(2b)을 통하여 각 기어(3)의 저어널(Journal)부에 공급되어 저어널부의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일의 흐름이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수직상방으로 비산되는 오일은 미션 케이스(1)의 상부의 물받이 형식으로 설치된 오일 패스(Oil pass)(미도시)에 떨어져 흐르다가 각 기어(3)의 상부위치의 오일 패스에 형성된 오일 공급공을 통하여 각 기어(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수동변속기에서는 오일이 세가지 경로로 공급되어 기어 및 슬리이브의 마찰면을 윤활시키면서 냉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일 공급구조를 갖는 수동변속기에 있어서, 출력축(2)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 벽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케이스(1)의 마찰면에는 회전되는 출력축(2)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아우터 레이스(7a), 인너 레이스(7b) 및 이 레이스들(7a, 7b) 사이에서 미끄름 마찰을 구름 마찰로 변경시키는 롤러(7c)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베어링(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7)에 접하여 각 롤러(7c)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리테이너(8)가 설치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은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에 있어서, 출력축(2)의 가이드 홀(2a)을 통한 오일의 공급효율은 오일 퍼넬(6)과 축(2)의 오일 가이드 홀(2a)사이의 간극(도면에서 A로 표시된 간극)의 크기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왜냐하면, 간극의 크기에 비례하여 축(2)의 외부로 역류되는 오일량이 많아져 오일 가이드 홀(2a) 내부로 흐를 수 있는 오일의 양이 제한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동변속기의 오일 공급구조의 설계시, 이 간극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아주 긴요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에 있어서는, 베어링(7), 리테이너(8) 그리고, 오일 퍼넬(6) 등이 각각 분리된 구성품들이어서, 이들 구성 등의 치수관리 및 품질상의 문제로 상기 간극을 일정크기 이하로 줄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일 공급구조는 소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가공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도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고, 조립공수가 크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오일 공급구조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합성수지체로 제작되는 리테이너와 오일 퍼낼이 일체화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오일 퍼낼과 가이드 홀면 사이의 간극에 대한 공차관리가 용이해지므로써, 간극을 최소화하여 오일 퍼낼의 오일 공급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단순화로 조립공수 및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수동변속기 오일 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는, 출력축의 단부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오일 가이드 홀과; 상기 오일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유도부로 상기 유도관의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출력축 단부면을 덮는 외주부가 디퍼렌셜 기어에 의하여 비산되는 오일을 안내하여, 상기 오일 가이드 홀로 유입시키는 깔대기 형상의 오일 퍼낼과; 상기 출력축 단부를 트랜스 미션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마찰을 감소시키면서 지지하는 것으로, 출력축 외주부에 접하는 인너 레이스, 미션 하우징의 지지면에 접하는 아우터 레이스 및 상기 인너 레이스와 아우터 레이스 사이에서 미끄럼 마찰을 구름마찰로 바꾸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롤러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롤러에 접하게 설치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 퍼낼은 상기 리테이너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오일 퍼낼은, 별도의 안착부 없이, 일체화된 상기 리테이너에 의하여 지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가이드 홀과 오일 퍼낼의 유도부 외면사이의 간극에 대한 공차관리가 용이해지고, 부품의 단순화로 가공공수 조립공수를 작게할 수 있으며, 오일 퍼낼의 오일 안내기능도 강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종래와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를 보인 수동변속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7)을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8)가 별도로 성형되지 않고, 오일을 출력축(2)으로 안내하는 오일 퍼넬(6)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일 퍼넬(6)은 일체화된 리테이너(6a)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클러치 케이스(5)에 형성되어야 했던 오일 퍼넬(6)안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클러치 케이스(5)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오일 공급구조의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오일 공급구조에 대한 가공공정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시 오일 퍼넬(6)과 출력축(2) 오일 가이드 홀(2a)면사이 간극에 대한 공차관리도 쉽게 할 수 있어서, 간극의 크기를 보다 작게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출력축(2)의 각 기어 저어널부에 대한 오일 공급량을 늘릴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단순화되어 오일 공급구조에 대한 가공공수 및 조립공수가 작아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퍼넬의 유도부와 출력축 오일 가이드 홀 사이의 간극이 작게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간극으로 역류되는 오일의 양을 감소시켜 기어 저어널부에 대한 오일 공급량도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출력축의 기어 가이드 홀로부터 공급되는 오일부족으로 인한 기어 저어널부의 마모나 소착현상을 방지하므로써, 기어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저어널부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기어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출력축의 단부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오일 가이드 홀과; 상기 오일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유도부로 상기 유도관의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출력축 단부면을 덮는 외주부가 디퍼렌셜 기어에 의하여 비산되는 오일을 안내하여, 상기 오일 가이드 홀로 유입시키는 깔대기 형상의 오일 퍼낼과; 상기 출력축 단부를 트랜스 미션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마찰을 감소시키면서 지지하는 것으로, 출력축 외주부에 접하는 인너 레이스, 미션 하우징의 지지면에 접하는 아우터 레이스 및 상기 인너 레이스와 아우터 레이스 사이에서 미끄럼 마찰을 구름마찰로 바꾸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롤러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롤러에 접하게 설치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 퍼낼은 상기 리테이너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퍼낼은, 별도의 안착부 없이, 일체화된 상기 리테이너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KR1019960057039A 1996-11-25 1996-11-25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KR19980038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039A KR19980038167A (ko) 1996-11-25 1996-11-25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039A KR19980038167A (ko) 1996-11-25 1996-11-25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67A true KR19980038167A (ko) 1998-08-05

Family

ID=6648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039A KR19980038167A (ko) 1996-11-25 1996-11-25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43B1 (ko) * 2001-04-04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베어링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43B1 (ko) * 2001-04-04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베어링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702B2 (en) Differential
EP3222886B1 (en) Axle assembly having a lubricant reservoir
JPS6332453Y2 (ko)
CN115875425A (zh) 一种内齿圈轴、输入轴总成、混合动力电驱动总成及车辆
US20130001018A1 (en) Lubricating structure of differential gear unit
KR101003941B1 (ko) 자동 변속기
CN111173915A (zh) 具有新型轴承配置方式的轨道车辆的齿轮箱
US20080011263A1 (en) Oil Supply Device
CN202182169U (zh) 汽车传动系统中的循环润滑油路
KR19980038167A (ko)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오일 공급구조
JPH0672168A (ja) トランスフアの潤滑装置
CN210034351U (zh) 两挡电动变速器的输入轴结构
KR19980038168A (ko) 수동변속기의 입력축 오일 공급구조
JPH0531315Y2 (ko)
KR100828605B1 (ko) 자동변속기 오일가이드 및 스러스트와셔 어셈블리
JP3534374B2 (ja) 円錐ころ軸受の潤滑装置
CN215257780U (zh) 变速器组件和车辆
CN219888695U (zh) 一种dct中间轴轴系润滑结构
KR970005788B1 (ko)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050044102A (ko) 변속기 오일가이드
JPS5891964A (ja) 車輛用動力伝達装置の潤滑油誘導装置
JPH0262462A (ja) トランスファの潤滑油誘導装置
KR950008725Y1 (ko) 중장비용 변속기의 윤활장치
KR200174843Y1 (ko) 유성기어 셋트의 피니언기어 급유 홈구조
KR970001999Y1 (ko) 차량변속기의 기어 윤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