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058U -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058U
KR19980038058U KR2019960051116U KR19960051116U KR19980038058U KR 19980038058 U KR19980038058 U KR 19980038058U KR 2019960051116 U KR2019960051116 U KR 2019960051116U KR 19960051116 U KR19960051116 U KR 19960051116U KR 19980038058 U KR19980038058 U KR 19980038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ngine
vehicle
ignition switch
sta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수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51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058U/ko
Publication of KR19980038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05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62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 F02N11/0866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comprising several power sources, e.g. battery and capacitor or tw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Battery) 완전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50)전원에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SW)를 연결하고, 이그니션 스위치(SW)를 엔진을 시동하는 기동 전동기(30)에 연결하며, 엔진에 의해 작동하는 제너레이터(40)를 배터리(50)전원에 연결하고, 이그니션 스위치(SW)에 엔진 시동장치(10)를 이그니션 스위치(SW)의 OFF 시 ON 되도록 연결하며, 엔진 시동장치(10)를 기동 전동기(30)에 연결하고, 엔진 시동장치(10)에 E,C,U (Electronic Control Unit)(20)를 엔진 시동장치(10)를 제어하도록 연결하고, E,C,U(20)에 배터리(50)전원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차량의 등화장치를 켜 놓고 하차하는 것과 같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과 자기 방전 등에 의하여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이 일정 수준이하로 낮아질 경우, 차량의 엔진(Engine)을 가동하여 제너레이터(Generator)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Battery) 완전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등화장치를 켜 놓고 하차하는 것과 같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과 자기 방전 등에 의하여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이 일정 수준이하로 낮아질 경우, 차량의 엔진(Engine)을 가동하여 제너레이터(Generator)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한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전원은 배터리와 제너레이터의 두 가지 계통으로 되어 있고, 엔진이 시동되어 있을 때는 제너레이터가 각종 전기장치의 전원으로 작동하지만, 엔진이 정지하고 있을때나 시동시에는 배터리가 전원이 된다.
배터리는 화학적 에너지(Energy)를 전기적 에너지로,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꿀 수 있도록 만든 장치로써, 엔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 각종 전기장치의 전원이 되고, 기동시에 큰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시에 배터리의 용량이 저하되어 시동 불능상태가 되기 쉽다.
그러므로 엔진의 기동에 장애가 없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운행중에 배터리를 제너레이터로 충전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운전자가 운행을 마치고 나서 차량의 이그니션 키(Ignition Key)뭉치로부터 시동키를 뽑아 엔진의 가동이 멈춘 상태에서 하차 하였을 때, 운전자가 부주의로 등화장치를 켜 놓았거나, 또는 각종 전기장치의 누전 및 배터리의 자기방전에 의해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해액 비중이 일정 레벨(Level)이하로 낮아질 경우, 엔진이 시동 불능상태가 되어 차량의 운행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한 차량의 시동 불능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타 차량의 배터리에 점프 케이블(Jump Cable)을 연결하여 엔진의 시동을 걸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부주의나 전기장치의 누전으로 인한 방전 및 배터리의 자기방전에 의해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이 일정 수준이하로 낮아져 엔진 시동 불능상태가 되기전에 차량의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하여 제너레이터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에 이그니션 스위치를 연결하고, 이그니션 스위치를 엔진을 시동하는 기동 전동기에 연결하며, 엔진에 의해 작동하는 제너레이터를 배터리 전원에 연결하고, 이그니션 스위치에 엔진 시동장치를 이그니션 스위치의 OFF 시 ON 되도록 연결하며, 엔진 시동장치를 기동 전동기에 연결하고, 엔진 시동장치에 E,C,U를 엔진 시동장치를 제어하도록 연결하며, E,C,U에 배터리 전원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의 구성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 시동장치 20 ; E, C,U
30 ; 기동 전동기 40 ; 제너레이터
50 ; 배터리 SW ; 이그니션 스위치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의 구성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는, 배터리(50)전원에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SW)를 연결하고, 이그니션 스위치(SW)를 엔진을 시동하는 기동 전동기(30)에 연결하며, 엔진에 의해 작동하는 제너레이터(40)를 배터리(50)전원에 연결한 것이다.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SW)에 엔진 시동장치(10)를 이그니션 스위치(SW)의 OFF 시 ON 되도록 연결하고, 엔진 시동장치(10)를 기동 전동기(30)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엔진 시동장치(10)에 E,C,U (Electronic Control Unit : 전자 제어단; 이하 E,C,U라 칭한다)(20)를 엔진 시동장치(10)를 제어하도록 연결하고, E,C,U(20)에 배터리(50)전원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자가 운행을 마치고 나서 차량의 이그니션 키 뭉치로부너 시동키를 뽑아 이그니션 스위치(SW)를 OFF 시킨 상태에서 하차 하였을 때, 이그니션 스위치(SW)의 OFF 와 동시에 엔진 시동장치(10)가 ON 되어 있는 상태에서 E,C,U(20)가 배터리(50)의 전해액 비중을 체크(Check)하여 배터리(50)의 방전정도를 확인한 다음, 배터리(50)의 전해액 비중이 일정 레벨 이하로 낮아졌을 경우 E,C,U(20)가 엔진 시동장치(10)를 작동시키며, 엔진 시동장치(10)가 배터리(50)의 전원을 기동 전동기(30)로 공급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것이다.
엔진이 시동되면서 제너레이터(40)가 배터리(50)를 충전시키고, 배터리(50)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충전되면, 즉 배터리(50)의 전해액 비중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높아졌을 경우 E,C,U(20)가 엔진 시동장치(10)의 작동을 멈추면, 엔진 시동장치(10)가 배터리(50)전원의 기동 전동기(30)로의 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의 시동을 멈추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뭉치에 시동키를 삽입하여 돌리면 이그니션 스위치(SW)가 ON 되면서 엔진 시동장치(10)를 OFF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SW)를 OFF시키고 차량에서 하차 하였을 때 운전자의 부주의나 전기장치의 누전 및 배터리의 자기방전에 의하여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이 일정 수준이하로 낮아졌을 경우, E,C,U(20)가 엔진 시동장치(10)를 작동시켜 배터리(50)의 전원을 기동 전동기(30)로 공급하여 엔진을 시동시키고, 제너레이터(40)가 배터리(50)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50)의 완전방전에 의한 엔진의 시동 불능상태의 발생을 방지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배터리 전원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연결되고, 이그니션 스위치에 엔진을 시동하는 기동 전동기가 연결되며,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제너레이터가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배터리 전원에 연결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에 엔진 시동장치를 이그니션 스위치의 OFF시 ON 되도록 연결하고, 엔진 시동장치를 기동 전동기에 연결하며, 엔진 시동장치에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에 따라 엔진 시동장치를 제어하도록 E,C,U 를 연결하고, E,C,U 를 배터리 전원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KR2019960051116U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KR19980038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116U KR19980038058U (ko)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116U KR19980038058U (ko)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058U true KR19980038058U (ko) 1998-09-15

Family

ID=5399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116U KR19980038058U (ko)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0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9377C (en) Vehicle starting assist system
JP3358903B2 (ja) 燃料電池の電力供給装置
KR101887748B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86488B1 (ko) 자동차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및 방법
JPH03222602A (ja) 電気自動車用電力変換器
KR19980038058U (ko) 차량의 배터리 완전방전 방지장치
KR100507496B1 (ko) 전기 자동차의 초기 충전전류 및 방전전류 제어장치
KR100197495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KR100233295B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감시 장치
KR100223617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20220053705A (ko)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방전에 대응하는 모드 2 모바일 어댑터 충전 케이블
JP3580835B2 (ja) 車両の外部表示灯点灯システム
KR100894402B1 (ko) 자동차시거잭보조전원장치
KR970021720A (ko) 차량의 축전기 방전시 비상 시동장치 및 방법
KR19990031194A (ko) 차량용 배터리의 자동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4430A (ko) 자동차시거잭보조전원장치
KR19980030601A (ko) 차량용 축전지 자동충전시스템
KR200257122Y1 (ko) 비상용 자동차 배터리 충전기
KR19980047679U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KR19980012790U (ko) 차량용 전원공급제어장치
KR19980064312U (ko) 자동차의 비상용 전력 공급 장치
JP2000004506A (ja) バッテリ搭載型電気式産業車両の充電器接続装置
KR19990014391U (ko) 보조 배터리 장치
KR19980053885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90024954U (ko) 차량의 시동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